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390

신설동 서울풍물시장에서 동묘벼룩시장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서울풍물시장1915년 서울미래유산, 2023년 K관광마켓 각각 선정2025.07.04일 1950년대 초 6.25 전쟁 이후 종로구 숭인동에서 중구 황학동 일대까지에 고물상들이 모여들어 자연스럽게 형성된 일명 도깨비시장이 풍물시장이라는 이름으로 현재의 신설동으로 옮겨지면서, 2015년에는 서울 미래유산, 2023년에는 K관광마켓에 각각 선정된 우리나라 최대의 골동품 풍물시장입니다. 신설동 2층건물 서울풍물시장 1층 만물상점에는, 골동품과 함께 진기한 물건들이 즐비해 눈을 즐겁게 해 줍니다. 빨, 주, 노, 초, 파, 남, 보라동으로 구분해 각각 동마다 특색 있는 물건을 만나보는 상점가에서 추억을 쇼핑을 한 후 2층 7080 청춘일번가에 들러 추억거리를 나누어 봅니다. 1층 골동품 .. 2025. 7. 7.
국외소재 구운몽도 병풍과 백동자도 병풍 복원 특별공개 전시 국외문화재 다시 살려낸 그림 속 희망자료/국립고궁박물관2026.07.01일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지난 6.25일부터 25일간 구운몽도 병풍(九雲夢圖 屛風), 백동자도 병풍(百童子圖 屛風) 두 점을 "다시 살려낸 그림 속 희망" 아라는 주제로 국외소재 문화재를 특별공개하고 있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 다시 살려낸 그림 속 희망 특별전 국외에 있는 한국 문화유산은 우리 역사와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그중 미국 포틀랜드미술관의「구운몽도 병풍」과 덴버미술관의「백동자도 병풍」은 세월의 흐름에 따라 낡고 제 모습을 잃어 현지에서 활용이 어려운 두 점의 문화재를 국내 전문가의 손길을 거쳐 새롭게 복원해 단장한 두 점의 병풍 문화재를 소장국인 미국으로 돌아가기에 앞서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하는.. 2025. 7. 2.
역사속으로 사라진 답십리 영화촬영소 전성시대 답십리 영화미디어아트센터답십리 영화의 거리2025.06.26일 동대문구 답십리에 있는 답십리 영화의 거리 양화미디어아트센터를 찾았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1969년 이만희감독의 "생명"을 마지막 작품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 답십리 촬영소에서 사용했던 그 시절 촬영장비. 영화배우와 그들의 애장품을 만나봅니다. 답십리 영화의 거리 답십리영화미디어아트센터는 동대문구 "영화의 거리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미디어 예술 복합문화공간(지하 1층-지상 3층)으로 2022년에 새롭게 개관하였습니다. 영화미디어센터는 1960년대 한국영화촬영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답십리종합영화촬영소 일대라는 역사적 상징성을 띤 곳으로, 한국 영화사를 비롯한 답십리종합촬영소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보존. 계승하고자 영화전시관과 영화상영.. 2025. 6. 28.
영조임금 막내딸 화길옹주가 살던 宮집 개방 6월 20일 개방한 남양주 宮 집영조임금의 사랑을 품은 공간2025.06.22일 지닌 주말 남양주 宮집 지하 2층 주차장준공 및 영조임금이 사랑한 막내딸 화길옹주가 살던 宮집을 6여 년간의 정비를 마치고 6월 20일 시민들에게 개방했습니다. 宮집은 조선 21대 임금인 영조임금의 막내딸 화길옹주가 구민화에게 시집을 가자 그를 위하여지어 준 집으로, 국가 민속문화재 제130호 지정되어 있습니다. 남양주 궁집은 조선 21대 임금 영조가 화길옹주와 능성위 구민화의 혼인에 맞춰지어 준 집으로,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지만 개인 소유여서 일반인은 관람할 수가 없었습니다. 궁집의 소유주인 "무의자문화재단"은 고인이 된 재단 설립자의 뜻에 따라 2019년 5월 전통가옥과 땅 8천590㎡를 남양주시에 기부해.. 2025. 6. 25.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일본 문화재 명품 미술전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특별전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 06.20 국립중앙박물관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여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 특별전을 6월 17일부터 상설전시관 306호실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번 전시는 두 기관의 소장품 62건을 중심으로 일본미술의 외적 아름다움과 내면의 정서를 감상할 수 있게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은 일본을 대표하는 미술품을 소장하고 있는 도쿄국립박물관의 일본 중요문화재 7건을 포함 총 40건을 출품했습니다. 이중 38건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작품입니다. 첫 번째 시선 꾸밈의 열정 일본 미술품 전시실 17세기 일본의 채색 자기 겹겹이 반복되는 푸른 물결과 모란을 섬세하.. 2025. 6. 24.
불암산 힐링타운 갤러리 민화작가 기획전시 오순경 민화작가 기획전 오색향연노원 힐링타운 불암산아트포레 갤러리2025.06.18일 노원 힐링타운 불암산아트포레 갤러리에서 SBS드라마 사임당 빛의 일기 배우 이영애의 단아하고 우아한 매력을 고스란히 담아낸 모습을 그림에 담은 미인도 등 오순경 작가의 대표작 20점을 7월 23일까지 전시하고 있어 아트포레 전시실을 찾았습니다. 노원 힐링타운 아트포레 갤러리 전통의 색 현대를 물들이다. 작품명: 모던문배65 ×52ㅣ한지, 전통 천연안료 작품명: 도자책가64 ×64ㅣ한지, 전통 천연안료 작품명: 책거리85 ×60ㅣ한지, 전통 천연안료 작품명: 파초책가99 ×66ㅣ한지, 전통 천연안료 작품명: 연우 작품명: 드라마 속 사임당 미인도(이영애) Ⅰ 작품명: 드라마 속 사임당 미인도(이영애) Ⅱ 작품명: 매직.. 2025. 6. 21.
조선 전기미술 대전 새 나라 새미술 새 나라 새미술 특별전시전시기간 06.10~ 08.31일자료/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Ⅰ2025.06.17일 조선이라는 새 나라의 시작과 함께 국가와 사대부, 백성이 만들어 낸, 희망으로 가득 찬 시대의 새로운 미술을 만나보는 소중한 기회인 것 같습니다. 조선 전기 15-16세기의 도자, 회화, 불교미술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법당을 떠나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와 특별전시하고 있는 조계사의 보물 제2162호 목조여래좌상(木造如來坐像)은 이번주말인 22일까지만 전시한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는 조선 전기 200여 년간 펼쳐진 미술의 거대한 서사를 도자, 서화, 불교미술 세 분야로 나누고 각각 백(白), 묵(墨), 금(金)이라는 세 가지 색(色)으로 살펴보는 흥미로운 전시입니다. 은제 도금 탑형 사리기, 유기.. 2025. 6. 19.
인천 차이나타운에는 짜장면박물관도 있습니다 짜장면박물관인천 차이나타운 인천역 길 건너 안천 차이나타운에는 짜장면 박물관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화요리의 발상지라 할 수 있는 차이나타운의 짜장면의 역사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공화춘은 화강암 석축 위에 벽돌을 쌓아 올린 2층까리 벽돌건물로, 화교생활을 보여주는 근대유산으로, 박물관 입구의 걸려있는 공화춘(共和春) 간판은 1950년대 우리나라 최초의 중화요릿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화춘은 인천 연안부두의 신축으로 이 일대 상권이 무너지면서, 1983년 영업을 중단하였고, 2012년부터 짜장면 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는 공간입니다. 인천역 길건너에 형성된 차이나타운은 중구 선린동과 북성동 일대에 정착한 화교들이 그들만의 생활문화를 형성한 곳으로, 상거래가 활기를 띠면서 중화루, 공화춘 같은 유명한 요.. 2025. 6. 15.
생의 순간을 사진으로 남긴 사진관 기획전 사진관 전성시대자료/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2025.. 05.31일 우리나라 사진의 역사를 보면 1880년대 들어서 일본인에 의해 사진관이 들어서기 시작했습니다.. 사진관에서는 아기의 백일 사진이나 돌 사진부터 약혼, 결혼사진은 물론 생의 마지막을 함께하는 영정 사진까지 우리 삶의 의미 있는 순간을 사진으로 남기기 시작했습니다. 가족과 세대의 이야기를 전하며 그 시간과 기억을 고스란히 기록한 사진관은 우리 삶과 맞닿아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사진관의 변화상과 그 의미를 돌아보는 기획전시입니다. 시대가 바뀌면서 사진관도 변화했고, 정겨웠던 동네 사진관은 기억 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여전히 자기 모습과 일상을 남기려 하는 소망을 사진에 담고 있습니다. 어쩌면 오늘도 누군가는 그 순간을 .. 2025.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