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9

서울미래유산 홍릉숲 여름꽃 명품 홍릉숲 여름꽃국립산림과학원 서울미래유산 숲2025.06.29일 지루한 장마철이지만 산책하기 좋은 도심 속 숲을 소개해 봅니다. 지난 주말 주말에만 자유탐방할 수 있게 개방하는 서울미래유산 우리나라 100대 명품숲 중 한 곳인 홍릉숲을 찾았습니다. 홍릉숲은 산림보호를 위해 주말에만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있는 숲입니다. 홍릉 국립산림과학원 서울미래유산 홍릉숲 무더운 여름이지만 시원한 그늘이 있는 왕벚나무 쉼터 하늘을 가린 울창한 홍릉숲 망개나무 열매학명: Berchemia berchemiifolia꽃말: 장난 망개나무 열매망개떡을 이시나요!! 망개떡은 망개나무 잎으로 만든 떡이 아닙니다.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싸 만든 것이 망개떡인데, 청미래덩굴 떡이라 하지 않고, 망개떡이 된 것은 청미래덩굴을 경상도 .. 2025. 7. 3.
곤충생태학습장 불암산 나비정원 불암산 나비정원 나비온실노원 힐링타운2025.06.20일 노원 불암산 힐링타운은 나비정원, 무장애숲길, 정원지원센터, 카페 포레스트, 산림치유센터, 사계절정원, 힐링가든, 유아숲체험장, 전망대, 피크닉장 등이 들어서 있는 불암산 힐랑타운의 너비정원을 소개해 봅니다. 불암산자락 노원 불암산 나비정원 야외 피터팬 걸리버여행 야외나비정원 불암산나비정원 Ⅰ. 불암산 나비정원 나비정원은 2층으로 올라가 곤충의 세계 학습관으로, 불암산에서 살고 있는 곤충표본 및 각종 곤충류 표본과 함께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2급 곤충류인 물장군, 사습벌레, 메뚜기등 다양한 곤충 표본과 자료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곤충학습장입니다. 또한 연중 살아있는 나비를 볼 수 있는 나비온실이 있습니다. 나비정원 곤충학습장나비정원 내부 관람동선 .. 2025. 7. 1.
푸른뱀의 해 다산과 풍요 뱀이야기 다산과 풍요와 지혜로운 존재 뱀 전시자료/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2025.03.20일 포천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에서는 乙巳年 푸른 뱀의 해를 맞이하여 「기획전시 스르륵 巳르륵」을 서울상상나라의 협찬으로 뱀이야기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뱀에 대한 두려움과 편견을 넘어, 뱅의 지혜와 생명의 상징성을 재발견하는 시간올, 3월 1일까지 전시계획이었으나 4월 초까지 연장전시 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성스러운 동물로 여겨온 친숙 하면서 기피하는 동물. 허물을 벗고, 자연 속에서 끊임없는 변화를 하며 생존해 나가는 뱀은 다산과 풍요로움을 의미하기도 하고, 지혜로운 존재로 알려진 뱀의 일상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생물의 다양성 광릉숲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뱀 뱀의 신비로운 생김새뱀은 파충류(Reptilia)에 속.. 2025. 3. 26.
생태계의 보고 유네스코 광릉숲정원 국유림 명품숲 광릉숲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25.03.19일 아름다운 설경숲을 보러 포천 국립수목원을 찾았으나 어제 새벽 내린 폭설은 하루가 지나자 언제 왔나 싶을 정도로 녹았습니다. 예상한 설경을 보지 못해 아쉬움은 있으나 걷기 좋은 광릉숲을 소개해 봅니다. 명품숲 광릉숲은 56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천연림과 주변을 둘러싼 인공림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2,425ha 면적의 아름다운 숲은 역사와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인정받은 우리나라에서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생물종(種)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국립수목원 광릉숲길    생태숲 관찰로 에는 쓰러진 고목이 많이 보이는데 고목이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관찰하면서 걷는 데크로드입니다. 쓰러진 나무가 완.. 2025. 3. 20.
노원 힐링타운 곤충의 세계 나비정원 연중 나비를 볼 수 있는 나비온실노원 불암산 힐링타운 겨울방학 자녀와 함께 가볼 만한 노원 힐링타운의 나비정원을 소개해 봅니다. 나비정원은 전 세계의 나비정보를 전시하고 있는 나비전문 정원으로, 나비온실에서는 일 년 열두 달 살아있는 생생한 날아다니는 흰나비, 노랑나비, 호랑나비 등등~~ 나비를 볼 수 있는 자연생태학습장입니다. 노원 불암산 힐링타운에 있는 나비정원은 곤충생태 학습장으로, 나비정원에서는 전 세계 나비표본과 각종 곤충의 세계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이며, 별도의 나비온실에서는 연중 살아 움직이는 나비를 관찰할 수가 있습니다. 노원 힐링타운 내 불암산 나비정원 걸리버 노원여행 기라는 주제로 야외에는 봄에서 가을까지 피는 형형색색의 야생화로 꾸며놓은 야외 나비정원 나비정원의 내부.. 2025. 2. 19.
여름야생화 충매화 여름꽃 충매화와 풍매화 대부분의 여름에 피는 꽃은 충매화(蟲媒花)입니다. 여름꽃 중 아름다운 덩굴나무 능소화(凌霄花)를 소개해봅니다. 능소화 수술 끝에 달리는 꽃가루의 끝이 갈고리처럼 생겨서 눈에 들어가면 심한 통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는 하나,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될 수도 있다는 속설은 능소화가 풍매화(風媒花)로 잘못 알려져 생긴 오해인 것 같습니다. 실제 능소화의 꽃가루로 인해 피해를 본 사레는 아직 까지 없다고 합니다. ※풍매화(風媒花)는 꽃가루가 바람에 날려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데, 능소화가 풍매화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는 충매화(蟲媒花)입니다. 풍매화(風媒花) 풍매화는 바람에 의해서 꽃가루가 운반되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을 풍매화라고 하는데, 풍매화는 대부분 꽃이 작고 꽃잎이 없으며 .. 2024. 7. 5.
복주머니란 속 희귀식물 희귀 식물 복주머니란 속 전시원포천 국립수목원2024.05.10일 지난주에 찾았을 때는 광릉요강꽃은 피기는 했으나 복주머니란 속(屬) 식물은 피기 시작하고 있어, 다시 국립수목원을 찾았습니다. 아쉽게 벌써 광릉요강꽃은 벌써 지고, 세계적으로 희귀 식물인 복주머니란 속(屬) 식물은 활짝 피었습니다.  복주머니란 속(屬) 식물은 우리나라에서는 3종(種)만이 자생하고 있는 희귀 식물로, 광릉수목원에서 별도의 공간에 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한, 광릉요강꽃 등 3종(種)을 키우고 있습니다. 강원도, 전라북도 고산지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커다란 잎과 꽃이 활짝 피면 화사함을 뽐내는 광릉요강꽃은 개체수가 워낙 적어 희귀종(種)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광릉요강꽃은 난초과(科)에 속해있는 멸종위기 Ⅰ급식물로 지정되어 있.. 2024. 5. 12.
광릉요강꽃이 활짝피고 있습니다 광릉요강꽃과 세계 희귀란포천 광릉 국립수목원2024.04.26일 포청 광릉 국립수목원 희귀 식물 야생전시원에는 04월 26일 현재 광릉숲에서 만 볼 수 있는 광릉요강꽃과 전 세계에 서 자생화는 희귀란(蘭) 속 식물들이 피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복주머니란(蘭) 속 (Cypripedium.L.) 식물은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해있는 희귀 식물로, 전 세계에 약 50여 종이 북반구 아열대에서~ 온대지역까지 넓게 분포되어 있는 희귀 식물로, 오 우리나라를 포함 아시아지역에 38종(種)이 서식하고 있는 만보보기 쉽지 않은 귀한 식물들입니다. 광릉요강꽃이 활짝 피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광릉요강꽃을 별도의 공간에서 24 hr 모니터링하면서 연구하고 있는 장소입니다.   광릉숲일대에서 처음발견되어 광릉요강꽃.. 2024. 4. 27.
디엠지 접경지역에 핀 야생화 DMZ 접경지역 야생화 꽃망울 DMZ 둘레길에 피어나는 봄꽃 자료출처/산림청 국립수목원 2024.04.09일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접경지역에 위치해 있는 디엠지 자생식물원에는 겨우내 쌓었던 눈이 녹아내리면서 소박한 매력을 지닌 봄꽃 야생화가 피었습니다. 봄을 알리는 복수초, 너도바람꽃을 시작으로, 자생식물원과 디엠지펀치볼 둘레길의 계곡과 나무그늘에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동강할미꽃이 고개를 내밀고, 모데미 풀, 돌바람꽃, 꿩의바람꽃, 노루귀, 깨이낑이풀, 노랑제비꽃, 동의나물과 봄꽃의 여왕으로 불리 얼레지가 무리 지어 피고 있다고 합니다. 모데미풀은 깊은 산속 계곡 주변이나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자라는, 우리나라에서 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라고 합니다. 찾아온 봄꽃 야생화 ①노루귀 ②돌바람꽃 ③너도바람꽃 ④.. 2024.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