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373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야외 석조물정원 야외 석조물정원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본관건물에서 전시하고 있는 문화유산 보물, 국보급 석조물과, 야외 석조물정원에서 전시하고 있는 석조물 숲길을 소개해 봅니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거울못과 청자정 국립중앙박물관 석조물정원에는 10점의 보물, 국보로 지정된 석조유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南溪院址 七層石塔고려 11세기, 국보 제100호경기도 개성시 덕암동 남계원에서 출토된,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 이 탑에서 고려 충렬왕 9년에 넣은 것으로 추정되는 은물로 쓴 경전 일곱 축이 발견되었습니다. 㐞項寺 東西 三層石塔통일신라 758년, 국보 제99호경북 김천 길항사 터에서 출토된 석탑으로, 기단부에 새겨져 있는 글에 신라 경덕왕 17년 영묘사 연적 법사 세 남매가 이탑을 세운 것으로 확인되었습.. 2024. 12. 8.
혜화역에서 올라가는 낙산 한양도성 순성길 서울대표 야경명소 낙산공원 성곽길한양도성 순성길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서울 한양도성 둘레 총 18.6km의 순성길을 복원해 놓았습니다. 순성길중 혜화문에서 낙산에 올라 동대문(흥안지문)으로 내려오는 약 2.3km의 낙산성곽길을 소개해 봅니다. 동대문 낙산공원 주변은 교통이 좋아 많이 찾는 도심 속 일출과 야경, 언덕 위의 카페거리, 낙후된 골목을 벽화마을을 새롭게 변신해 놓은 서울의 명소가 되었습니다. 혜화역 ②번출구 대학로 예술공원센터에서 낙산 중앙광장까지는 약 10분 정소의 거리입니다.  낙산공원 한양도성 성곽길    낙산공원 정상 전망대 인왕산에서 북한상 국립공원 사패능선까지 조망권에 들어오는 "낙산정" 쉼터 동대문의 명소 이화동 벽화마을 남산밤면 전망 좋아 인기 많은 언덕 위 카페촌    ▲흥인지.. 2024. 12. 6.
궁중음식 전시와 수문장교대식 궁중 잔치음식과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자료/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음식 1부에 이어 2부에서는 「진치음식, 높이 쌓아 기쁨을 더하다」「사찬(賜饌) 널리 나눠 마음을 전하다」라는 주제로, 1802년 (임진년) 고종 즉위 30주년과 41세 생신을 축하하기 위해 경복궁에서 열린 잔치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1892년 고종즉위 30년과 41세 생산잔치를 기념하여 그린 8폭 병풍입니다. 접시에 음식을 높이 쌓는 고임상은 잔치음식의 핵심이었습니다. 이를 고배상이라고도 하는데, 유밀과를 높게 쌓던 고려시대 불교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아홉 번의 미수(味數)1892년 고종의 궁중잔치 때 올린 아홉 번의 안주상은 궁중음식문화재단에서 재현해 놓은 모형입니다. 9번의 술잔(九爵)과 총 63가지의 다양.. 2024. 12. 5.
덕수궁 후원 겨울단풍 덕수궁 후원에 불게 물든 겨울단풍조선 5대 궁궐 덕수궁2024.12.04일 매우 쌀쌀해진 날씨 산책하기 좋은 조선의 궁궐 덕수궁을 소개해 봅니다. 지금 덕수궁의 영빈관인 돈덕전 일원에서 영국대사관까지의 덕수궁 돌담길 안쪽에는 온통 붉게 단풍이 물들어 있어 산책하기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덕수궁 함녕전의 정문로, 1904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2009년 제자리에 복원해 놓은 문입니다. 고종황제가 생활하던 공간 함녕전과 고위관리와 외교사절을 접견하던 덕홍전 위로 정관헌이 보입니다. 덕수궁의 정전으로 왕의 즉위식, 조례, 외국사신 접견등 주요 국가적 행사를 치르는 곳으로, 1902년 처음 지어질 당시에는 중층이었으나 1904년 화재로 소실 후 1906년 단층으로 중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어좌 .. 2024. 12. 4.
경복궁 고궁박물관 상설전시 왕실생활 상설전시실 왕실생활자료/ 경복궁 고궁박물관 경복궁 고궁박물관은 2F 상설전시실을 새롭게 단장하여 지난 11월 20일 개관했습니다. 개편된 상설전시실은 「조선국왕」과「왕실생활」 2개의 전시실에, 관련 유물 450여 점 과 영상자료를 관람할 수 있게 구성해 놓았습니다. 새롭게 개편한 왕실생활실을 소개해 봅니다.  국왕의 배우자인 왕비는 내명부의 수장으로서 왕실의 다양한 구성원을 통솔했습니다. 궁궐에는 국왕과 왕비, 왕실 일원들이 생활했으며, 이들의 의식주를 보필하기 위해 많은 사람과 물품이 필요했습니다. 궁중의 생활에 필요한 물품들은 당대 최고의 솜씨를 지닌 장인들이 엄격한 규정과 격식에 따라 제작했습니다. 사치를 금하고 왕실에서 몸소 검약한 생활을 실천했던 조선왕조의 궁중 생활 물품에는 우아하면서도 품격 .. 2024. 12. 3.
나눔의 밥상 궁중음식 공경과 나눔의 밥상 궁중음식자료/국립고궁박물관 댓글 복사붙여넣기 비밀댓글 기승을 부리고있네요예고없이 삭제합니다.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 Ⅰ실,Ⅱ실에서 지난 11월 20일부터 궁중음식 특별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임금의 건강은 나라의 안위와 직결되었기에, 진귀한 재료로 만든 음식으로 몸을 보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전국의 백성들은 정성스레 준비한 제철 특산품을 나라에 진상하여, 진상받은 신선한 식재료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왕의 수라상에 올렸습니다.  왕실가족 처소 가까이에는 불을 때는 주방이라는 뜻의 소주방, 수라간과, 생물방, 생것방으로 불리는 생과방등의 부엌공간을 두았습니다.    궁궐의 부엌 소주방에서 요리사들이 사용하는 주방도구 명칭 20세기초 왕실에서 사용했.. 2024. 12. 2.
국립 중앙박물관 특별전 고려 상형청자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자료/국립중앙박물관 댓글 복사붙여넣기 비밀댓글 기승을 부리고있네요예고없이 삭제합니다. 고려 상형청자 전시개막기념으로 11/26일~ 12/02일까지 일주일간 무료관람 행사 중에 있습니다. 박물관에서 기획한 이번 특별전시는 고려가 이룩한 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하는 전시로, 상형청자의 역사와 문화사적 맥락을 짚고, 아름다운 상형청자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세상과 이야기를 소개하는 특별한 전시입니다. 어룡주전자 외 지정문화유산 20건을 포함하여, 300여 건의 청자를 만나봅니다. 靑磁 魚龍形 注子고려 12세기국보 제91호 상상 속의 동물인 룡(龍)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룡(龍)이나, 어룡(漁龍). 귀룡(龜龍), 구룡(九龍)등의 소재는 초.. 2024. 12. 1.
서울 미래유산 명품숲 홍릉숲 탐방 단풍이 붉게 물든 대한민국 100 대 명품숲 홍릉숲홍릉 국립산림과학원2024.11.24일 수도권에 첫눈인데 폭설로 변해 내리고 있습니다. 안전운전 하세요!11월 초겨울이건만 이상기온으로 따뜻한 날씨를 보이고 있어, 홍릉숲에도 단풍이 물들고 있습니다. 홍릉숲은 주말에만 자유탐방 할 수 있는 숲입니다. 홍릉숲은 1922년에 임업시험장이 창설되면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조성된 수목원으로 다양한 임업 시험과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수목원으로, 국내외의 식물유전자원 총 2,035종(목본 75 과(科) 246 속 1,224종, 초본 82 과(科) 178 속 811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명품숲을 주말에 찾았습니다.  서울미래유산 홍릉숲은 서울 동쪽에 위치한 천장산(天藏山)의 남서쪽 자락에 자리한 우리나라 .. 2024. 11. 27.
왕의 서고 외규장각 의궤실 공개 왕의 서고 書庫 어진세상을 꿈꾸다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4.11.22일 용산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2011년 프랑스에서 반환되어 온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를 환수 후 박물관 내에서 두 차례 특별전을 연 뒤, 상설전시관 1층 조선실에서 소규모로 를 전시해 오다, 상설전시관 2층 서화관 내에 외규장각 의궤를 위한 전용공간을 확보하여, 의궤 전시실을 조성하여 지난 11월 15일 공개했습니다.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奎章閣)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실의 외규장각 의궤(外奎章閣儀軌)"는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 군에 의해 무단 반출되었던 조선 왕실의 기록물로, 무단반출된 지 100여 년이 지나서 프랑스에서 파리국립도서관에서 근무하던 (故) 박병선 박사가 발견 그 존재가 알려져, (故) 박병선 .. 2024.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