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
망개잎으로 싸서만든 망개떡
2020.08.22일
경상도 의령 지방의 특산물 망개떡은 망개나무 잎으로 싼 떡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망개나무잎으로 만든 떡을 지니고 다니면서 끼니를 때웠다고 할 만큼 오랜 세월을 함께한 떡이라 할 것이다.
사실은 여기서 말하는 망개떡의 망개나무잎은 공식 명칭인 망개나무잎이 아니라 청미래덩굴의 잎을 말한다. 청미래덩굴을 경상도와 전라도 남부지방에서는 망개나무라 부른다고 한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사투리일 뿐 실제의 망개나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천연기념물 지정 희귀 수종
망개나무
[멧대싸리] [살배나무]
꽃말: 장난
실제의 망개나무는 전세계적으로 희귀한 수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나, 그 수가적어 명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이다.
망개떡의 잎으로 오해받고 있는 망개나무가 8월 들어 빨갛게 열매가 익어가고 있다.
이 나무를 왜 망개나무로 부르게 되었는지 아직까지 유래는 알려진 바 없다.
충북 보은 속리산의 망개나무는 천연기념물 207호, 충북 괴산 사담리 군락지를 천연기념물 제266호, 충북 제천 송계리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37호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다.
홍릉수목원/망개나무
위 수목원의 망개나무는 경주 주왕산 자생지에서 채집되어 식재된 나무로, 경상도에서는 살배, 충청도에서는 산에서 자라는 대나무라는 뜻으로 맷태싸리 라고도 하며, 꽃은 중요한 밀월 식물로 가을에 노란색의 단풍으로 물든다.
영 문 : Asian supplejack
학 명 : Berchemia berchemiaefolia (Makino) Koidz.
분 류 : 갈매나무과 (Rhamnaceae)
형 태 : 낙엽활엽소교목.
분 포 : 경북 군위군, 포항, 속리산, 주왕산/일본
서 식 : 주로 계곡에서 서식한다.
크 기 : 수고 15m, 직경 40cm
청미래덩굴
[망개나무][명감나무][좀명감나무][명감]
꽃말: 망개나무와 같은 장난
약2~3m정도까지 뻗어 나가는 덩굴성 식물
청미래덩굴 열매는 청색, 적색으로 익는다.
청미래덩굴의 뿌리를 토복령(土茯笭)으로 불리는데, 각종 공해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에게는 귀중한 약초차가 된다.
청미래덩굴잎
경상도 의령지방의 특산물 망개떡을 싸는 청미래덩굴 잎
영 문: Wild Smilax, China Root
학 명: Smilax china L.
분 류: 백합과 Liliaceae.
형 태: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
분 포: 원산지는 한국이며/중국,일본에도 분포
서 식: 중부 이남 산지의 양지에서 자생
'여행&둘레길 > 천연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선농단 향나무와 선농단先農壇 (47) | 2020.08.10 |
---|---|
가침박달나무와 까치박달나무 (50) | 2020.07.15 |
우리나라 고유종 특산식물 개느삼 (63) | 2020.05.08 |
효종대왕릉 회양목 黃楊木 (1) | 2019.02.23 |
한탄강대교천 현무암협곡 (11) | 2018.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