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373

대한제국 황실가족 묘역길 대한제국 황실묘역 ②세계유산 조선왕릉2024.01.24일 조선의 마지막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과 순종임금의 황릉 담장너머에 있는 대한제국의 황실가족 묘역길을 산책해 봅니다. 홍유릉의 홍릉 능침옆으로 황실가족묘역으로 가는 작은 문을 지나면 황실가족묘역으로 가는 산책하기 좋은 숲길이 나옵니다. 홍유릉밖 황실 양묘장 숲길   은행나무 소나무숲길 정자각 옆으로 묘역으로 올라가는 길 조선왕릉과는 달리 정자각에서 능침아래에는 가꾸지 않아서 인가 많은 노송이 자라고 있습니다. 언덕 위 (左)는 의민 황태자 묘역(영원)이고, (右)는 황태손 이구의 묘역(회인원)입니다. 회인원(懷仁園)은, 대한제국 의민 황태자의 둘째 아들 회은(懷慇) 황태손 이구(皇太孫 李玖)의 묘입니다. 영원(英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의민.. 2025. 1. 27.
조선 마지막 임금이자 황제의 릉 사적 제207호 남양주 홍유릉 ①세계유산 조선 마지막 임금. 황제의 릉(陵)2025.01.24일 조선의 마지막 26대,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초대, 2대 황제의 릉(陵)인 홍유릉을 찾았습니다. 홍유릉은 조선의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황제인 고종과 명성황후의 함장능인 홍릉(洪陵)과, 조선 마지막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2대 황제인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 씨와, 순정효황후 윤 씨의 릉(陵)인, 유릉(裕陵)을 소개해봅니다. 남양주 금곡 홍. 유릉 유릉(裕陵) 재실    능(陵) 아래에는 정자각을 대신하여 침전을 세웠습니다. 기존 조선왕릉은 제향을 지내는 공간인 정자각을 갖추고 있으나,. 대한제국 황제릉은 정자각을 대신해 일자형 침전(寢殿)으로 바꾸고 그 아래 석물을 세웠습니다.  기존 왕릉과 달리 .. 2025. 1. 26.
조선을 대표하는 분청사기 백자 분청사기 백자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아박물관 분청사기. 백자 전시실을 소개해 봅니다, 분청사기 백자실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전시한 공간으로, 분청사기는 "분장회 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는 학술 명칭의 줄임말이며,. 분청사기는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해 16세기 중엽까지 만들어졌으며, 꾸밈없는, 다양한 기법 구사와 함께, 자유롭고 대담한 무늬가 특징입니다. 분청사기(粉靑沙器)와 백자(白磁)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자기입니다. 분청사기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벡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분청사기와는 달리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유약을 발라 1,3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도자기입니다.   상감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발전한 도자기로, 도자기의.. 2025. 1. 24.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특별전 고려상형청자 특별전시글자료출처/국립중앙박물관2025.01.21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Ⅱ실에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아름답고 찬란한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사자모양 향로, 청자 어룡모양 주자 등 300여 건의 상형청자를 만나봅니다. 고려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해 보는 전시로, 천여 년 전, 고려청자는 고려인이 이루어낸 수준 높은 최첨단 기술과 독자적 미감의 산물로, 동. 식물, 인물 등의 특정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는 고려청자의 수준 높은 기술과 미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靑磁 魚龍形 注子고려 12세기 작품 국보 제91호 상상 속의 동물인 용(龍)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푸른빛 청자에 담은 작품으로, 용(龍), 어룡(漁龍). 귀룡.. 2025. 1. 23.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금속공예 조각 공예관 금속공예 전시실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01.16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동 3F 금속공예관은 삼국시대~ 조선시대까지 제작된 한국의 금속공예작품을 감상하고, 금속공예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은 공간입니다. 금속공예전시실에서 전시 중인 일부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금속 공예전시실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제작된 공예품을 금, 은, 청동, 철 등 금속 재료로 구분해 시대별로 비교해 볼 수 있게 전시하고 있습니다. 금속으로 제작된 다양한 불교공예품과 대표적 금속공예 장식 기법인 입사(入絲) 기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태주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에 부인 강 씨, 승려 월암 등과 함께 발원해 금강산 비로봉에 봉안한 사리엄장으로,.. 2025. 1. 21.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 금동불상 불교조각 금동불상 작품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01.16일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습니다. 상설전시동 3F불교조각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의 작은 금동불상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불교조각의 흐름 고구려시대 소수림왕 2년(372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중국의 전진으로부터 경전과 함께 불상이 전해지기 시작했습니다. 正德十年 銘 石造 地藏菩薩 坐像조선 1515년보물 제1327호 지장보살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위하여 깨달음을 미룬 보살로, 다른 보살상과 달리 민머리거나 두건을 쓴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바위 모양 대좌 뒤 명문을 통해 정덕 10년(1515년) 3월 김손순 부부 등의 시주로 절학을 비롯한 승려가 조각했음을 알 수 있는 작품입니다.   金銅 藥.. 2025. 1. 17.
리움 M1상설전시 고미술 Leeum M1 고미술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글자료/리움미술관 M1.2025.01.10일 이태원 삼성미술관의 M1. 전시관을 찾았습니다. 리움 M1. 고미술전시는 엘리베이터 타고 4층으로 올라가 4층부터 관람을 시작하는데, 4층 전시실에서는 『푸른빛 문양 한 점』을, 3층 전시실에서는 『흰빛의 여정』을, 2층전시실에서는 『감상과 취향』을, 1층전시실에서 는『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라는 주제로 고미술 120여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삼성미술관 리움 주제: 푸른빛 문양 한점M1.전시실 4층청자의 은은하고 신비로운 푸른빛을 감상해봅니다. 靑磁 象嵌雲鶴牡丹菊花文 梅甁보물 제558호고려 13세기 작품 靑磁有蓋注子고려 12세기 靑磁象嵌發願文銘骨壺고려 12세기점토(粘土) 죽은 사람의 뼈를 담던 뼈항.. 2025. 1. 14.
남산전망 좋은 이태원 부군당 역사공원 이태원 부군당역사공원2025.01.09일 용산구 이태원은 서울에서 가장 외국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이국적인 곳 중 한 곳인 이태원동 언덕 위 높은 곳에는 아름다운 남산 야경으로 소문난 작은 공원 부군당(府君堂) 역사공원이 있습니다. 이태원 언덕 위에 있는 부군당은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남산 중턱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시절에 이태원 부군당이 있는 곳에 일본군 훈련소가 설치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부군당이 있는 이곳에 남산전망대와, 유관순 추모비를 건립하면서 부군당 역사공원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수호신을 모시는 제당 부군당(府君堂)의 유래 역사공원으로 탈바꿈한 "부군당"은 남산일대를 한눈에 보는 전망대와, 유관순열사 .. 2025. 1. 11.
리움미술관에서 만나는 금니사경과 나전경함 전. 함 典.函 깨달음을 담다 특별전글자료/ 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 M1전시실2024.01.08일 불교신앙의 예술적 걸작품이라 할 수 있는 금니사경과 나전경함은 고려시대 최고위층이 발원한 금니사경 묘법연화경 전권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1-7)과 경전을 보관했던 고려 나전경함(螺鈿菊唐草文經函經函)등, 두유물이 깨달음을 향한 염원을 담아 선보이는 특별전을 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 M1-2층 전시실에서 만나봅니다. 전. 함(典.函) 깨달음을 담다. 전(展)은 고려시대 불교 경전을 붓으로 직접 필사(筆寫)한 사경(寫經)과 경전(經典)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상자인 경함(經函)중에서 현존하는 최고의 걸작인 두 작품을 집중 조면하는 특별전시입니다.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 1-7권(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1-7)고려, .. 2025.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