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사찰(寺刹)

사찰여행 수락산 천년고찰 흥국사

by @산들바람 2025. 1. 20.

 

수락산 덕절 흥국사興國寺

삼국시대 신라 원광법사가 창건한 천년고찰

2025.01.17일

 

삼국시대 신라 599년(진평왕 21)에 원광법사가 수락사(水落寺)라는 절을 창건 후, 1568년(선조 1년)에 선조는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한 사찰로, 원당(願堂)때문에 덕절로 불리었으며, 1626년(인조 4년)에 흥국사(興國寺)로 개명 현재에 이르고 있는 천년고찰입니다.

 

흥국사-썸네일
수락산자락 천년고찰 흥국사 대방
덕릉마을-흥국사입구-01
남양주 덕릉마을 흥국사입구
덕릉마을-흥국사입구-02
남양주 덕릉마을

지하철 4호선 불암산(옛 당고개역) 역에서 10-5번 버스카고 5분 거리에 있는 덕릉마을입구

 

노거수-느타나무
더릉마을 보호수 500년생 느티나무
덕흥대원군-대종회
덕릉마을 전주이씨 덕흥대원군파 대종회
일주문
흥국사 일주문

남양주 덕릉마을 입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언덕 위에 자리한 흥국사일주문

 

 

부도비
흥국사 부도비
흥국사-주차장-01
흥국사-주차장-02
수락산자락 흥국사 사찰
흥국사의-큰법당-대방-01
흥국사의-큰법당-대방-02
흥국사 대방(大房)

興國寺大房

경기문화재자료 제56호

 

흥국사 대방에 걸려있는 흥국사(興國寺) 편액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친필글씨라고 합니다.

 

공양간-덕혜당
대방 옆에있는 공양간 덕혜당

"공덕은 맑고 물 같고, 지혜는 밝은 달 같네"라는 글귀가 있는 덕혜당

 

흥국사-종무소길-01
흥국사-종무소길-02
흥국사 종무소
약사불로가는-언덕길

약사여래불과 나한으로 가는 언덕길

 

약사부처님과-나한상-01
약사부처님과-나한상-02
석조약시 여래좌불과 나한상

石造藥師如來坐像

수락산 등산로 언덕 위에 봉안한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이 석조여래좌상 주변에 자유스럽게 모셔놓은 나라한.

 

고즈넉한-사찰-흥국사
언덕위에서 내려다본 흥국사
남양주-흥국사사찰-01
남양주-흥국사사찰-02
남양주 천년고찰 흥국사
흥국사-안내
흥국사 연혁
영산전
흥국사 영산전(靈山殿)
영산전-불상
영산전 삼존불
걍기문화재자료-56호-대웅전
흥국사 대웅보잔

興國寺大雄寶殿

경기 문화재자료 제56호

 

1818년(순조 18) 큰 화재를 입어 소실된 것을 1821년에 중건한 이후, 1917년에 중수를 하였으며, 목조석가삼존불좌상을 중심으로 지장탱, 신중탱, 칠성탱, 감로탱, 현왕탱 등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대웅전옆에-자리한-시왕전
흥국사 시왕전

十王殿

흥국사 대웅보전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는 전각으로, 내부에는 중앙의 목조지장삼존을 비롯 시왕, 판관, 귀왕, 사자, 장군 등의 명부권속을 배치하였으며, 존상 뒤로는 1792년 조성한 지장탱과 시왕탱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독성전
흥국사 독성전(獨聖展)

홍로 수행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나반존자를 모신 전각

 

약사불과-후불탱이-모셔져있는-전각
흥국사 만월보전

滿月寶殿

만월보전 내에는 정릉 봉국사에서 스님들의 투정에 화가 나 이곳으로 옮겨졌다는 전설을 지닌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약사후불탱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산신을모신-전각
산신을 모신 단하각(丹霞閣)
삼층석탑
불국사 3층석탑을 모티브한 흥국사 삼층석탑

 

 

 

나한상을-모신-전각-01
나한상을-모신-전각-02
흥국사 나한전(羅漢殿)

 

유형문화재제203호-성임당탑-01
유형문화재제203호-성임당탑-02
성임당 축존지탑

聖任堂竺尊之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나한전 뒤편 언덕 위에 자리한 성암당 측존지탑으로, 탑신석 상부에 성임당 축존지탑(聖任堂竺尊之塔) 이라는 명문이 있어 주인의 당호(堂號)가 성임당(聖任堂)이며, 법명(法名)이 축존(竺尊)이었음을 알 수 있는 탑으로, 탑의 양식과 치석 수법 등이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18세기 전후 성행한 탑들과 유사하여 조선 후기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문화재입니다.

 

덕릉마을-흥국사-경내탑
수락산 자락 고즈넉한 사찰 흥국사 경내 탑

 

▲수락산 자락 천년고찰 흥국사

 

흥국사 사찰 교통

지하철 4호선 불암산역 길 건너 10-5 시내버스 타고 5분 거리인 덕릉고개너머 덕릉마을에서 하차하여, 약 도보로 10여분 올라가면 흥국사가 있습니다. 흥국사를 기점으로 수락산산행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산들바람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