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21

봉선사 광릉숲 4.0km 데크로드 숲길 봉선사 국립수목원 데크로드광릉숲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걷기 운동하기 좋은 계절입니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국립수목원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둘레길 45.2km 중 7코스 산림욕길은 진접 생태습지에서 봉선사 광릉숲을 지나 직동삼거리까지 5.5km의 숲길로, 7코스 중 봉선사 광릉숲길 4.0km를 소개해 봅니다. 봉선사 광릉숲길은, 광릉숲을 보호하기 위해 데크로드로 조성해 개방한 숲길로, 봉선사입구에서 국립수목원입구까지 4.0km(오솔길 0.8km 포함)의 숲길입니다. 05:30~ 21:00까지만 개방하는 숲길로, 광릉숲을 지나는 도로에는 인도가 없습니다. 데크로드 주변에는 봄부터 가을까지 다양한 야생화를 볼 수가 있습니다. 0.8km 정원벨트 오솔길은 동절기와, 장마철에는 개방하지 않습니다.   전나무숲길 .. 2025. 3. 23.
사찰여행 서대문 안산자락 봉원사 천년고찰 태고종 봉원사奉元寺서울 서대문 안산(鞍山) 자락 서울 서대문 안산(鞍山) 자락의 세계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영산재로 잘 알려진 도심 속 천년고찰 봉원사를 찾았습니다. 봉원사는 신라 말기 진성여왕 3년(889년)에 도선국사가 처음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천년고찰입니다. 봉원사 입구 안산자락길(안산봉수대) 봉원사 부도와 연못, 400년생 느티나무 봉원사 사천왕봉원사연혁과 봉원사 가람 부처님의 제자 16 나한상(羅漢象) 아라한(阿羅漢)은 산스크리트 arhan을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8세기 후반 말세신앙과 함께 16 나한에 대한 신앙이 깊어지기 시작했으며, 부처님 당시의 제자 중 16분의 아라한상을 봉원사 대웅전 뜰앞에 조성하여 봉.. 2025. 3. 22.
생태계의 보고 유네스코 광릉숲정원 국유림 명품숲 광릉숲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2025.03.19일 아름다운 설경숲을 보러 포천 국립수목원을 찾았으나 어제 새벽 내린 폭설은 하루가 지나자 언제 왔나 싶을 정도로 녹았습니다. 예상한 설경을 보지 못해 아쉬움은 있으나 걷기 좋은 광릉숲을 소개해 봅니다. 명품숲 광릉숲은 560여 년의 역사를 간직한 천연림과 주변을 둘러싼 인공림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2,425ha 면적의 아름다운 숲은 역사와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인정받은 우리나라에서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생물종(種)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국립수목원 광릉숲길    생태숲 관찰로 에는 쓰러진 고목이 많이 보이는데 고목이 분해되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관찰하면서 걷는 데크로드입니다. 쓰러진 나무가 완.. 2025. 3. 20.
고궁산책 창덕궁에서 창경궁 창덕궁에서 창경궁세계유산 조선의 궁궐2025.03.15일 3월 둘째 주 화창한 나들이 하기 좋은 주말 조선의 궁궐 창덕궁에서 창경궁을 찾았습니다. 창덕궁의 정문 돈화문은 현재 2027년 07월까지 해체 보수공사 중입니다. 창덕궁의 돈화문은 현재 보수공사 중으로 돈화문 서쪽의 문인 금호문을 임시로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궐내각사 앞 회화나무 돈화문 안마당 좌우로 자라고 있는 300~400년생 8그루의 회화나무는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창덕궁의 정전으로 들어가는 진선문(進善門)의 進善은 임금에게 바른말을 올린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영조 때에는 진선문 앞에 신문고를 설치 억울한 일이 있는 백성은 신문고를 치게 했다고 합니다. 진선문을 들어서면 (左)로 정전인 인정전,.. 2025. 3. 19.
조선왕릉 단종비 남양주 사릉 단종비 정순왕후 思陵유네스코 조선왕릉 사적 209호2025.03.07일 산책하기 좋은 요즘날씨, 릉(陵) 주변 전체가 노송숲인 남양주 사릉(思陵)을 찾았습니다. 비운의 단종임금의 비(妃) 정순왕후 송 씨(宋 氏)는 15세 때 단종의 비(端宗妃)가 된 후 18세에 영영 생이별을 하고, 서울 창산동 정업원에서 82세까지 사셨습니다. 평생을 단종을 그리워하며 살다 생을 마친 분의 능호를 그리움의 뜻이 담겨있는 思陵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사적 209호 조선왕릉 사릉(思陵) 사릉 주변의 쭈욱 뻗은 아름다운 노송숲 사릉의 능침으로 올라가는 노송숲길은 봄(5월)과, 가을(10월) 두 차례 한시적으로 숲길을 개방하고 있습니다. 단종비는 약 258년이 지난 1698년 숙종대에 들어서 단종임금이 복원.. 2025. 3. 17.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속으로 인도 동남아시아 신들의 세계자료/ 인도 동남아시아 전시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습니다. 박물관 상설전시장은 7개의 관과 39개의 실로, 9,884점의 유물을 전시학고 있는 공간으로, 유물의 보존 상태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의 상설전시관 3F 세계문화관에서는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인도 동남아시아, 고대 그리스 로마 등 세계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으로, 인도. 동남아시아실을 찾아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미술에서 인간을 닮은 신상(神象)의 출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 형상의 신은 사람들에게 친숙함과 함꼐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킴과 동시의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불상의 발원지인 간다라와 마투라 지.. 2025. 3. 16.
사찰여행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 종로 안양암 마애관음보살좌상安養庵 磨崖觀音菩薩坐像국가유산 서울 유형문화유산. 서울 종로구 창신동 낙산 절벽 마을 길에 자리한 안양암(安養庵)은 1889년 조선 왕실의 원찰로 성월 대사(性月大師)가 창건한 정토 도량(淨土道場)으로, 거대한 병풍바위산아래에는 마애관보살좌상(磨崖觀音菩薩坐像)이 있으며, 천오백불전에 있는 소조 좌불(塑造坐佛)의 70%가량은 왕실에서 시주를 한 전통사찰입니다. 사칠 이름인 안양(安養)의 뜻은 극락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안양(安養)"이라고 합니다. 지하철 동묘역 ⑨번출구에서 창신동 봉제골목 절벽마을길 따라 약 5분 거리에 안양암(安養庵)이 있습니다. 안양암이 있는 낙산 주변은 크고 작은 절들이 모여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낙산 바위산아래 자리한 안양암(安養庵.. 2025. 3. 14.
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재개관 공개 선사고대관 재개관 공개전시자료/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2025.03.12일 국립중앙박물관 선사. 고대관을 새롭게 단장해 지난 2월 초부터 공개했습니다. 새롭게 개방한 선사고대관, 구석기실~고구려 실은 2023년부터 2025년 2년에 걸쳐, 인류의 등장에서 고대 국가의 출현까지; 인류가 쌓아온 기나긴 역사를 쉽고 흥미롭게 꾸며 놓았습니다. 선사. 고대관은 인류가 한반도에 살기 시작한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남북국시대까지 우리 역사와 문화를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게 꾸며놓은 공간입니다 구석기시대구석기시대에는 매우 추운 빙하기와 그 사이에서 따뜻해지는 간빙기가 반복되는 힘든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싸움이 치열한 시기였습니다.  구석기실은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만날.. 2025. 3. 13.
서울미래유산 힐링숲 홍릉숲 서울미래유산 홍릉숲홍릉 국립산림과학원2025.03.09일 주말(토요일, 일요일)에만 개인 자유탐방을 허용하는 홍릉숲을 찾았습니다. 홍릉숲은 근대 임업시험 연구의 최초 시험지라는 역사적, 문화적, 학술적 가치가 높은 서울 도심 속 미래유산 명풍숲으로, 제1수목원에서 제9수목원까지 침엽수, 활엽수, 관목, 외국수목 등과 함께, 약용식물원, 난대식물원이 있는 도심 속 휴식처입니다..홍릉 국립산림과학원 도심 속 100대 명품숲 홍릉숲 홍릉숲 침엽수림  풍년화는 붉은색과 노란색의 꽃이 피며, 꽃말은 사랑, 정성, 十자모양의 꽃이 피고 있다고 하여 악령이라는 꽃말도 지니고 있습니다. 풍년화는 복수초와 같이, 잎보다 꽃이 먼저 꽃나무로, 원산지는 일본이며, 일본에서는 만작(滿作)으로 부르는데, 꽃은 전년도 가지 잎겨..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