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북한산 국립공원88

사패산 회룡사 회룡사 (回龍寺) [북한산 국립공원]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2동 411호 북한산 국립공원 사패산(賜牌山) 동쪽 기슭의 회룡골에 자리한 사찰북한산의 대표적인 비구니사찰로 여러모로 관음도량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1398년(태조 7) 태조가 함흥에서 한양의 궁성으로 돌아오는 길에 왕사 무학을 방문했는데, 무학은 1394년에 정도전(鄭道傳)의 미움과 시기를 받아 이곳 토굴에서 몸을 숨기고 있던 중 태조의 방문을 받은 것이다. 태조는 여기서 며칠을 머물렀고, 이에 절을 짓고는 임금이 환궁한다는 뜻으로 그 이름을 회룡(回龍)이라 하였다, △회룡사(回龍寺) △ 취선당(聚禪堂) 선방 △ 설화당(說話堂) 요사채 △ 석조관음보살입상(石造觀音菩薩立像) △ 극락보전(極樂寶殿) △오 층 석탑(五層石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 2017. 10. 26.
도봉산 원통사 원통사(圓通寺)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산 우이암아래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1 교구인 조계사의 직할사찰로, 산라 경문왕 3년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천년고찰예로부터 좌우에 수락산과 삼각산을 거느리고 한강을 바라보는 도봉산의 최고 길지에 자리 잡은 수행기도처로 알려져 왔다. 경내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가 기도했다는 석굴과, 약사전아래 큰 바위 에는 태조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의 상공(정승)이 되어 옥항생제를 배알 하는 꿈을 꾸었다 하여 새겼다는《상공암(相公岩)》이라는 글씨가 있으며, 절뒤쪽에 있는 우이암으로 불리는 바위는 관음보살이 부처님을 향해 기도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 원래는 관음봉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천년고찰 원통사(圓通寺) △원통사(圓通寺) 입구 △관음보전(觀音寶殿) 1929년에 처음 건.. 2017. 10. 26.
북한산 도선사 도선사 (道詵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264번지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북한산자락에 자리한 사찰 862년(경문왕 2) 도선(道詵)이 창건하였으며, 도선은 이곳의 산세가 1,000년 뒤의 말법시대(末法時代)에 불법을 다시 일으킬 곳이라고 예견하고 절을 창건한 뒤, 큰 암석을 손으로 갈라서 마애관음보살상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그 뒤 조선 후기까지의 중건;중수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북한산성을 쌓을 때는 승병들이 이 절에서 방범 (防番: 보초 임무)을 서기도 하였다. 1863년(철종 14) 김좌근(金左根)의 시주로 중수하고 칠성각(七星閣)을 신축하였으며, 1887년(고종 24)에는 임준(任準)이 오층탑을 건립하고, 그 속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안하였다. △도선사천왕문.. 2017. 10. 26.
도봉산 망월사 망월사 望月寺 [북한산 국립공원]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13번지 의정부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신라시대선덕여왕 8년(639년)에 해호(海浩)가 신라왕실을 위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망월사라는 이름은 절 동쪽에 토끼모양의 바위가 있고, 남쪽에는 달모양의 봉우리인 월봉이 있어, 토끼가 달을 바라보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일화가 있는 사찰. 왕이 있는 경주 월성을 바라본다는 뜻이라는 설도 있으며,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태자가 나라가 망한 뒤 이곳에 머물렀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신라왕실과 관련이 깊은 고찰 △ 망월사(望月寺) △무위당(無爲堂) 지장전이라고도 하며, 건물은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지었는데 아래에는 콘크리트 구조의 요사이고, 위층이 무위당이다. 무위당의 정면과 좌우측면.. 2017. 10. 26.
걷기좋은 우이령숲길 북한산 우이령(牛耳嶺) [북한산 국립공원] 교현탐방~ 석굴암~ 오봉전망대~ 소귀고개~우이탐방까지 약 7.0km 구간서울 우이동과 경기 교현리 사이에 위치한 우이령은, 북한산둘레길 13개 구간 중 우이령길 구간만 사전예약을 해야 탐방가능. 송추교현탐방입구우이령길은상장능선과 송추 남능선 사이에 위치해 있는 고갯길로, 1968년 1.21 사태(김신조 청와대 습격사건) 때 1969년부터 군부대와 전투경찰이 주둔하면서, 국가안보 및 수도방어를 목적으로,> 민간인 출입을 통제하였던 곳으로, 생태계가 가장 우수한 우이령일원을 보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우이령길 탐방예약제를 제시, 우이령보존회 와 협의를 거쳐, 2009년 06월부 터부터 탐방예약제를 시행 개방하고 있는 걷기 좋은 숲길. 교현탐방 오봉(五峰) 오봉산 석굴.. 2017. 10. 11.
도봉산 다리미바위 도봉산(道峰山739.5m 북한산 국립공원다락능선초입 심원사 위 통천문바위를 지나서 우뚝 솟아있는 다리미형상의 바위 도봉산 다리미바위 2017. 6. 10.
북한산 악어바위 북한산 응봉(應峰) 능선 악어바위 악어바위 응봉능선 위 사모바위아래 악어바위 응봉능선 위사모바위아래 악어바위 응봉능선 사모바위아래에 있는 바위 2017.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