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77 추억의 교외선 낭만청춘열차 개통 교외선 무궁화호 추억열차가 달린다의정부에서 대곡까지 6개 역 운행2024.01.30일 지난 1961년 능곡에서 가릉역구간이 우선 능의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을 시작으로, 고양부터 양주, 의정부를 잇는 경기 북부의 동서를 잇는 교통수단 중 하나였던 교외선은, 서울외곽순환도로 개통과 수도권 광역전철 도입으로 이용객이 감소하면서 교외선은 2004년 4월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옛 철로가 잘 보전되고 있어, 교외선 재개사업비로 549억 원을 투입하여, 지난 2025.01.11(토)부터 운행재개 되었습니다. 6070 시절 서울에서 교외선을 타고 일영, 장흥, 송추로~~ 기타 메고 낭만청춘여행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시절 운행했던 낭만 추억열차가 운행재개 되었습니다. 그 시절 재개되는 교외선운행구간은 의정부, 송.. 2025. 2. 1. 2025 만사형통 설맞이한마당 을사년새해 설맞이한마당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2025.01.18일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고유명절 설날연휴를 맞이하여 01월 27일(월)부터 30일(목)까지 "2025 을사년 만사형통 설맞이 한마당" 행사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명절인 설을 기념하며, 세시풍속 체험과 광명농악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매서운바람과 눈 내리는 추운 날씨여서 야외행사는 국립민속박물관 로비에서 열리고, 광명농악은 계획대로 앞마당에서 열렸습니다. 오촌택에서 지신밟기 하면서 박물관 앞마당으로 농악대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나쁜 기운을 풀어내고 행복과 소원을 비는 "비나리'를 시작으로 신명 나는 광명농악대의 공연이 시작되었습니다. 관람.. 2025. 1. 30. 설날연휴 개방한 창경궁에서 종묘산책 세계유산 창경궁에서 종묘글자료/궁능유적본부2025.01.27일 설날연휴기간 중 조선의 궁궐과 왕릉 모두 휴궁일 없이 무료개방하고 있습니다. 연휴첫날 월요일(27일) 아침부터 눈이 오락가락 내리는 하루 설경을 기대했지만 아쉬움이 남는 산책이었습니다. 창경궁과 종묘는 별도로 관람은 할 수는 있으나 오갈 수는 없습니다. 이번 설날연휴기간 중에는 율곡로 북신문을 활짝 개방해 창경궁에서 종묘를 오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창경궁의 정문 보물 제384호 홍화문(弘化門) 정전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옥천교는 응봉산의 명당수가 창덕궁의 존덕정을 지나 창경궁의 북쪽 춘당지를 거쳐 옥천교로 흘러 남쪽으로 흘러갑니다. 내전 터 일원은 보수공사 중으로 현재 출입금지 온실로 가는 백송 숲길 창경궁의 대온실은 19.. 2025. 1. 29. 대한제국 황실가족 묘역길 대한제국 황실묘역 ②세계유산 조선왕릉2024.01.24일 조선의 마지막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과 순종임금의 황릉 담장너머에 있는 대한제국의 황실가족 묘역길을 산책해 봅니다. 홍유릉의 홍릉 능침옆으로 황실가족묘역으로 가는 작은 문을 지나면 황실가족묘역으로 가는 산책하기 좋은 숲길이 나옵니다. 홍유릉밖 황실 양묘장 숲길 은행나무 소나무숲길 정자각 옆으로 묘역으로 올라가는 길 조선왕릉과는 달리 정자각에서 능침아래에는 가꾸지 않아서 인가 많은 노송이 자라고 있습니다. 언덕 위 (左)는 의민 황태자 묘역(영원)이고, (右)는 황태손 이구의 묘역(회인원)입니다. 회인원(懷仁園)은, 대한제국 의민 황태자의 둘째 아들 회은(懷慇) 황태손 이구(皇太孫 李玖)의 묘입니다. 영원(英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의민.. 2025. 1. 27. 조선 마지막 임금이자 황제의 릉 사적 제207호 남양주 홍유릉 ①세계유산 조선 마지막 임금. 황제의 릉(陵)2025.01.24일 조선의 마지막 26대,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초대, 2대 황제의 릉(陵)인 홍유릉을 찾았습니다. 홍유릉은 조선의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황제인 고종과 명성황후의 함장능인 홍릉(洪陵)과, 조선 마지막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2대 황제인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 씨와, 순정효황후 윤 씨의 릉(陵)인, 유릉(裕陵)을 소개해봅니다. 남양주 금곡 홍. 유릉 유릉(裕陵) 재실 능(陵) 아래에는 정자각을 대신하여 침전을 세웠습니다. 기존 조선왕릉은 제향을 지내는 공간인 정자각을 갖추고 있으나,. 대한제국 황제릉은 정자각을 대신해 일자형 침전(寢殿)으로 바꾸고 그 아래 석물을 세웠습니다. 기존 왕릉과 달리 .. 2025. 1. 26. 조선을 대표하는 분청사기 백자 분청사기 백자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아박물관 분청사기. 백자 전시실을 소개해 봅니다, 분청사기 백자실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전시한 공간으로, 분청사기는 "분장회 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는 학술 명칭의 줄임말이며,. 분청사기는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해 16세기 중엽까지 만들어졌으며, 꾸밈없는, 다양한 기법 구사와 함께, 자유롭고 대담한 무늬가 특징입니다. 분청사기(粉靑沙器)와 백자(白磁)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자기입니다. 분청사기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벡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분청사기와는 달리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유약을 발라 1,3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도자기입니다. 상감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발전한 도자기로, 도자기의.. 2025. 1. 24.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특별전 고려상형청자 특별전시글자료출처/국립중앙박물관2025.01.21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Ⅱ실에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아름답고 찬란한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사자모양 향로, 청자 어룡모양 주자 등 300여 건의 상형청자를 만나봅니다. 고려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해 보는 전시로, 천여 년 전, 고려청자는 고려인이 이루어낸 수준 높은 최첨단 기술과 독자적 미감의 산물로, 동. 식물, 인물 등의 특정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는 고려청자의 수준 높은 기술과 미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靑磁 魚龍形 注子고려 12세기 작품 국보 제91호 상상 속의 동물인 용(龍)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푸른빛 청자에 담은 작품으로, 용(龍), 어룡(漁龍). 귀룡.. 2025. 1. 23.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금속공예 조각 공예관 금속공예 전시실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01.16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동 3F 금속공예관은 삼국시대~ 조선시대까지 제작된 한국의 금속공예작품을 감상하고, 금속공예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은 공간입니다. 금속공예전시실에서 전시 중인 일부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금속 공예전시실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제작된 공예품을 금, 은, 청동, 철 등 금속 재료로 구분해 시대별로 비교해 볼 수 있게 전시하고 있습니다. 금속으로 제작된 다양한 불교공예품과 대표적 금속공예 장식 기법인 입사(入絲) 기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태주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에 부인 강 씨, 승려 월암 등과 함께 발원해 금강산 비로봉에 봉안한 사리엄장으로,.. 2025. 1. 21. 사찰여행 수락산 천년고찰 흥국사 수락산 덕절 흥국사興國寺삼국시대 신라 원광법사가 창건한 천년고찰2025.01.17일 삼국시대 신라 599년(진평왕 21)에 원광법사가 수락사(水落寺)라는 절을 창건 후, 1568년(선조 1년)에 선조는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한 사찰로, 원당(願堂)때문에 덕절로 불리었으며, 1626년(인조 4년)에 흥국사(興國寺)로 개명 현재에 이르고 있는 천년고찰입니다. 지하철 4호선 불암산(옛 당고개역) 역에서 10-5번 버스카고 5분 거리에 있는 덕릉마을입구 남양주 덕릉마을 입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언덕 위에 자리한 흥국사일주문 興國寺大房경기문화재자료 제56호 흥국사 대방에 걸려있는 흥국사(興國寺) 편액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 2025. 1. 20. 이전 1 2 3 4 ··· 19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