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속으로

by @산들바람 2025. 3. 16.

 

인도 동남아시아 신들의 세계

자료/ 인도 동남아시아 전시실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습니다. 박물관 상설전시장은 7개의 관과 39개의 실로, 9,884점의 유물을 전시학고 있는 공간으로, 유물의 보존 상태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박물관의 상설전시관 3F 세계문화관에서는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인도 동남아시아, 고대 그리스 로마 등 세계 각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전시하고 있는 공간으로, 인도. 동남아시아실을 찾아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신들의-세계-썸네일
인간을 닮은 神들의 세계
신들의세계-출현-소개글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미술에서 인간을 닮은 신상(神象)의 출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 형상의 신은 사람들에게 친숙함과 함꼐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킴과 동시의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건다라지역의-미술
간디라의 미술

불상의 발원지인 간다라와 마투라 지역의 불상과, 크메르 미술에 등장하는 신상, 세밀화에 그려진 여러 힌두교의 神 등 인간을 닮은 神 들을 만나봅니다.

 

종교적인-간다라-미술
간다라 미술

인도 간다라미술에서 인간의 형상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종교적인 미술도 예외는 아니어서 수많은 신들이 인간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종종 감각적이고 에로틱한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하였습니다.

 

 

스투파-부처와-선인
불교사원의 성소와 스투파의 표면을 장식했던 조각

부처와 선인

 

부처의-머리

부처의 머리

2-3세기, 회색편암

 

보살의-머리

보살의 머리

2-3세기, 회색편암

 

미륵보살

미륵보살

2-3세기, 석조

 

보살과-숭배자

보살과 숭배자

이 부조는 스투파드등의 표면을 장식하는 판석으로 추정되는 조각

 

간디라의-미술을-대표하는-작품

간다라미술에는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이 지역의 미술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神들의 형상

 

인도미술-작품
인간의 모습을 한 神들

(左)로부터 아이들에게 둘러싸인 여신, 중앙의 미술품은 한쌍의 남녀가 에로틱한 자세로 표현된 "미투나" 상은 인도미술에서 인기 많은 모티브 중 하나로, 풍요와 길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右)굽타시대 이후 북인도에서 시비 상(象) 형식의 하나로, 시바 사원 외벽에 독립된 성소에 모셔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의-모신
아이들을 수호하는 母神

인도, 마디야 프라데서 또는, 라자스탄 굽타왕조 6-7세기, 사암

 

사랑을-나누는-연인상
인도에서 인기있는 모티브중 하나인 미투나

미투나, 사랑를 나누는 남녀

11-12 세기, 사암

한쌍의 남녀가 에로틱한 자세로 표현된 "미투나"象

 

시바사원-외벽-성소에-모셔졌던-시바와-파르바타
시바와 파르바티

시바사원 외벽에 마련된 독립된 성소에 모셔졌던 것으로 추정

인도 라자스탄

9-10세기, 사암

 

힌두교에서-이상적인-여성-여신
파르바티 여신

파르바티(Pavati)

촐라 시대, 13세기

파르바티는 힌두교에서 이상적인 여성상과 생산력을 상징하는 여신입니다.

 

남인도-지역에서-유행한-소마-스칸다

시바, 파르바티 와 스칸다(스칸다는 현재 사라지고 없음)

촐라 시대 11세기

남인도 지역에서 유행한 소마 스칸다 도상은 사바와 파르바티, 아들 스칸다로 구성됩니다. 현재 스칸다 상(象)은 사라졌으며 중앙에 작은 방석만이 남아 있습니다.

 

부처의-생애를-새긴-비상(碑常)

부처의 생애를 새긴 비상(碑常)

팔라시대 10세기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중요한 8가지 사건(팔상/八相)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보관을-쓰고있는-부처

보관을 쓰고있는 부처(佛頭)

팔라시대 10-11세기

인도에서 보관을 쓴 모습의 부처는 6세기경에 등장하여, 10세기 이후 보편적인 도상(圖象)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됩니다.

 

간다라-보살

간다라

보살

보살은 원래 깨닮음 얻기 전의 석가모니를 가리키었으나, 대승불교가 세력을 떨치면서 자신의 깨달음을 추구하여 다른 중생을 구제하는 존재를 가리키게 되었습니다

 

성을떠나는-부차

성을 떠나다

2-3세기

회색편암

 

시냥꿏과-옷을-바꾸는-부처

사냥꾼과 옷을 바꾸다.

2-3세기

회색편암

 

부처와-선인

부처와 선인

2-3세기

회색편암

 

비슈뉴

비슈뉴

인도

팔라 왕조, 11-12세기, 흑암

힌두교의 3 신(神)중 하나

 

문수보살

문수보살

팔라왕조, 12세기, 흑암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티베트-문수보살

문수보살

티베트, 14세기, 황동

 

네팔에서-만든-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14세기, 네팔에서 제작

 

티베트-부처

부처

15세기 티베트양식을 잘 보여주는 황동 불상

 

황동-불
문수보살, 관세음보살, 부처

 

 

 

크메르-제국의-미술

크메르제국의 미술

기네샤

기네샤(Ganesha)

비슈뉴

비슈뉴(Vishnu)

락슈미

락슈미(Lakshmi)

우마

우마(Uma)

크메르-화신

캄보디아 크메르제국 시바, 파르바티의 아들 가네샤, 여러 화신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 재난에 처한 세계를 구원하는 창조주이자 수호신인 바누스와 락슈미, 우마(Uma)는 시바의 배우자로 파르바티로 부르며, 우마는 자애로운 어머니이자 순종적인 부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神입니다.

 

인면탑
바욘 사원의 인면탑(人面塔)

인도.동남아시아실의 미술작품에서 인간을 닮은 신들의 출현은, 사람들에게 친숙함과 함께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켰으며, 그들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당시 사람들이 종교적 관점에서 숭배의 대상을 감상해 보는 시간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