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천연기념물11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 망개잎으로 싸서만든 망개떡 2020.08.22일 경상도 의령 지방의 특산물 망개떡은 망개나무 잎으로 싼 떡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망개나무잎으로 만든 떡을 지니고 다니면서 끼니를 때웠다고 할 만큼 오랜 세월을 함께한 떡이라 할 것이다. 사실은 여기서 말하는 망개떡의 망개나무잎은 공식 명칭인 망개나무잎이 아니라 청미래덩굴의 잎을 말한다. 청미래덩굴을 경상도와 전라도 남부지방에서는 망개나무라 부른다고 한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사투리일 뿐 실제의 망개나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천연기념물 지정 희귀 수종 망개나무 [멧대싸리] [살배나무] 꽃말: 장난 실제의 망개나무는 전세계적으로 희귀한 수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나, 그 수가적어 명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이.. 2020. 8. 21.
천연기념물 선농단 향나무와 선농단先農壇 천연기념물 제240호 선농단 향나무(先農壇 香栢)①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2동 2020.08.10일 선농단(先農壇)의 향나무는 국내에서 자라는 향나무 중 크고 오래된 나무로, 선농단의 향나무는 우리 조상들의 문화와 관련된 자료로 가치가 크며, 600여 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지내온 나무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197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선농단 아래에 있는 향나무 향나무는 대게 자라면서 휘어지는데 선농단 향나무는 특이하게 위로 곧게 자랐으며, 높이 약 13m, 둘레는 2.3m의 늘푸른 키나무 이다. 천연기념물 제240호 선농단 향나무(先農壇 香栢) 사적 436호 선농단(先農壇) 선농단(先農壇)은 1972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사적 제436호로 승격되었.. 2020. 8. 10.
가침박달나무와 까치박달나무 가침박달 과 까치박달 2020.07.15일 이름은 비슷하나 전혀 다른 과(科)의 식물이다. 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한 낙엽활엽 관목이나, 까치박달나무는 자작나무과에 속한 낙엽활엽 교목이다. 가침박달 [까침박달] 꽃말: 숨겨진 아름다움 [희귀나무] 나무가 박달나무처럼 단단하다 하여 ‘박달’이라는 이름을 얻기는 하였으나, 실은 박달나무가 아닌, 장미나무 과에 속해 있으며. 박달나무는 자작나무 과에 속한다. 임실 덕천리에 있는 가침박달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87호로 지정되어 있다. 임실 가침박달나무 군락은 직선거리 500m 내에 약 280그루, 3㎞ 내에 다시 300그루 정도의 무리를 이루고 있어 그 규모가 매우 크다. 남부지방에 자라고 있는 매우 보기 드문 대규모 군락지로서 식물분포학 상 가치가 높아 천연기.. 2020. 7. 15.
우리나라 고유종 특산식물 개느삼 우리나라 특산식물 양구 자생지 천연기념물 제372호 개느삼 [개너삼] 2020.05.08일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의 양구, 인제 등 강원 북부지방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양구읍 한전리, 임당리 일대의 "양구 개느삼 자생지"를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1속 1종의 특산 수종이다. 개느삼 학명: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개느삼은 콩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으로, 양지바른 곳과,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개느삼은 5월에 노란색의 총상 꽃차례는 길이 3 ~ 5cm로 새가지 끝에서 나와 5 ~ 6개의 꽃이 달리며, 크기는 약 1m 정도이다. 개채수는 많으나 유전적 다양성은 크지 않은 개느삼. 자생지를 .. 2020. 5. 8.
효종대왕릉 회양목 黃楊木 천연기념물 제459호 회양목(黃楊木) 2019.02.22일 경기도 여주군 세종대왕유적관리소 효종대왕릉 재실(齎室) 안에 있는 300년된 회양목(黃楊木) 수령 300년된 효종대왕릉 재실(齎室) 앞마당의 회양목 300여년 동안 자라 온 나무로, 유래 및 역사성이 매우 깊을 뿐만 아니라 회양목으로서는 매우크고 수형이 양호하여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도 우리나라의 회양목을 대표할 만한 노거수(老巨樹)라고 한다. 세월의 깊이를 가늠케하는 이 회양목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무로 알려져 있다. 2019. 2. 23.
한탄강대교천 현무암협곡 천연기념물 435호 한탄강 대교천(漢灘江 大橋川) 현무암 협곡(玄武岩 峽谷)1.5km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 1133 2018.11.23일 대교천 현무압협곡은 약1.5km(주께 약25m)에 걸쳐 현무압절벽과 하천바닥도 현무암으로 이루져있는 명있으며, 다양한 주상절리가 잘 발달되어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명소 포천과철원 경계 대교천입구 대교천 동송읍 대교천상류 대교천은 철원용암지대사이에 협곡을이루며흐르는 총 연장15km의 지방하천 대교천 생각같이 맑지않은 하천 대교천을 건너면 철원 철원평야 대교천 협곡 대교천 안내표지판 표지판은있는데 내려가는길은없고 덤불너머는 직벽 덤불을헤치고 협곡을 볼수밖에~~~?? 국도따라 더 가다보면~~ 국도변에 다시나오는 협곡안내 표지판 국도 표지판너머 협곡입구~~~썰렁 천연기.. 2018. 11. 25.
천연기념물 산사나무 천연기념물 제 506호 영휘원 산사나무 2018.03.17일 서울청량리동 영휘원 산사나무 지금은 고사목이 되어 아쉽게 천연기념물 지정 해제가되어버린 산사나무 영휘원 산사나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후 3년만에 고사목이 되어버린 산사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해제 알림 문화재보호법 제31조및 시행규칙 제12조제1항 규정에의거 국가 지정문화재 지정해제 고시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문화재청 고시 제2015-29호 1. 고시명 :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제 506호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지정해제 2. 해제문화재 종별및명칭 : 천연기념물 제 506호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도 205번지(영휘원 내) 수 량 : 1주(314㎡) 3. 해제사유 : 2012년 태풍 볼라벤 강풍피해및 생리.. 2018. 3. 17.
수송동 백송 백송[白松] [Lace-bark Pine, 뜻: 백년해로] 2015.01.11일 ○희귀수종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수피(樹皮)는 밋밋하나 자라면서 점차 큰 비늘조각처럼, 벗겨지고 회백색을 띠기 때문에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松)이라고 부른다. 중국이 원산지인 백송이 언제 한국에 들어 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에 있는 백송의 수령이 약 600년 된 것으로 보아 그 무렵에 중국에서 들여와 심은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특산이며 희귀 수종으로 가꾸고 있다.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는 큰 나무이다. 가지가 크며 수관은 둥글게 발달한다. 잎은 3개씩 달리고 눈비늘이 일찍 떨어지며 길이7∼9cm, 너비 1.8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긴 타원형이며 암꽃은 달걀 모양이다.. 2017. 10. 20.
마니산 참성단소사나무 마니산참성단(塹星壇) 소사나무 2013.02.10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문산리 산 55 [참성단 내] 마니산(摩尼山) 강화도에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고려산, 혈구산, 진강산, 마니산 등 4개 산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솟아 있는데 그중 제일 높은 산이 마니산이다〈고려사〉〈세종실록지리지〈태종실록〉 등 문헌에는 머리산, 우두머리산이란 뜻의 마리산(摩利山) 또는 두악(頭嶽)으로 쓰여있다. 지금도 마리산으로도 불리며, 마리란 머리를 뜻하는 고어로, 강화도뿐 아니라 전 민족의 머리로 상징되어 민족의 영산으로 숭앙되고 있다. "마니산'"개미허리'에서 98개의 계단길을 올라가면 사적 제136호인 '참성단'(塹星壇)이 있는데, 이곳에서 매년 개천절과 전국체전 때마다 성화가 채화된다. 참성단은 단군왕.. 2017.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