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4 초롱꽃과 섬초롱꽃 초롱꽃과 섬초롱꽃 2020.06.30일 흔히 불 수 있는 "초롱꽃"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섬초롱꽃" 초롱꽃 우리주변에서 흔하게 볼수있는 초롱꽃은, 초롱꽃과 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방향성 식물로 생김새가 초롱(호롱)을 닮아 초롱꽃이라 부른다. 초롱꽃 초롱꽃과 Campanul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야산지 풀밭에서 한하게 볼 수 있는 꽃 초여름 6~8월에 희거나 연보라색의 종 모양의 꽃이 밑으로 향하며 핀다. 크기는 높이 40~1m 정도 학 명: punctata 섬초롱꽃 [우리나라 특산식물] 초롱꽃 우리나라의 고유종으로, 울릉도에서 자라는 특산식물로 개체수는 풍부하다. 학명은 Campanula takesimana Nakai Campanula는 라틴어 campana(鐘)의 축소형으로 작은 종모양의 꽃.. 2020. 6. 30. 여름을 대표하는 꽃 능소화 능소화(凌霄花) [금등화][능소화나무] 꽃말: 명예, 그리움 2020.06.28일 능소화과에 속한 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로, 원래는중국이 고향이며 "하늘을 업신여기고 능가하는 꽃"이란 의미가 들어있는, 애틋한 사랑의 전설이 깃든 예쁜 넝쿨성 식물이다. 여름에 피는 능소화가 벌써 피기 시작하고 있다. 능소화는 한번 피기 시작하면 가을까지 피고, 지고를 반복한다. 나팔 모양의 꽃은 색상이 화려하며, 큰 키나무나 벽을 감고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담쟁이덩굴처럼 줄기의 마디에 생기는 흡착 뿌리(흡반)를 건물의 벽이나 다른 물체에 지지하여 타고 오르며 자라는 식물이다. 옛날에는 양반집에만 심는 귀한 꽃이었으나, 요즈음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꽃이 되었다. 능소화는 세계적으로 단 두 종만이 있는데, 중국과 북.. 2020. 6. 28. 꽃모양이 비슷한 유월 야생화 유월에 핀 야생화 꽃 모양이 비슷한 야생화 2020.06.21일 유월에 꽃망울 터트린 야생화 중 서로 전혀 다른 종(種)이지만, 모양은 비슷한 야생화를 담아 보았다. 큰 까치수염 [만까치수염][큰꽃꼬리풀] 꽃말: 달성 "까치수염"과 비교 까치수염은 줄기, 잎, 꽃자루에 털이 많으며, 전국에 비교적 드물게 분포되어 있다. 반면 큰 까치수염은 반대로 털이 거의 없으며, 전국 야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앵초과(櫻草科) Primul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 학명은 Lysimachia clethroides Duby 봄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먹으며, 식물 전체를 캐서 진주채(珍珠菜)라 하여 이뇨제나 월경불순의 치료제로 쓰인다. 삼백초(三白草) 꽃말: 가련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되어.. 2020. 6. 22. 꽃망울 터트린 6월 꽃나무 꽃망울 터트린 유월 꽃나무 2020.06.19일 유월 들어 꽃망울 터트린 예쁜 야생 꽃나무를 찾아 소개한다. 고광나무 [오이순] 꽃말: 추억, 품격 고광나무는 잎을 자르면 오이 냄새가 나 오이순으로도 불린다. 산속 습지 계곡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고풍스러운 모습의 인상을 주는 꽃으로, 빛이 난다 하여 고광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고광나무 속은 전 세계 70여 분류 군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약 10여 종이 분포되어 있다. 식물 전체에 털이 많아 털 고광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범의귀과 (Saxifragacea)에 속한 낙엽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Philadelphus schrenkii Rupr. 미국 낙상홍(落霜紅) 가을에 익은 열매가 서리가 내릴때 까지 붙어있다고 하여, 낙상홍이란 .. 2020. 6. 19. 붉은색의 아카시아꽃 꽃아까시나무 [꽃아카시아] 꽃말: 단결 2020.06.07일 여름이면 온 산하를 하얏게 물들이는 아카시아꽃. 그러나 아카시아가 아니라 아까시로 부르는것이 옳은표현 이라고 한다. 또한 아까시 하면 하연색을 연상하나 붉은색을 지닌 아까시 도 있다. 북한에서는 장미색 아카시아로 부른다고하는 꽃아까시나무 꽃아까시나무 꽃 대표적인 밀월 식물로, 아까시나무의 도입 시기는 1920년경 연료림 또는, 황폐지 복구용으로 전국에 식재되기 시작하였다. 콩과에 속한 낙엽활엽 관목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식재하고 있다. 귀화된지 오래된 나무이다. 꽃아까시나무 Rose-acacia 학 명: Robinia hispida L. 분 류: 콩과(Leguminosae0 형 태: 낙엽활엽관목 원산지: 북아메리카 개화기.. 2020. 6. 7. 빈도리와 때죽나무 꽃 빈도리와 때죽나무 2020.05.30일 일본 말발도리로 불리는 빈도리. 빈도리는 멀발도리와 닮았으나, 때죽나무 꽃과도 비숫한 것 같다. 5월 말 때죽나무 꽃은 지고빈도리 는 활짝 피기 시작하고 있다. 오늘은 두 나무를 올려본다. 빈도리 [일본 말발도리] [꽃말: 애교] 알본에서 원예종으로 품종 개발된 일본 말발도리로, 속은 비어있고, 꽃은 말발도리와 많이 닮아 빈도리로 부르는 나무, 발발도리와 많이 닮았으나, 때죽나무 꽃과도 비슷한것 같다. 빈도리 꽃 유사종으로는, 만첩으로 피는 만첩빈도리가 있다. (학명: for.plena SCHNEID.) 학명은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빈도리 꽃망울 아직 떨어지지 않은 전년도 열매 키는 약1~2m 정도, 꽃은 5~6월에 피고 총상꽃차례.. 2020. 5. 30. 댕강나무와 좀 댕강나무 꽃 좀 댕강나무와 댕강나무 꽃 비교 2020.05.29일 "댕강" 재미있는 표현이다. 나뭇가지를 꺾으면 "댕강"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가느다란 부러질 듯 나뭇가지에 작은 잎의 분홍빛도는 종모양의 흰 꽃이 모여 피는 꽃나무이다. 댕강나무는 함경도 석회암 지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댕강나무가 일본으로 건너가 원에종 으로 개량되어 역수입해 들어온 것은 꽃당강나무로 Abelia라고도 부른다. 오늘 소개하는 꽃나무는 "댕강나무"와 "좀 댕강나무" 로 "댕강나무" 우리나라 토종이나, "좀 댕강나무"는 원산지가 우리나라와 일본이다. 좀 댕강나무 Dwarf abelia 우리나라 동두천과 충북 단양지역에 분포하며, 일본에도 분포되어 있는 꽃나무 황백색의 예쁜 종모양 꽃이 2~8개 모여핀다. .. 2020. 5. 29. 등대꽃과 박쥐나무꽃 등대꽃과 박쥐나무꽃 2020.05.27일 야생에서는 참 재미있는 이름의 꽃나무들이 많다. 오늘은 운이 좋아서 인가, 꽃이 피기 시작하는 박쥐나무와 등대 꽃나무 가 눈에 띄어 올려본다. 두 나무는 무두 원산지가 일본으로, 일본에서 건너온 나무들이다. 등대꽃 나무 [단풍철쭉] [꽃말: 밝은미래] 밤에보면 나무 전체가 등대불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이라고 한다. 그러나 등대꽃을 자세히 보면 초롱꽃 처럼 보이는데~~ 이름은 등대꽃 나무다. 꽃피기전의 등대꽃망울 진달래과(Ericaceae)에 속한 낙엽관목 학명: Enkianthus campanulatus (Miq.) G.Nicholson 일본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기르는 높이 4-5m 정도의 낙엽 떨기나무 학명의 엔키안투스(Enkianthus)는 라틴.. 2020. 5. 27. 오월에 핀 약초들의 꽃 오월에 핀 약초들의 꽃 2020.05.25일 5월 들어 산과 들에는 많은 꽃들이 피고 지고 있다. 오늘은 5월에 핀 약초들의 꽃을 모아 보았다. 작약(芍藥) (함박꽃) [꽃말: 수줍음] 작약과(aeoniaceae)에 속한 다년생초로 중국 이름이 작약이어서 중국 이름 그대로 작약(芍藥)으로 부는 식물이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원예종이다. 반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학명은: Paeonia lactiflora Pall. 꽃은 흰색, 분홍, 적색과 또는 여러 가지 혼합된 색의 꽃이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송이씩 달린다. 한방에서 백작약 뿌리를 빈혈 치료와 진통제로, 적작약 뿌리는 혈압과 해열제로 이용한다. 엉겅퀴 (가시엉겅퀴) [고독한 사람, 근면]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초로, 피를 엉키게 하.. 2020. 5. 2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