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

서울미래유산 홍릉숲 여름꽃

by @산들바람 2025. 7. 3.

명품 홍릉숲 여름꽃

국립산림과학원 서울미래유산 숲

2025.06.29일
 

지루한 장마철이지만 산책하기 좋은 도심 속 숲을 소개해 봅니다. 지난 주말 주말에만 자유탐방할 수 있게 개방하는 서울미래유산 우리나라 100대 명품숲 중 한 곳인 홍릉숲을 찾았습니다. 홍릉숲은 산림보호를 위해 주말에만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있는 숲입니다.
 

여름꽃나무-썸네일
산람과학원-명품숲
대한민국 100대명품숲

홍릉 국립산림과학원 서울미래유산 홍릉숲

 

왕벚나무-쉼터
왕벚나무 쉼터

무더운 여름이지만 시원한 그늘이 있는 왕벚나무 쉼터

 

홍릉숲-둘레길

하늘을 가린 울창한 홍릉숲

 
 

망개나무 열매

학명: Berchemia berchemiifolia
꽃말: 장난
 

망개나무-열매-01
망개나무-열매-02
망개나무-열매-03

망개나무 열매
망개떡을 이시나요!!

 
망개떡은 망개나무 잎으로 만든 떡이 아닙니다.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싸 만든 것이 망개떡인데, 청미래덩굴 떡이라 하지 않고, 망개떡이 된 것은 청미래덩굴을 경상도 방언으로 망개나무라 부른 데서 유래합니다.
 

 

망개나무-열매-04
20m이상 자라는 망개나무

망개나무는 멸종위기 2급으로 보호받고 있는 세계적 희귀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3곳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망개나무가 있는데 ①충북 모은 속리산 망개나무 제206호 ②충북 괴산 사담리 희귀 수종 망개나무 군락지는 제266호 ③충북 제천 망개나무 군락지는  제337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습니다.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

망개떡 청미래덩굴과 망개나무 망개떡을 아시나요 어렸을 적 기억으로 겨울밤 촐촐한 야식 때가 되면 저 멀리에서 들려오는 아름다운 멜로디, 찹~쌀~~~ 떡!! 망개~~~ 떡!! 먹고는 싶은데~~ 군침만

balgil.tistory.com

▲웰빙식품 망개떡을 만드는 망개떡 잎

 
 

나도밤나무

학명: Fagus
꽃말: 나를 업신여기지 마세요
 
★너도 밤나무냐 나도 밤나무다.
 

나도밤나무-열매-01
나도밤나무-열매-02
나도밤나무-열매-03
나도밤나무-열매-04
나도밤나무

나도밤나무는 나도 밤나무과(科)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나도밤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는 잎의 모양 특히, 잎맥과 잎 가장자리에 달려있는 뾰족한 톱니가 밤나무의 잎과 유사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너도밤나무

학명: Meliosma
꽃말: 번영, 창조
 
울릉도 특산수종
울릉도 서면 태하동의 너도밤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관리하고 있는 수종입니다.
 

너도밤나무열매
너도밤나무-잎
너도밤나무
울릉도 특산수종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는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수종으로. 형태적으로는 밤나무와 닮은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잎이 밤나무보다 약간 작고 더 퉁퉁하게 생겨 이나무를 처음 본 사람들이 "너도 밤나무처럼 생겼구나!" 하여 너도 밤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우산(雨傘) 나물

학명: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꽃말: 편히 쉬세요
 

우산나물
식용가능한 우산나물

삿갓나물(유독성 식물)과 유사한 우산나물은 참나물처럼 향긋하면서 독특한 향기가 나는 식용가능한 식물로, 새순이 올라와서 잎이 채 벌어지기 전에 우산을 펼친 모양 같기도 하고 삿갓 같기도 해서 얻은 이름입니다. 
 

산책하기-좋은숲

홍릉숲

 

능소화(凌凌宵)

학명: Campsis grandifolia (Thunb.) K.Schum.
꽃말: 명예, 그리움
 

중국산-능소화-01
중국산-능소화-02
능소화(凌凌宵)

중국의 시경(詩經) 소아(小雅) 편에 소지화(小之華)라는 이름으로 능소화 시(時)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3천 년 전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던 능소화는 "하늘을 업신여기고 능가하는 꽃"이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아름다운 꽃입니다.  
 
 

꽃댕강나무

학명: Abelia x grandiflora
꽃말:환영, 평안
 

꽃댕강나무-꽃-01
꽃댕강나무-꽃-02
꽃댕강나무-꽃-03

꽃댕강나무

 
꽃댕강나무는 댕강나무를 원예종으로 개발한 나무로, 댕강나무는 평안도의 석회암 지대에서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인동과 나무로, 가지를 꺾으면 '댕강' 하는 소리가난 다고 하여 댕강나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종모양의 작은 꽃들은 7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초겨울까지 피는 꽃나무입니다.
 
 

때죽나무

학명: Styrax japonicus Siebold Zucc.
꽃말: 겸손
 

때죽나무-01
때죽나무-02
때죽나무-03

때죽나무

 
때죽나무의 열매와 잎에는 애고사포닌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고기를 잡을 때 덜 익은 열매와 잎을 갈아 물에 풀면 물고기를 잠시 기절시키수 있어 물고기를 쉽게 잡을 수 있다고 합니다. 때죽나무라는 이름은 땅을 향하여 매달리는 열매의 머리(종자껍질)가 약간 회색으로 반질반질해서 마치 떼로 모여있는 스님의 모습을 연상시켜 처음에는 "떼 중 나무"로 부르다가 때죽나무가 되었다는 설과,. 열매나 잎을 찧어 물에 풀면 물고기가 기절하여 떠오르기 때문에 "떼로 죽인다"라는 의미로, 때죽나무라 불렸다는 합니다.
 
 

때 죽 납작 진딧물 충영(蟲癭)

학명: Ceratovacuna nekoashi)
 

때죽나무-충영-01
때죽나무-충영-02
때죽나무-충영-03
때죽나무-충영-04
때죽나무에 기생해 살아가는 충영

 
때죽나무에 기생하며 살아가는 바나나 모양의 벌레혹(충영)을 만드는 진딧물로,. 이들은 때죽나무 잎의 측아 속에서 즙액을 빨아먹고 벌레혹을 형성하며, 벌레혹 속에서 번식을 합니다.
 
 

탐라산수국

학명: Hydrangea serrata f. fertilis Nakai:
 

탐라산수국-01
탐라산수국-02
탐라산수국-03

탐라 산수국

 
중부 이남 표고 200~1,400M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제주에서 자생하는 수국으로 탐라산수국으로 불립니다.
 
 

산수국

학명: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Zucc.) Wilson]
꽃말: 처녀의 꿈
 

산수국꽃-01
산수국꽃-02
산수국꽃-03
산수국꽃-04
꺽꽃이로 번식하는 산수국

 
산수국은 꽃봉오리 주위에 예쁜 꽃잎들이 피는 데 이는 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위장용이며, 실제는 암술과 수술이 없는 헛꽃으로 중간에 작게 모여있는 것이 진짜 꽃입니다. 산수국은 열매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벌이나 나비가 모이지 않습니다. 산수국은 열매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꺾꽂이로 번식을 합니다.
 
 

범꼬리

학명: Bistorta officinalis Delarbre subsp. japonica (H.Hara) Yonek
꽃말: 키다리
 

범꼬리-01
범꼬리-02
범꼬리-03

마디풀과 식물 범꼬리

범꼬리는 원주형(圓柱形)의 화서 모양이 범의 꼬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냉초(冷草)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꽃말: 청결
 

냉초-01
냉초-02
냉초(冷草)

 
냉초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냉증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우리나라 곳곳의 산기슭의 습한 곳에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피나무

학명: Tilia amurensis RUPR
꽃말: 부부애
 

피나무-01
피나무-02
활엽교목 피나무

피나무의 "피(皮)"는 피나무의 수피를 뜻하며, 파니무는 쓰임새가 많은 나무로, 팔만대장경의 경판도 피나무로 제작하는 등 예로부터 고급자재로 활용하였으며, 또한 피나무의 꽃의 꿀은 꿀 중에서 최상이라고 합니다.
 
 

호랑가시나무

학명: Ilex cornuta Lindl. Paxton
꽃말: 향복, 평화
 

호랑가시나무-01
호랑가시나무-02
호랑가시나무-03

늘 푸른 호랑가시나무

 
호랑가시나무는 희귀, 특산식물로 크리스마스트리로도 많이 사용하는 나무 중 하나인, 사철 늘 푸른 나무입니다. 육각형의 잎끝이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어 마치 호랑이 발톱을 연상시켜 붙여진 이름으로, 전북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은 천연기념물 제12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교통
홍릉숲에는 주말방문객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없습니다. 지하철 6호선 고려대 ③번출구로 나와 도보 5분 거리에 산림과학원 홍릉숲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