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4

8월에 꽃을 피우는 산나물 취 8월 꽃피는 "취" 와 바위채송하 2020.08.31일 8월에 꽃피는 산나물 "취" 와 바위채송화를 소개해 본다. ①참취 [취][나물취][암취] 꽃말: 이별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대표 봄나물인 취나물로 잘 알려져 있는 식물 8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는 참취 참취 꽃 학 명: Aster scaber Thunb. 분 류: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형 태: 다년생 초본 원산지 : 한국 분 포: 일본,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 서 식: 전국 각지에 야생 크 기: 약 1m~1.5m 잎 :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어긋난다 뿌 리: 근경이 굵고 짧다. 꽃은 8월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백색의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산방 화서에 달린다. 흔히 취나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린순은 마물로 먹으.. 2020. 8. 31.
습지식물 들플 여뀌 여뀌 꽃말: 학업의 마침 2020.08.29일 "여뀌" 재미있는 이름의 들풀이다. 왜? 여뀌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아직까지 알려진 유래는 없다. 단지 꽃이 붉은색이며, 맛은 맵고~~ 하여 귀신을 쫓는 풀 역귀(逆鬼)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추측해 볼 뿐 정확한 것은 아니다. 잡초같은 들풀 여뀌는 개여뀌, 흰여뀌, 이삭여뀌등 30여종이 넘는 많은 개체를가진 풀이다. 8월의 습지, 들가에서 볼 수 있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뀌류 몇개를 소개해 본다. 붉은색의 좁쌀같이 다닥다닥 붙은 꽃이 피는 여뀌 여뀌는 공원, 습지, 야 산지 등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어, 가을은 여뀌의 계절이란 말도 있다. 여 뀌 영 문: Water pepper 학 명: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 2020. 8. 29.
수련과의 가시연 꽃 가시연(連) 꽃 온몸에 가시를 두르고 있는 가시연 2020.08.25일 습지의 밑바닥 준설작업 등으로 멸종위기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가시연은 낮에는 꽃을 활짝 피웠다가, 밤에는 오므리며 물속으로 잠기는 수생식물이다. 가시연(連)은 연못이나 저수지 등에서 자라는, 수련과(科) 가시연 속(屬)을 이루는 단 하나의 종(種)인 한해살이 풀로, 초여름 화살촉같이 생긴 자그마한 잎으로 나와서 점차 크고 동그란 잎으로 자라는데 큰 것은 지름 2m에 이르기도 하는 수생식물이다. 자료출처/국립생태원 한여름이 되면 가시 돋친 여러 개의 꽃줄기가 올라오고 끝에 밤송이 같은 꽃봉오리가 달리는데 아침에 꽃봉오리의 꽃받침이 4개로 갈라지며 그 안에서 보라색의 예쁜 꽃이 피어 난다. 저녁이 되면 꽃받침이 다시 닫히고 꽃봉오리는.. 2020. 8. 25.
활짝 핀 수생식물 수련 활짝핀 수련(睡蓮) 2020.08.17일 수련은 야생종은 드물고 공원이나 연못 등지에서 자라는 것은 원예품종이 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련 속은 전 세계에 약 40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수련 1종이 분포하고 있다. 수변가에 활짝핀 수련 수련은 중부지방 이남의 연못에 심어 키우는 수생식물 숙근성 다년생 수초 식물로 관엽, 관화 식물이며, 1m 정도로 자란다. 저수지나 늪지에서 자생하며, 원에 종으로 개량하여 여러 색의 예쁜 꽃을 피운다. 수련은 숙근성 다년생 수초 식물로 관엽, 관화 식물이며, 1m 정도로 자란다. 저수지나 늪지에서 자생한다. 꽃은 6~8월에 수면 위에서 하얀색의 꽃이 피며, 지름 5cm 정도로 밤에는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 부른다. 야생종은 드물며, 연못등지에서 관상용으로 널.. 2020. 8. 17.
여름 장맛비 심각 한강 노들섬 한강 노들섬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 2020.08.08일 그칠 줄 모르는 극심한 빗줄기의 여름 장마 모처럼의 비가 멈춰 한강 노들섬으로 나가보았다. 도로는 통제되고 한강철교 수위는 위험수위를 넘고 있어 심각성을 느끼게 되는 순간이다. (08월 06일 16:00현재) 위험수위~~한강철교 물에잠긴 노들섬 노들섬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노들섬 강변로가 통제되고 있어 정체가 극심하다. 극심한 교통체증 금방 쏫아 부을듯 날씨가 심상치 않다. 한강대교 수위 아슬아슬하다. 새카만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떠내려가는 엄청난 쓰레기는 어쩌나?? 무섭기도 하다. 물에잠긴 시설물 한강의 이런 난리는 처음본다. 도로에 물이 밀려 들어오고 있다. (06일 오후4시경) 06일 오후4시경 도로가 물에 잠기고 있다. 자연의 힘은 위.. 2020. 8. 8.
맨드라미와 개맨드라미 맨드라미와 개맨드라미 2020.08.04일 두 식물 모두 열대지방에 주로 분포 되어있는 비름과의 일년생 초본으로, 여름철 주변에서 많이 볼수있는 귀화식물 맨드라미 [맨드래미] [단기맨드래미] 꽃말: 건강, 타오르는 사랑 맨드라미는 생김새가 닭 벼슬처럼 보여 흔히 계관화(鷄冠花)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며, 학명은 Celosia cristata L.이며, 열대 원산으로 원예종으로 들여와, 화단 조성용으로 많이 심는다. 꽃은 홍색, 황색 또는 백색이 주종을 이루며, 꽃을 말려 차로 많이 마신다. 맨드라미라는 이름의 유래는 강원도 방언 중 닭의 "볏(벼슬)"을 "면두"라고 하는데, 면두에서 맨들로 변해 지금의 맨드라미가 되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볏"이 반짝반짝 하늘로 치솟.. 2020. 8. 4.
백합과 참나리와 중나리 꽃 백합과(百合科) 나리 속(屬) 2020.07.31일 나리(백합) 속(屬)을 영어로는 Lily라고하며, 한자는 백합(百合), 일어로는 ユリ, 순수 우리말은 "나리"로 부른다. 나리꽃 류를 보면, 꽃이 위를 행해 피는 ‘하늘나리’, 아래를 향해 피는 ‘참나리’, ‘중나리’, ‘땅나리’, ‘털중나리’ 말나리, 섬말나리 등등 참 많으며 꽃도 참 예쁘다. "나리"류 중 야산지 에서 볼 수 있는 참나리와 중나리 꽃을 살펴본다. 참나리 [Tiger lily] [백합] [나리] [알나리] [호랑나비] 꽃말: 순결, 깨끗한 마음 나리(백합)류 중에서 가장 아름다우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으로, 여름에 피는 나리꽃 가운데 가장 아름다워서 “참나리”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여름꽃 중 우아하고 아름다워 사랑을 .. 2020. 7. 31.
7월의 들풀 습지식물 7월의 야생화 야산지의 들풀, 습지식물 2020.07.21일 7월 야 산지 들가의 잡초같은 풀, 습지에서 자라는 습지식물을 모아 보았다. 삿갓사초 [삭갓사초] 꽃말: 자중 사초과(Cyper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 정도깢비 자라며, 삿갓이나 도롱이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삿갓사초 라는 이름은 일본명 '카사수게(傘菅)'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학명은 Carex dispalata Boott 원산지는 동아시아 지역이며, 전국의 습지나 얕은 물가에서 흔히 자란다. 큰고랭이 [큰골] 꽃말: 비대 사초과(Cyperaceae)에 속한 다년생초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저수지, 수로, 강가 등 얕은 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2m 이상 자란다. 전 세계에 34종이 분포하며, 국.. 2020. 7. 21.
꽃 생김이 비슷한 7월 야생화 꽃 생김이 비슷한 7월 야생화 2020.087.13일 ㅇ활량나물 과 고삼(苦蔘) ①활량나물 꽃말: 용정의 장화 콩과(Fab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활량나물 활량나물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일본, 중국, 우수리 등지에서도 분포. 학 명: Lathyrus davidii Hance 크기는 약 80cm~1.2m에 달하며, 열매는 콩꼬투리로 익는데, 씨는 팥처럼 생겼다. 어린순은 캐서 나물로 먹으며, 꽃이 피는 줄기는 강장제와 이뇨제로 쓰고, 씨는 먹는다. 뿌리는 지혈에 쓰는 약용식물이다. ②고삼(苦蔘) [도둑놈의지팡이][느삼] 꽃말: 보물 콩과(Fab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고삼(苦蔘) 나물로 식용할 수 없는 유독식물 학 명: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원산지는.. 2020.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