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북한산 국립공원88

북한산 둘레길 6구간 평창길 6구간 평창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2021.07.18일 북한산 둘레길 총 71.5km 무더운 삼복더위지만 산에 오르면 무더위도 잊어버린다. 오늘은 둘레길 여섯 번째 평창길을 걸어본다. 그동안 6구간 평창길은 동네 한 바퀴 돌아보는 것 같아 6 구간 길은 생략했었으나, 이번 산행에는 6구간 형제봉 입구~ 이북 5 도청 입구까지의 평창길 5.0km도 걸어보았다. 6 구간 길 형제봉 입구에서 도로 따라 맨 위까지 올라간다. 해발 300m 지점의 연화정사에서 본 평창동. 출발할 때는 맑음이었는데, 습도는 높고 더욱 무더워 진날 에다 날씨도 잔뜩 찌푸리고 산행하기에는 피하고 싶은 날이다. 평창동 평창길 맨 위에 자리한 삼각산 아래 대한불교 본원종 염불수행도량인 연화정사 연화정사 앞산인북악산과, 북한산 형제봉과.. 2021. 7. 21.
북한산 둘레길 5구간 명상길 5구간 명상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2021.07.16일 북한산 둘레길 총길이 71.5km 북한산 둘레길은 각각의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자연숲길로, 시간 나는 대로 한 구간씩 돌아본다. 오늘은 5번째로 정릉 탐방에서 출발하여 평창동 형제봉 입구까지 약 4.0km의 숲길을 산행해 본다. 4구간까지는 평탄한 숲길 걷는 분위기의 산책길이었다면, 5 구간 길부터는 산행하는 묘미를 즐길 수 있는 좀 힘들어지는 구간 길의 시작이다. 5 구간 길의 시작은 북한산성 보국문 칼바위봉 오르는 정릉 탐밤에서 시작한다. 와~~ 대박!! 주차장이 텅 비었다. 거리두기 4단계 시행으로 정릉 탐방 주차장을 임시 폐쇄시켜 놓았다. 하늘은 한바탕 쏟아 불 기세다. 정릉 탐밤 가는 길목 우측으로 명상길 구간이 보인다. 입구에서 조금.. 2021. 7. 18.
북한산 둘레길 야생화 둘레길 야생화 북한산 국립공원 2021/07.13일 북한산 둘레길에서 만난 야생화 바위채송화 꽃 말: 가련함, 순진 원산지: 한국 분 류: 돌나물과 Crassulaceae 학 명: Sedum polytrichoides Hemsl. 형 태: 여러해살이풀 바위채송화는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로, 햇볕이 잘 드는 바위틈새를 좋아한다. 원에 종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채송화의 모습을 닮아 바위채송화라는 이름은 붙었으나, 실제 모습은 돌나물과 더 많이 닮아 개돌나물로도 불린다. 거대한 암반 바위틈새에서 바위채송화를 발견했다. 너무 험한 지대여서 가까이 갈 수가 없어 아쉽다. 돌나물을 많이 닮은 바위채송화 바위채송화는 2~3갈래로 갈라지는 안목상 취산 꽃차례에 노란색의 꽃이 달린다. 뿌리잎을 유엽경천(柳葉景天)아라.. 2021. 7. 14.
북한산 둘레길 4구간 솔샘길 제4구간 솔샘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2021.07.11일 북한산 생태숲길 따라 웰빙 소나무 숲을 걷는 피톤치드 제4구간 길인 솔샘길을 걸어본다 흰구름길에서 나오면 4구간 솔샘길의 시작이다. 유아 숲길 따라 북한산 생태숲길을 걸어본다. 유아들을 위한 관찰로 와 함께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의 생태숲 북한산 생태숲길 북한산 자락에 자연생태공간을 만들어 놓은 숲길로, 사색의 숲, 바람소리 숲, 야생화원 등이 있다. 자연생태숲에는, 야생화와 생태연못을 조성해 자연을 소중함을 배우는 공간 강북 솔샘 물줄기의 발원지 성북 생태체험 주변 만남의 광장 데크와 숲길 따라 걷는 울창한 송림 피톤치드 숲길 피톤치드 숲은 노약자에게도 피톤치드 산림욕을 즐길 수 있게 완만한 경사로로, 약 700여 m의 무장애 숲길이 포함되.. 2021. 7. 13.
북한산 둘레길 3구간 흰구름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제3구간 흰구름길 2021.07.03일 수유동 북한산 아카데미 탐방 이준 열사 묘역 길 입구에서 출발 통일부 교육원길로 해서 북한산 생태숲길까지의 3구간 흰구름길을 산행해 본다. 3 구간 길은 코스가 좀 길며, 급경사 오르내림이 좀 심한 알바 길이 많은 약 4.5km의 숲길이다. 통일부 교육원 옆으로 둘레길 안내 표시 따라 가면 3 구간 길 산행로가 나온다. 아카데미 탐방 입구에서 약 5분 거리에 있는 흰구름길 구간 둘레길 능선에 취병 같은 대나무로 엮은 생울타리 숲길 따라 오른다. 군사시설인 줄 알았는데, 2km가 넘는 긴 둘레길에 민가로 멧돼지 못 내려가게 철책으로 처 놓았다. 소나무 뿌리가 두 나무를 서로 연결시켜놓은 연리근 형태의 신비스러운 현상의 연리지 비지땀 좀 흘리는 .. 2021. 7. 6.
북한산 둘레길 2구간 순례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제2구간 순례길 북한산 들레길 1 구간 길에 이어 2 구간 길을 걸어본다. 2 구간 길은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순례길로 둘레길에는 4.19 묘지 전망대가 있는 구간으로 이시영 선생, 이준 열사, 대한 광복군 등 많은 애국선열들의 묘소가 있는 구간 길이다. 북한산 삼각봉이 조망권에~~ 출발점인 솔밭공원 솔밭 근린공원에서 5분 정도 오르면 북한산 2구간인 순레 길 구간 입구가 나온다. 1963년 4.19 때 희생된 290명의 영령들이 잠들어있는 곳으로, 성역화 사업으로 1995년 국무회의에서 4.19 묘역을 국립묘지로 승격하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서 깊은 민주묘지이다. 북한산 등산로에서 보이는 민주묘지는 민주묘지 전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선열의 혼을 .. 2021. 6. 28.
북한산 둘레길 1구간 솔밭길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제1구간 솔밭길 2021.06.20일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총 71.5km 북한산의 둘레길은 제1구간길 출발점인 북한산 우이분소를 출발~ 은평 북한산~ 고양 북한산성~ 송추계곡~사패산 안골 ~ 도봉탐방을 지나~출발점인 우이분소까지 21구간으로 나뉘어있는 둘레길로, 지난해 시간나는데로 뒤죽박죽 전구간을 돌아 보았었다. 올해는 1구간을 시작으로 천천히 한구간, 한구간~~21구간 전체둘레길을 돌아볼 계획이다. 도봉 우이역에서 우이분소에서 출발하는 1구간길인 소나무 숲길을 걸어본다. 1구간에서~2구간길은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묘역길인 순례길이 포함된 숲길이다. 북한산탐방 우이분소로 가는 맑은 우이계곡 우이동 우이계곡 주말이라 북한산 올라가는 산객으로 초입부터 붐비고 있다. 우리일행은 .. 2021. 6. 23.
북한산 산성 주능선 [북한산 국립공원] 북한산 백운대(白雲臺) 836m 용암문 공원 지킴에서 정릉 탐방까지 약 6.0km 2020.12.11일 어제 10일 새벽 수도권에 "도둑 첫눈"이 내렸다고 한다. 작년부터는 12월 수도권 눈 구경하기 힘들어졌다. 그 이전에는 12월이면 눈이 제법 내렸는데, 눈 오던 시절 다음 블로그의 글을 티스토리로 옮겨본다. 오늘은 눈 오는 날 산행하기 좋은 북한산성의 주능선 코스를 소개한다. 도봉 도선사 광장을 출발하여 용암문을 지나 동장대, 대동문, 보국문에서 정릉 탐방으로 하산하는 약6.0km의 초보도 겨울 눈 산행을 즐길 수 있는 코스이다. 정릉 도선사 앞 용암문 공원 지킴터에서 출발한다. 용암문 지킴터에서 약 1.2km 오르면 주능선의 용암문에 도착한다. 여기서 우(右)로 약 2.0km 정.. 2020. 12. 11.
도봉산739m 다락능선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산 다락능선 도봉산(道峰山)739.5m 도봉산은 서울 도봉구, 의정부 호원동, 양주시 장흥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최고봉인 자운봉((紫雲峰, 739.5m)과 남쪽의 만장봉(萬丈峰), 선인봉(萬丈峰), 그러고 서쪽으로 오봉(五峰), 여성봉이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북한산은 잘 알려져 있어 우리나라 사람이 제일 많이 찾는 산 이긴 하지만, 진짜 멋있는 산은 도봉산인 것 같다. 도봉산중에서 산세가 아름다운 다락능선 코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산세가 아름다운 만큼 사고도 많이 나는 코스로, 나 홀로 초보 산행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을 듯싶다. 망월사역에서 원도봉 심원사 입구까지 약 2km로 20여분 소요. 심원사 우측 다락능선으로 산행을 시작한다. 하늘로 통하는 통천문을 지니면 조금 직.. 2020. 1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