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꽃피는 "취" 와 바위채송하
2020.08.31일
8월에 꽃피는 산나물 "취" 와 바위채송화를 소개해 본다.
①참취
[취][나물취][암취]
꽃말: 이별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대표 봄나물인 취나물로 잘 알려져 있는 식물
8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는 참취
참취 꽃
학 명: Aster scaber Thunb.
분 류: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형 태: 다년생 초본
원산지 : 한국
분 포: 일본,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
서 식: 전국 각지에 야생
크 기: 약 1m~1.5m
잎 :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어긋난다
뿌 리: 근경이 굵고 짧다.
꽃은 8월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백색의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산방 화서에 달린다. 흔히 취나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린순은 마물로 먹으며, 성숙하면 생약명 동풍채(東風菜) 산백채(山白菜)라여 이뇨, 두통, 현기증 등 약재로 사용한다,
②미역취
[돼지나물]
꽃말: 경계
미역취 꽃
학 명: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var. asiatica
분 류: 국화과(Compositae)
형 태: 다년생 초본
원산지 : 한국
분 포: 일본, 중국, 사할린 등에 분포
서 식: 전국의 산야 수림에서 자생
크 기: 높이 35-85cm
뿌 리: 가는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뻗어가며 자란다.
줄 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7월부터 10월까지 꽃이 피며, 3~5개의 산방상 수상 화서로 연한 잎과 줄기는 식용하며, 전초를 해소, 이뇨, 부종 등으로 한다. 생약명은 일지항화(一枝黃花), 토택란(土澤蘭)
미역취 종류
③솜분취
학 명: Saussurea eriophylla Nakai
분 류: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형 태: 다년생 초본
원산지: 한국
서 식: 건조한 풀밭에서 자란다.
크 기: 높이는 15~75cm
7월에서 9월 사이에 자주빛 두상화(頭狀花)가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며, 뿌리 부분의 잎과 잎자루가 길고 로제트 형으로 퍼지며 줄기의 잎은 어긋난다.
④단풍취
[장이나물][좀단풍취]
생김새가 단풍나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단풍취"로 불린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단풍취 꽃
영 문: Mapleleaf Ainsliaea
학 명: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분 류: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
형 태: 다년생 초본
원산지 : 한국
서 식: 전국 산지
크 기: 높이 35-80cm
7월에서 9월 사이 하나의 두상*頭狀) 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보이며, 꽃차례가 다시 이삭 꽃차례처럼 달린다.
유사종
바위채송화
[개돌나물]
꽃말: 가련, 순진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고산식물로, 바위틈이나 햇볕이 잘드는 곳에서 자란다.원예종인 채송화와 비슷해서 바위채송화라는 이름을 얻었으나, 형태가 돌나물과 더 닮아 개돌나물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고산지대 바위틈새에서 자라는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 꽃
북한산 인수봉 부근에서
학 명: Sedum polytrichoides Hemsl.
분 류: 돌나물과(Crassul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한국
분 포: 중국,일본
서 식: 바위틈새, 양지바른곳
크 기: 약10㎝ 정도
7월에서 8월 사이 노란색을 띠는 꽃이 2~3가지로 갈라지는 안목상 취산 꽃차례에 달린다. 생약명은 유엽경천(柳葉景天), 뿌리잎을 강장, 발열 등 약재로 사용한다.
'여행&둘레길 > 생태계 자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형과 약용식물 (33) | 2020.09.07 |
---|---|
닭오줌덩굴 계요등 과 범부채 (47) | 2020.09.03 |
습지식물 들플 여뀌 (33) | 2020.08.29 |
수련과의 가시연 꽃 (54) | 2020.08.25 |
활짝 핀 수생식물 수련 (55) | 202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