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문화유산371 2025 경복궁의 봄꽃소식 경복궁 경회루 수양벚나무2025.03.31 해마다 3월 말이면 경복궁 봄꽃이 활짝 피어 수양벚꽃 구경을 같는데 올해는 긴 꽃샘추위로 인해 이제야(03/31일 현재) 붉게 꽃망울이 맺혔습니다. 경복궁 봄꽃 개화소식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과 흥례문 외국인이 많이 찾는 경복궁에는 오늘도 한국인 보기가 어렵네요 흥례문을 지나 영제교 부근에는 벚꽃이 꽃망울 터트렸으나 만개하려면 아직 먼 듯합니다.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 목련과 벚나무 능수버들과 수양벚나무수양벚꽃 보러 왔는데 올해는 이제야 붉게 꽃망울 맺혔습니다. 경복궁 경회루 경회루 수양벚나무 복원공사 중인 문정전터 고종임금의 서재 집옥재 명성황후의 가슴 아픈 역사 건청궁 건청궁에서 후원정자 향원정으로 들어가는 다리 취향교 경복궁의 후원 향원정 경복궁 인지당터 .. 2025. 4. 2. 박물관여행 고구려유적 유물 선사 고대관 고구려유적 전시실자료/국립중앙박물관 고대 선사관을 2023년부터 2025년 2월까지 2년여에 걸쳐, 인류의 등장에서 고대 국가의 출현까지; 인류가 쌓아온 기나긴 역사를 새롭게 단장해 개방했습니다. 새롭게 개방한 고구려 실을 소개해 봅니다. 새롭게 개편해 개방한 고구려실광개토대왕비(碑) 탁본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불상 중 제일 오래된 연가 7년에 제작한 금부처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延嘉七年銘金銅佛立像1963년 경남 의령에서 발견국보 제119호 금불상 뒷면에 새겨진 명문연가 7년인 기미년에 고구려 낙랑(평양)에 있는 동사(東寺)의 주지이며, (불법을) 공경하는 제자승인 연(演)을 비롯한 사도(師徒) 40인이 함께 현겁천불(賢劫千佛)을 만들어 세상에 유포하기로 하였는데 제29번째인 인현의 불(因現義.. 2025. 3. 31. 오리엔트 최강의 제국 히타이트 히타이트제국 바위신전 야즐르카야자료/한성백제박물관2025.03.22일 한성백제박물관은 튀르키예 공화국 문화관광부와의 협력으로 한구에서 1만 km 떨어진 히타이트 유적에서 발견된 212점의 대표유물을 만나보는 전시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아나톨리아반도에 위치하였던, 튀르키예의 약 3,700년 전 근동 지역을 호령한 제국이었던 히타이트제국을 만나봅니다. 3,700년 전 발달된 금속 기술을 바탕으로 청동기 후기 시대 오리엔트 지역의 작은 국가들을 통합하여 죄강의 국가를 형성하여 500년간 통치했던 "히타이트"제국 올림픽공원 한성백제박물관에서 기획전시하고 있는 "오리엔트 최강의 제국"은 3,700년 전 히타이트 제국의 정치적, 군사적 면모와, 히타이트의 문자, 삶과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2025. 3. 29. 조선왕릉 단종비 남양주 사릉 단종비 정순왕후 思陵유네스코 조선왕릉 사적 209호2025.03.07일 산책하기 좋은 요즘날씨, 릉(陵) 주변 전체가 노송숲인 남양주 사릉(思陵)을 찾았습니다. 비운의 단종임금의 비(妃) 정순왕후 송 씨(宋 氏)는 15세 때 단종의 비(端宗妃)가 된 후 18세에 영영 생이별을 하고, 서울 창산동 정업원에서 82세까지 사셨습니다. 평생을 단종을 그리워하며 살다 생을 마친 분의 능호를 그리움의 뜻이 담겨있는 思陵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사적 209호 조선왕릉 사릉(思陵) 사릉 주변의 쭈욱 뻗은 아름다운 노송숲 사릉의 능침으로 올라가는 노송숲길은 봄(5월)과, 가을(10월) 두 차례 한시적으로 숲길을 개방하고 있습니다. 단종비는 약 258년이 지난 1698년 숙종대에 들어서 단종임금이 복원.. 2025. 3. 17.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속으로 인도 동남아시아 신들의 세계자료/ 인도 동남아시아 전시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습니다. 박물관 상설전시장은 7개의 관과 39개의 실로, 9,884점의 유물을 전시학고 있는 공간으로, 유물의 보존 상태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의 상설전시관 3F 세계문화관에서는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인도 동남아시아, 고대 그리스 로마 등 세계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으로, 인도. 동남아시아실을 찾아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미술에서 인간을 닮은 신상(神象)의 출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 형상의 신은 사람들에게 친숙함과 함꼐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킴과 동시의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불상의 발원지인 간다라와 마투라 지.. 2025. 3. 16.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재개관 공개 선사고대관 재개관 공개전시자료/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2025.03.12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을 새롭게 단장해 지난 2월 초부터 공개했습니다. 새롭게 개방한 선사고대관, 구석기실~고구려 실은 2023년부터 2025년 2년에 걸쳐, 인류의 등장에서 고대 국가의 출현까지; 인류가 쌓아온 기나긴 역사를 쉽고 흥미롭게 꾸며 놓았습니다. 선사. 고대관은 인류가 한반도에 살기 시작한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남북국시대까지 우리 역사와 문화를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게 꾸며놓은 공간입니다 구석기시대구석기시대에는 매우 추운 빙하기와 그 사이에서 따뜻해지는 간빙기가 반복되는 힘든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싸움이 치열한 시기였습니다. 구석기실은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만날.. 2025. 3. 13. 비운의 단종비 정순왕후 유적지 단종비 정순왕후의 흔적숭인동 정순왕후의 유적지 비운의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는 15세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책봉 3년 만에 폐비가 되어 궁궐밖으로 쫓겨나, 동대문밖 숭인동 정업원에서 지내면서 평생 단종을 그리워하면서 쓸쓸하게 지내다 82세(중종 16년) 나이로 승하하셨습니다. 비운의 왕비 정순왕후의 삶을 기리기 위해 숭인동 근린공원 내에 기념공간을 조성해 놓았습니다. 동대문 밖 숭인동 근린공원에 조성된 비의 왕비 정순왕후 유적지 조감도 지하철 4호선 창신역 ④번출구로 나와 철계단으로 올라가면 숭인동 동망봉 근린공원길입니다. 종로구 숭인동 산 3번지유형문화재 제5호 정업원 터(淨業院 址)시대 영조 47년(1771년) 단종비 정순왕후는 궁에서 물러난 후 동대문밖 이곳 정원업(淨業院)에서 매일 동망봉에 영.. 2025. 3. 5. 2025 서대문형무소 1919 그날의 함성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서대문형무소역사관 3.1절 기념행사2025.03.01일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근대식 감옥으로, 1987년 폐쇄될 때까지 80년간 감옥으로 사용했던 건물로, 옥사는 붉은 벽돌로 지었으며, 수감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원형 감옥형태인 패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졌습니다. 03월 01일 10:00부터 서대문형무소 사형장 옆 추모공간에서 추모비 분향 후, 12 옥사 앞 태극기광장에서 군악대연주, 그날의 함성 독립운동 재현 퍼포먼스, 역사 어린이합창, 독립유공자후손의 독립선언문 낭독 후 독립공원 독립문 앞까지 독립만세 행진하는 순으로 3.1절 기념행사가 열렸습니다.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03.01일~ 03.02일 무료관람 많은 방문객으.. 2025. 3. 2. 한양도성 동쪽 조선 최대의 왕릉 동구릉 세계유산 조선왕릉 동구릉 東九陵사적 제193호2025.02.22일 한양도성 동쪽 구리시에 자리한 동구릉은 1855년 수릉(綏陵)이 9번째로 조성되면서 동구릉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조선왕릉 9개의 능(陵)에 17위에 달하는 조선의 왕과 왕비의 유택이 있는 가족묘로, 총면적 191만 5,890제곱미터(m2)에 달하는 거대한 왕릉군(王陵群)입니다. 그동안 교통이 불편해 동구릉가기가 좀 불편했는데 지하철 8호선 천호동에서 별내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동구릉역이 생겨나 가기가 편해졌습니다. 왕릉의 들머리임을 알려주는 홍살문(홍전문.紅箭門)은, 이곳을 지날 때에는 예를 갖추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합니다. 동구릉 9구의 능(陵)마다 작은 홍살문이 세워져 있습니다. 재실은 평상시에는 영(令: 종 5품) 또는 참봉(參奉.. 2025. 2. 23. 이전 1 2 3 4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