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4

홍릉숲 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 산림과학원 홍릉숲 무더운 삼복더위 속 홍릉숲을 산책을 하면서 참나무에서 꽤 많은 장수풍뎅이가 서식하고 있어, 놀라웠다. 도심에서 사라진 지 오래되었는데, 서울 도심 속 숲에서 장수풍뎅이가 살고 있으니, 생태계가 복원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듯싶다. 장수풍뎅이 학 명: Allomyrina dichotoma (Linné, 1771) 형 태: 분 류: 딱정벌레목 Coleoptera, 장수풍뎅이과 Dynastidae 크 기: 30~ 90mm 유사종 둥글장수풍뎅이: Pentodon quadridens (Gebler, 1845) 외뿔 장수풍뎅이: Eophileurus chinensis (Faldermann, 1835) 장수풍뎅이는 성충이 되면서 1개월~ 3개월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 2021. 7. 25.
여름에피는 야생화 여름꽃 야생화 무더위 속에서도 피는 꽃 7월 삼복더위 속에서도 야생화는 피고 지고 있다. 뙤약볕 아래 예쁘게 활짝 핀 예쁜 꽃을 소개해본다. 애기 금어초 꽃 말: 내 마음을 알아주세요 학 명: Linaria maroccana 분 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형 태: 한해살이풀 원산지: 북아프리카, 지중해 연안 애기 금어초는 북아프리카 및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 도입 후 야생화된 풀이다. 애기 금어초는 북반구 온대 및 지중해 지역에 10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 등 다양한 종(種)이 있다. 꽃 모양이 금어초와 같이 금붕어 입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졌으나. 금어초(Antirrhinum majus L.)와는 다른 형제지간이지만, 둘 다 현삼과 에 속해있다. 애기 .. 2021. 7. 20.
어리연꽃 과 빅토리아 수련 어리연꽃 빅토리아 수련 7월에서 8월까지는 활짝 핀 연꽃의 계절이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연꽃 종류는 10여 종이 있는데, 홍련, 백련 등 연꽃을 제외하고는 과(科)가 틀리다. 연꽃 종류는 크게 연꽃과(科), 수련과(科). 조름나물과(科)로 분류하고 있다. 연꽃과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 수련과 가시연꽃 Euryale ferox Salisb. 개연꽃 Nuphar japonicum DC. 남개연 Nuphar pumila var. ozeense (Miki) Hara 왜개연꽃 Nuphar pumila (Timm) DC. 참개 연꽃 Nuphar subintegerrimum (Casp.) Makino 조름나물과 어리연꽃 Nymphoides indica (L.) Kuntze 좀어리연.. 2021. 7. 16.
여름꽃 능소화와 원추리 능소화 & 원추리 홍릉 수목원 우리 주변 야 산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대포적 여름꽃을 찾으라고 하면, 능소화와 원추리 일 것이다. 홍릉숲에 노거수 능소화 한그루 가 있는데 올해는 너무 아름답게 많은 꽃을 피워 탄성이 절로 나온다. 홍릉숲의 능소화와 원추리를 담아 보았다. 능소화(凌霄花) 꽃 말: 명예, 그리움 원산지: 중국 분 류: 능소화과 Bignoniaceae 학 명: Campsis grandifolia (Thunb.) K.Schum. 형 태: 낙엽활엽 덩굴줄기 올해는 유달리 많은 꽃을 피워주고 있는 홍릉숲의 노거수 능소화(凌霄花) 능소화의 고향은 중국으로, 하늘을 업신여기는, 하늘을 능가하는 꽃이라고 한다. 예부터 얼마나 좋아했으면 이런 별칠이 붙었을까 싶다. 예전에는 양반들이 좋아해 즐겨.. 2021. 7. 12.
여름꽃 산수국 山水菊 산수국(山水菊) 여름에피는꽃 산수국(山水菊) 꽃말: 변덕, 변하기 쉬운 마음 학명: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H.Wilson 수국과에 속한 낙엽활엽 관목으로 씨가 없는 꽃이 핀다, 무성화 중성화로 불리는데, 씨가 없어 열매를 맺지 못해서인가, 수국, 불두화, 설구화, 백당나무 등은 무성화(無性化)로 사찰 주변에 많이 심어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산수국은 꽃 가장자리에 클로버 모양의 꽃이 피어 있는데 이 꽃은 벌, 나비들을 유혹하기 위한 가짜 꽃인 무성 화이고, 진짜 꽃은 가짜 꽃에 둘러싸여 오밀조밀 피어있는 것이 진짜 꽃 유성화 이다. 일본인이 우리나라 고유의 산수국(털 백당)의 유성화를 무성화로 품종 개발을 하여 전 세계 관상용, .. 2021. 7. 9.
비비추의 다양한 품종 Hosta Garden 비비추 속 품종 자료/국립수목원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비비추와 다양한 품종의 비비추를 야외 전시하고 있는 비비추원(Hosta Garden)을 찾았다. 비비추원에서는 우리나라 자생하는 6종의 비비추와 재배품종 120여 종의 비비추를 관찰할 수가 있다. 비비추는 꽃보다는 잎 이주는 아름다음이 커 전 세계에서 정원 소재로 많이 활용을 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비비추 Hosta 꽃말: 좋은 소식, 하늘이 내린 인연 백합과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 식물 학명: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ㅇ비비추의 원산지는 우리나라이며, 중남부지방에 많이 자생하고 있는 야생화로, 옛적에 비비추를 먹었더니 독성이 있어 씻어 먹었다는 맛도 있고, 독성도 없어져 .. 2021. 7. 7.
피자식물중 수련과 식물 피자식물(被子植物) 수련과 식물 자료/국립수목원 피자식물(被子植物)중 하나인 수련과 식물은 전세계 온대및 열대가후의 민물에서 자라는, 수련과 식물은 전세계에 7개속, 70여종이 있다. 수련은 온대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추위에 강해 노지의 연못에서 월동이 가능한 온대 수련과 열대 또는 아열대 기후대 원산의 열대수련2개의 큰 범주로 나뉜다. 온대수련은 오직 낮 동안에만 꽃을 피우지만 열대성 수련은 밤낮으로 꽃을 피운다. 열대수련은 수련중에서서 가장크고 화려하며 색상도 다양하다. 대분분의 꽃이 향기도 좋으며, 잎에 아름다운 무늬와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낮에 꽃을 피우는 종류는 보통 수면위로 30cm이상 꽃대가 올라와 꽃을 피운다. 수련은 다양한 색상과 예쁜 꽃을 파우는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 2021. 7. 5.
Hemerocallis속 원추리 Daylily 원추리 포천 국립수목원/원추리원 Daylily_Garden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여름꽃 원추리꽃 만을 전시하는 하고 있는 포천 국립수목원 내에 있는 야생에서 키우고 있는 원추리원을 찾았다. 원추리원은 국내외 Hemerocallis속 식물 원추리 중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한 원추리를 전시하는 공간으로, 원추리는 세계적으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원예용, 식용으로 활용하고 있다. 수많은 품종 중 꽃이 피고 있는 원추리 꽃 일부를 소개해 본다. 얼 투게더 러블리 탱고 피코티 Tango Picotee 코스믹 쉐도우스 Cosmic Shadows 레드 세일스 엣 나이트 헤븐리 플라이트 오브 엔젤스 Heavenly Flight of Angels 미스티컬 엘프 Mystical Elf 헬.. 2021. 7. 3.
망개나무와 청미래덩굴 망개떡 청미래덩굴과 망개나무 망개떡을 아시나요 어렸을 적 기억으로 겨울밤 촐촐한 야식 때가 되면 저 멀리에서 들려오는 아름다운 멜로디, 찹~쌀~~~ 떡!! 망개~~~ 떡!! 먹고는 싶은데~~ 군침만 삼키면서 잠을 청해야만 했던 어린 시절을 기억하십니까~~!! 망개떡 하면 의령 지방에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망개떡을 떠올리게 된다. 망개떡은 맵쌀로 만든 반죽을 망개나무 잎으로 싸서 쪄 만든, 특유의 쫄깃함과 망개잎의 향이 어우러진 아주 맛있는 떡이다. 망개떡은 망개나무잎에 싸 만든 것이 아니라, 청미래덩굴의 잎으로 싸 만든 것이 망개떡입니다. 청미래덩굴 떡이라 하지 않고, 망개떡이 된 사연은 청미래덩굴을 경상도 방언으로 망개나무라 부른다고 한다. 망개떡의 원조는 의령 지방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망.. 2021.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