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뀌
꽃말: 학업의 마침
2020.08.29일
"여뀌" 재미있는 이름의 들풀이다. 왜? 여뀌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아직까지 알려진 유래는 없다. 단지 꽃이 붉은색이며, 맛은 맵고~~ 하여 귀신을 쫓는 풀 역귀(逆鬼)에서 나온 것은 아닐까 추측해 볼 뿐 정확한 것은 아니다.
잡초같은 들풀 여뀌는 개여뀌, 흰여뀌, 이삭여뀌등 30여종이 넘는 많은 개체를가진 풀이다. 8월의 습지, 들가에서 볼 수 있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뀌류 몇개를 소개해 본다.
붉은색의 좁쌀같이 다닥다닥 붙은 꽃이 피는 여뀌
여뀌는 공원, 습지, 야 산지 등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어, 가을은 여뀌의 계절이란 말도 있다.
여 뀌
영 문: Water pepper
학 명: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분 류: 마디풀과(─科 Polygonaceae)
형 태: 1년생 초본.
분 포: 원산지는 한국이며, 북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방에 분포.
서 식: 냇가, 습지에서 서식
크 기: 40~80cm
7월~10월 사이 줄기나 가지 끝에 좁쌀 같은 꽃이 촘촘하게 달린다.
개여뀌
[여뀌]
잎과 줄기를 짓찧어 냇가에 담그면 작은 물고기를 기절시킬 정도의 독성이 있어,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물이라 하여 어독초(魚毒草)라 부르기도 한다.
여뀌와 많이 닮은 개여뀌
개여뀌
학 명: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분 류: 마디풀과(Polygonaceae)
형 태: 1년생 초본.
분 포: 원산지는 한국/북반구의 온대 및 난대 지방에도 분포되어 있다.
서 식: 냇가, 습지
크 기: 약 20cm~50㎝
흰여뀌
[큰개여귀][명아자여뀌]
5월부터 피기 시작하는 흰여뀌는 흰색, 엷은 홍색의 꽃이 달린다.
근경이 달린 전초를 홍초, 화서는 홍초화, 과실은 수홍화자(水紅花子)라 하여 약용한다.
흰여귀
학 명: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분 류: 마디풀과(─科 Polygonaceae)
형 태: 1년생 초본.
분 포: 원산지는 한국이며/중국, 시베리아, 북미, 유럽 등지에서도 분포한다.
서 식: 냇가, 습지
크 기: 30~60cm
줄 기: 털이 없고,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털여뀌
[노인장대][말여뀌]
털여뀌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여뀌중 가장 크다
7월부터 피기 시작하는 털여뀌는, 수상 화서와 비슷한 많은 꽃이 달리며 아래로 처진다.
털여뀌
학 명: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분 류: 마디풀과(Polygonaceae)
형 태: 1년생 초본.
분 포: 원산지는 한국/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유럽 등지에 분포
서 식: 습지, 야 산지
크 기: 높이 1-2m
이삭여뀌
꽃말: 신중, 숙원
항산화, 피부 주름개선 및 미백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쓰임새가 많아질 것 같다.
이삭여뀌 줄기와 꽃
이삭여뀌 포기 전체에 진통, 지혈효과가 있는 풀로 관절, 위장, 팝, 타박상 등에 약용하기고 한다.
.
이삭여뀌
학 명: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분 류: 마디풀과(Polygonaceae)
형 태: 여러해살이풀
분 포: 원산지는 한국/일본, 대만, 중국에서도 분포
서 식: 전국 야산지
여뀌 속 식물들은 대부분 물을 좋아 좋아해, 습지나 물가, 논 주변 길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디. 잡초 취급을 받고는 있으나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기능이 뛰어난 식물이기도 하다.
경남 창녕군 영산면 소재 수지에서 자생하는 수생식물 물여뀌
물여뀌 자료출처/환경부
여뀌류 중에는 수생식물로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은 희귀 식물인 물여뀌 도 있다. 개구리낚시 로도 불리는 물여뀌는 수생식물로 정화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는 30~50cm정도.
유사 여뀌
'여행&둘레길 > 생태계 자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오줌덩굴 계요등 과 범부채 (47) | 2020.09.03 |
---|---|
8월에 꽃을 피우는 산나물 취 (50) | 2020.08.31 |
수련과의 가시연 꽃 (54) | 2020.08.25 |
활짝 핀 수생식물 수련 (55) | 2020.08.17 |
여름 장맛비 심각 한강 노들섬 (16) | 202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