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사찰(寺刹)69 사찰여행 서대문 안산자락 봉원사 천년고찰 태고종 봉원사奉元寺서울 서대문 안산(鞍山) 자락 서울 서대문 안산(鞍山) 자락의 세계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영산재로 잘 알려진 도심 속 천년고찰 봉원사를 찾았습니다. 봉원사는 신라 말기 진성여왕 3년(889년)에 도선국사가 처음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천년고찰입니다. 봉원사 입구 안산자락길(안산봉수대) 봉원사 부도와 연못, 400년생 느티나무 봉원사 사천왕봉원사연혁과 봉원사 가람 부처님의 제자 16 나한상(羅漢象) 아라한(阿羅漢)은 산스크리트 arhan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8세기 후반 말세신앙과 함께 16 나한에 대한 신앙이 깊어지기 시작했으며, 부처님 당시의 제자 중 16분의 아라한상을 봉원사 대웅전 뜰앞에 조성하여 봉.. 2025. 3. 22. 사찰여행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종로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安養庵 磨崖觀音菩薩坐像국가유산 서울 유형문화유산. 서울 종로구 창신동 낙산 절벽 마을 길에 자리한 안양암(安養庵)은 1889년 조선 왕실의 원찰로 성월 대사(性月大師)가 창건한 정토 도량(淨土道場)으로, 거대한 병풍바위산아래에는 마애관보살좌상(磨崖觀音菩薩坐像)이 있으며, 천오백불전에 있는 소조 좌불(塑造坐佛)의 70%가량은 왕실에서 시주를 한 전통사찰입니다. 사칠 이름인 안양(安養)의 뜻은 극락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안양(安養)"이라고 합니다. 지하철 동묘역 ⑨번출구에서 창신동 봉제골목 절벽마을길 따라 약 5분 거리에 안양암(安養庵)이 있습니다. 안양암이 있는 낙산 주변은 크고 작은 절들이 모여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낙산 바위산아래 자리한 안양암(安養庵.. 2025. 3. 14. 법화신앙 중심사찰 낙산묘각사 낙산 묘각사 落山妙覺寺서울 종로 숭인동 낙산(落山) 자락 관음종 사찰 서울 종로 숭인동 낙산아래 밀집해 있는 주택가 언덕 위에 자리한, 대한불교 관음종(大韓佛敎觀音宗)의 총본산으로, 『법화경(法華經)』을 중심으로 수행과 대중 불교운동을 지향한 법화신앙(法華信仰)의 중심사찰인 낙산 묘각사를 찾았습니다. 낙산(落山)은 풍수설에서 따르면, 서울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으로 이곳에 절을 지으면 한양시민이 편안하다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이곳에 일제강점기 때 태허 홍선스님이 묘각사를 창건하였다고 합니다. 묘각사는 템플스테이가 처음 시작된 2002년 월드컵 대회 때부터 템플스테이 사찰로 지정되어, 오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사찰로, 30여 개국이 넘는 많은 나라에서 1박 2일 템플스테이를 체험해오고 있는 도심 속 전통사.. 2025. 3. 8. 사찰여행 북악산길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불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보살좌상서울 성북구 북악산길 개운산자락 안암동 개운사는 성북구 개운산자락에 자리한 사찰로, 조선초 승려 무학 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원래 이름은 영도사였으나, 조선 후기에 현재 이름인 개운사(開運寺)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개운사(開運寺)는 직할 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며, 개운사 일주문에서 우측담장길 따라 300여 m 올라가면, 대원암(大圓庵)과 고려시대로 추정 돠는 마애불(普陀寺磨崖佛)이 있습니다. 선한 인연을 만들어가는 공간 개운사(開運寺) 개운사 사찰 선방에 걸려있는 편액 1922년 이정만(李正萬)이 쓴 '대각루(大覺樓)와, 1925년 이집천의 사해백련(四海白蓮) 개운사(開運寺)태조 5년(1396)에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동대문 밖 5리 정도 되는 .. 2025. 3. 4. 은평 황금법당 수국사 서울 은평 수국사소원이 이루어지는 황금법당2025.02.12일 서울 은평구 봉산아래 자리한 수국사(守國寺)는 1459년 세조의 큰아들 숭(崇: 덕종으로 추존)의 극락왕생을 위해 능침사찰(陵寢寺刹)로 창건한 정인사(正因寺)였으나, 1471년에 덕종의 부인이자, 성종의 모후인 인수대비(仁粹大妃) 한 씨(韓氏)가 판내시부 이효지(李孝智)에게 중창할 것을 명하여 총 119칸의 규모로 중창 후, 1900년 고종의 후원하에 수국사를 중창, 역대 주지스님들이 계속하여 중창을 거듭해 오다 1995년 황금법당을 지었습니다. 황금보전 법당은 청기와로 된 전통목조법당이며, 법당 안팎을 기와 이외에는 100% 순금으로 개금불사했습니다. 수국사 봉산 숲길 황금사원의 황금잎에 소원을 적어 보세요 수국사 문화센터 .. 2025. 2. 14. 사찰여행 수락산 천년고찰 흥국사 수락산 덕절 흥국사興國寺삼국시대 신라 원광법사가 창건한 천년고찰2025.01.17일 삼국시대 신라 599년(진평왕 21)에 원광법사가 수락사(水落寺)라는 절을 창건 후, 1568년(선조 1년)에 선조는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한 사찰로, 원당(願堂)때문에 덕절로 불리었으며, 1626년(인조 4년)에 흥국사(興國寺)로 개명 현재에 이르고 있는 천년고찰입니다. 지하철 4호선 불암산(옛 당고개역) 역에서 10-5번 버스카고 5분 거리에 있는 덕릉마을입구 남양주 덕릉마을 입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언덕 위에 자리한 흥국사일주문 興國寺大房경기문화재자료 제56호 흥국사 대방에 걸려있는 흥국사(興國寺) 편액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 2025. 1. 20. 사찰여행 삼각산 화계사 삼각산화계사 三角山華溪寺북한산 사찰여행2025.01.04일 2025 을사년 새해 북한산의 삼각산(만경봉, 백운봉, 인수봉) 동남쪽 칼바위 능선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천년세월을 지내온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교구소속의 전통사찰을 찾았습니다. 화계사 일주문을 지나 약 100여 m 올라가면 북한산둘레길 화계사분기점 19코스와 20코스의 등산로가 나옵니다. 북한산둘레길 제19코스, 20코스 등산로 화계사 동종(銅鐘)/보물 제11-5호범종각에 걸려 있는 조그마한 종으로 크기는 작지만 오랜 역사를 지닌 유물입니다. 본래 경북 희방사에 있던 것을 1898년에 화계사로 옮겨왔으며, 동종에 새겨진 명문에 따르면 1683년 사인 스님에 의해 제작된 무게는 300근에 달하는 동종입니다. 미륵부처님은 석가모니 부처님 열.. 2025. 1. 7. 불암산의 천년고찰 불암사 불암산 506m 중턱 불암사 佛巖寺신라 지증국사가 창건한 천년고찰 서울시와 남양주 경계에 있는 불암산(佛巖山) 중턱에 자리한 천년고찰 불암사는 조선세조 때, 왕실의 동서남북 4대 원찰 (불암사, 진관사, 삼막사, 승가사) 중 "동쪽의 불암사"를 가장 으뜸으로 꼽는 사찰이었습니다. 약사전에는 약사여래좌상과 석가모니가 대각(大覺)을 방해하던 마구니의 항복을 받는 수하항마도(樹下降魔圖)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범종각의 타종은 누구나 칠 수가 있게 배려하고 있습니다.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7세기 전반기 전국 각지에서 크게 활약한 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 성수, 심인, 상림, 경성 등 모두 5명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1649년(인조 27)에 완성한 관음불상입니다. 대웅전 오른쪽에 자리한 삼성각.. 2024. 12. 29. 2024 12월21일 동짓날 12월 21일 동짓날수송동 조계사2024.12.21일 올해 12월 21일은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 절기 가운데 스물두 번째 절기인 동지(冬至)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270° 위치에 있을 때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24 절기의 대한과 소한 사이에 있으며 양력 12월 22일경으로, 고대인들은 이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여 축제를 벌이고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으며 이러한 전통은 많은 세시풍속을 낳게 되었습니다. 동짓날 종로 조계사를 찾았습니다. 조계사 일주문앞에는 아기예수 탄생을 기념하는 크리스마스 조형물을 꾸며 놓았습니다. 수피가 백색인 백송(白松)은 백년해로 상징하는 흰 소나무로, 조계사 백송은 수령 600년, 지름 1.7m.. 2024. 12. 22.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