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7/1057

양주 회암사 회암사((檜巖寺)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 8-1번지 2017.10.29일 삼산양수(三山兩水)의 천혜의 길지 로 지공선사(指空禪師)께서 이곳에 터를 잡으라 하셨고, 제자인 나옹선사(懶翁禪師)께서 이곳에 도량을 열었고, 그의 제자 무학대사(無學大師)께서 태조이성계와 함께 대대적인 중창을 한 천년고찰 양주 회암사((檜巖寺) △회암사((檜巖寺)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天寶山) 자락에 있는 사찰로, 1328년(충숙왕 15)에 인도에서 원(元) 나라를 거쳐 고려에 들어온 지공화상(指空和尙)이 인도의 아라난타사 (阿羅難陀寺)를 본떠서 창건한 266칸의 대규모 사찰이었다. 그 후 1374년(공민왕 23)과 1376년(우왕 2), 나옹대사(懶翁大師)가 중건, 다시 조선시대에 이르러 1472년(성종 3)에 세조비(.. 2017. 10. 29.
남한산성 현절사 현절사(顯節祠)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남한 산성 내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로. 절이 아닌 사당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수축할 때 건립한 사찰 보유문화재 경기도유형문화재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호. 1688년(숙종 14) 병자호란의 3 학사(三學士) 윤집(尹集) 오달제(吳達濟) 홍익 한(洪翼漢)의 넋을 위로하고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우이다. 그들이 척화의 의리를 끝까지 내세우던 장소인 남한산성 기슭에 세워졌다. 건립 논의는 1681년 교리 이사명(李師命)의 발의와 지평 조지겸(趙持謙)의 찬동으로 비롯되었는데, 이때 3상(三相)과 여러 신하의 의견이 일치되어 광주유수(廣州留守)로 하여금 유수부의 재정으로 건립하게 하였으나, 재정조달이 여의하지 않아 1688년에야 완공을 보게 되었다. 16.. 2017. 10. 29.
남한산성 장경사 장경사(長慶寺)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22-1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수축할 때 건립한 사찰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호.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남한산성 축성 때 팔도의 역승(役僧) 들의 숙식을 위하여 창건한 사찰로, 그 당시에 있던 9개 사찰 중 지금까지 남아 있는 유일한 사찰로, 축성 당시 나라에서는 각성(覺性)을 도총섭(都摠攝)으로 삼고 전국의 승려를 번갈아 징집하여 사역(使役)을 돕게 하였는데, 각성은 1638년(인조 16)에 이 절을 창건하였다. 효종이 북벌(北伐)을 계획하였을 때에는 이 절에 총섭을 두어 승군(僧軍)을 훈련시키는 한편, 성내의 8개 사찰뿐 아니라 전국의 승군을 지휘하는 국방사찰(國防寺刹)의 소임을 담당하였다. 그 뒤 고종 때까지.. 2017. 10. 28.
북한산 진관사 진관사 (津寬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신라 진덕왕 때 원효가 삼천사(三川寺)와 함께 창건하여 신혈사(神穴寺)라 했다. 고려 현종이 어릴 적에 자신을 왕태후의 암살 기도(企圖)로부터 구해준 신혈사의 승(僧) 진관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신혈사자리에 대가람을 세우고 진관사라 했다. 진관사(津寬寺) 대웅전(大雄殿) 佛身充滿於法界(불신충만어법계) 부처님 몸 온 우주 법계에 가득 하사 普現一切衆生前(보현일체중생전) 일체 모든 중생 앞에 두루두루 나투시고 隨緣赴感靡不周(수연부감미부주) 인연 따라 감응함에 두루 하지 않음 없네 而恒處此菩提座(이항처차보리좌) 하나 여기 보리좌에 항상 앉아 계신다네 廣大願雲恒不盡(광대원운항 부진) 넓고 크신 자비원력 항상 하여 다함없고 汪洋覺海渺難窮(왕양각해묘난궁.. 2017. 10. 28.
청계산 청계사 청계사(淸溪寺)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산 11번지 '우담바라'의 성지, 청계산 남쪽 태봉자락에 위치한 통일신라 때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호 『청계사(淸溪寺)』 1284년(충렬왕 10년) 당대의 세력가였던 평양부원군 조인규(趙仁規 1227~1308)가 사재를 들여 중창하였으며, 조선 연산군시절 도성 내에 있는 사찰을 폐쇄했을 때 봉은사를 대신해 선종의 본산으로 정해졌던 유서 깊은 사찰로, 한국 선불교의 중흥조 경허선사의 출가지로 경허 선사의 선맥을 이은 만공, 금오, 월산 선사의 체취가 남아있는 사찰. 지난 2000년 10월 극락보전에 봉안된 아미타삼존불 가운데 관음보살상의 상호 왼쪽 눈썹 주변에 우담바라꽃이 피어 세간에 큰 화제가 되었다. 2000년 10월 극락보전의 아미타삼존불.. 2017. 10. 28.
인왕산 선바위 인왕산 선바위(禪岩)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악동 산 3번지 4호 이 바위는 아이를 갖기 원하는 부인들이 이곳에서 기도를 많이 하여 기자암(祈子岩)이라고 하며, 바위의 모습이 마치 스님 이 바위가 태조와 무학대사의 상(像)이라는 설화와 태조부부의 상(像)이라는 설화가 전한다. 일제가 남산에 있던 국사당(國師堂)을 이 바위 곁으로 옮긴 뒤부터는 이 바위와 국사당이 함께 무신(巫神)을 모시는 산앙의 대상이 되었다고 하며, 옛 문헌에는 조선태조 때 한양으로 천도할 무렵 선바위에 관한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선바위(禪岩) 선바위(禪岩} 문화재 서울시민속자료 제4호『선바위(禪岩)』 한양 도성을 쌓을 때 무학대사는 선바위를 도성 안에 둘 수 있게 설계하려 하였고 정도전은 성밖에 두도록 설계하려 하였다고 전한다. 정도전.. 2017. 10. 27.
서울강남 봉은사 봉은사(奉恩寺)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수도산(修道山)]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자리한 천년고찰로, 선종수사찰((禪宗首寺刹) 봉은사는 794년(원성왕 10)에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한 견성사(見性寺)이다. 그 뒤 1498년(연산군 4)에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성종의 능인 선릉(宣陵)을 위해 이 절을 중창하고 봉은사라고 바꿨다. 1551년(명종 6)에 문정왕후(文貞王后)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보우선사(普雨禪師)를 이 절의 주지로 삼았다. 이때 양주(楊州)의 회암사(檜巖寺)를 전국제일의 수선도량으로 삼는 동시에 봉은사는 선종수찰(禪宗首刹)로, 봉선사(奉先寺)는 교종갑찰(敎宗甲刹)로 하는 승과(僧科)를 부활하여 불교재흥정책을 폈다 △봉은사(奉恩寺) 일주문인 진여문(眞如門) △진여문(眞如門) 내 사천왕.. 2017. 10. 27.
북한산 삼천사 삼천사(三千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산 25-2 북한산(北漢山) 용출봉(龍出峯) 아래 자리한 천년고찰로 A.D.661년(신라 문무왕 1년) 원효(元曉) 대사가 개산(開山)한 사찰로, 1954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에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했던 사찰 △삼천사(三千寺) 1481년(조선 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北漢誌)에 따르면 3,000여 명이 수도 할 정도로 번창하였다고 하며.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임란 중에 소실되었으나 뒷날 이 절의 임자가 있던 마애여래 길상터에 진영화상이 삼천사라 이름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사찰에서 2km 위쪽에 위치한 옛 삼천사 터 에는 대형 석조(石槽)와 동.. 2017. 10. 27.
북한산 승가사 북한산 승가사(僧伽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 종로구 구기동 산 2-1번지 북한산(北漢山) 승가봉(僧伽峰) 아래에 자리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신라시대의 천년고찰 △승가사(僧伽寺) 예부터 북에는 승가사, 서에는 진관사, 남에는 삼막사, 동에는 불암사라 하여 한양 근교의 명승사찰을 꼽았는데 그중에서도 신라의 고찰로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사찰로, 승가사의 창건은 756년(경덕왕 15)에 수태(秀台) 스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한다. 수태스님은 중국 당나라 고종 때 장안 천복사(薦福寺)에서 생불(生佛) 소리를 들었던 서역 출신의 승가대사(僧伽大師)의 거룩한 행적을 듣고 그를 경모 하는 뜻에서 절의 이름을 승가사(僧伽寺)라 하였다고 한다. △승가사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15호/시.. 2017.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