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야외 석조물정원

by @산들바람 2024. 12. 8.

야외 석조물정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본관건물에서 전시하고 있는 문화유산 보물, 국보급 석조물과, 야외 석조물정원에서 전시하고 있는 석조물 숲길을 소개해 봅니다.

 

국립중박물관-거울못-정원_01
국립중박물관-거울못-정원_02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거울못과 청자정

 

석조물정원-썸네일
석조물정원

국립중앙박물관 석조물정원에는 10점의 보물, 국보로 지정된 석조유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남계원칠충석탑
개성 덕암동소재 남계원7층석탑

南溪院址 七層石塔

고려 11세기, 국보 제100호

경기도 개성시 덕암동 남계원에서 출토된,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 이 탑에서 고려 충렬왕 9년에 넣은 것으로 추정되는 은물로 쓴 경전 일곱 축이 발견되었습니다.

 

동서-삼층석탑
경북 길항사터에서 출토된 동서 3층석탑

㐞項寺 東西 三層石塔

통일신라 758년, 국보 제99호

경북 김천 길항사 터에서 출토된 석탑으로, 기단부에 새겨져 있는 글에 신라 경덕왕 17년 영묘사 연적 법사 세 남매가 이탑을 세운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천수사-삼층석탑
강원도 원주 처수사터 천수사 삼층석탑

泉水寺 三層石塔

고려시대

강원도 원주 천수사 터에서 출토된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보이는 2층 기단 형식의 석탑으로, 탑 꼭대기 장식인 상륜부는 네모난 지붕 모양 장식만이 남아있습니다.

 

천수사-오층석탑
강원도 원주 천수사터 천수사 5층석탑

泉水寺 五層石塔\

고려시대

강원도 원주시 천수사 터에서 출토된 석탑으로, 탑 꼭대기 장식인 상륜부는 현재 남아있지 않습니다.

 

쌍사자-석등
경기여주 고달사 쌍사자 석등

高達寺 雙獅子 石燈

고려 10세기

보물 제282호

경기 여주 고달사터에서 출토된 석등으로, 우리나라 3대 선원중 하나인 고달원(高達院)으로 명성을 떨치던 고려 시대 초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등입니다.

.

홍제동-오층석탑
서울 홍제동 사현사터에서 출토된 5층석탑

弘濟洞五層石塔

고려 11세기

보물 제166호

서울 홍제동 사현사터에 있던 석탑으로, 고려 정종 11년(1045년)에 사현사 창건 시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오 층 석탑입니다.

 

보제존자-사리탑
원주시 영전사터 보제존자 사리탑

令傳寺普濟尊者舍利塔

고려 1388년

보물 제358호

강원 원주 영전사터에서 출토된 보제존자 나옹(1320~1376)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고려 우왕 14년(1388년)에 세운 승탑입니다.

안흥사-오층석탑
경기 이천 안흥사지 5층석탑

安興寺 五層石塔

통일신라 말~ 고려초 10세기

경기 이천 안흥사 터에서 출토된 오 층 석탑으로, 균형 잡힌 비례로 보아 통일신라 말에서~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석조물정원에서 숲길 따라 조금 가면 매년 정초에 종로 보신각에서 타종했던 보신각종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종각역에서 현제 타종하고 있는 보신각종은 복제품이며. 진품은 훼손우려로 국립중앙박물관 이곳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보신각종_01
보신각종_02
종각역에서 타종했던 보신각종

普信閣 鐘

조선 1468년

보물 제2호

보신각종은 조선 세조 14년 원각사(현 탑골공원)에 걸기 위해 만든 종(鐘)이었으나, 종로 2가 보신각으로 옮겨져 오전 4시 33번 오후 10시 28번 울려 한양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간을 알리는 데 사용했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본관동 야외에 전시하고 있는 석조물

 

복묘-비
중국 촉나라 관우장군 북묘 비

북묘 비(北廟碑)

이 비는 중국 촉나라 관우장군을 기리는 비로, 조선 고종대(1883년)에 성눈 북묘 비입니다. 글은 고종이 직접 짓고, 글씨는 민영환이 쓴 것이라고 합니다. 비의 내용은 관우장군을 기리게 된 경위와 북묘를 세우게 된 경위를 기록한 비입니다.

 

원공국사-승묘-탑
강원도 원주 거돈사터에서 출토돤 우너공국사 승묘탑

居頓寺圓空國師勝妙塔

고려 1025

보물-제190호

강원도 원주시 거돈사 터에서 출토된 승묘탑으로, 고려 전기에 활동한 완공 국사 지종의 사리 탑이며, 고려 현종 16년(1025년)에 탑비와 함께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 전기의 대표적인 팔각 사리탑입니다..

 

진공대사-탑과-석관
강원도 원주 흥법사에서 출토된 진공대사 탑과 석관

眞空大師塔附 石棺

고려 940년

보물 제365호

연도는 연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태조 23년(940년)으로 추정되는 석탑으로,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 터에서 출토된 후 경복궁에 있던 것을, 국립중앙박물관 이곳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습니다.

 

 

 

대경대사-현기탑-비
양평 보리사터 대경대사 현기탑 비

大鏡大師玄機塔

고려 939년

보물 제361호

경기도 양평 보리사 터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말~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 대경 대사의 탑비로, 처음에는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이곳에서 보존하고 있습니다

 

진경대사-보월능공-탑
경남 창원시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 탑

鳳林寺址眞鏡大師 寶月凌空塔

통일신라 923년

보물 제362호

경남 창원시 봉림사터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인 진경대사의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불탑입니다.

 

통일신라-염거화상-탑
깅원 원주시 흥법서터 염거화상탑

廉居和尙塔

통일신라 844년

국보 제104호

강원도 원주시 흥법사터에서 출토된 승탑

 

국립중앙박물관건물
국립중앙박물관 본관건물 석조물

 

용산국립중앙박물관 산책하기 좋은 오솔길에는 보물과 국보급 석조물이 상시 전시되고 있습니다. 국가 문화유산을 감상하며 걷는 겨울산책 하기 좋은 박물관 석조물정원 숲길을 소개해 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