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북한산 국립공원88 북한산 승가봉525m [북한산국립공원] 승가봉(僧伽峰) 525m 2014.01.04일 서울시 강북구(江北區)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산. 승가봉(僧伽峰) 북한산성 탐방지원센터 탐방로출발~대서문방향으로 노적사입구에서본 노적봉(露積峯) 남장대지에서본 산성주능선넘어 도봉산 의상능선 의상능선 ~~ 원효능선 ~~ 염초봉 문수봉(文殊峰 727m) △청수동암문(淸水洞暗門) 청수동암문(淸水洞暗門)은 북한산의 나월봉과 문수봉 사이의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1711년 숙종 37 북한산성 성곽을 축조하면서 설치한 8개의 암문(暗門) 중 하나로, 탕춘대성과 비봉에서 성 안쪽으로 들어오는 길목을 통제하기위해 설치했다. 암문은 비상시에 병기나 식량을 반입하는 통로이자, 때로는 구원병의 출입로로 활용된 일종의 비상출입구이다. 산성의 방어력을 .. 2017. 11. 12. 북한산 산성주능선 [북한산국립공원] 산성 주능선(主陵線) 2013.12.25일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경계에있는산으로, 청수동암문을지나 문수봉~ 대남문~용암문을지나 백운봉암문까지 이어지는 주능선길 용암문에서본 삼각봉 도선사입구에서 용암문등산로로~~ 용암문(龍岩門: 일명 龍岩峰暗門) 북한산성에 있는 암문으로, 원래 이름은 용암암문(龍巖暗門) 용암문은 북한산성의 대동문 북쪽에있는 암문으로,산성이 축성된 1711년(숙종37년)에 지어졌다. 용임봉 아래에있어서 용암봉암문이라고도 부르며, 우이동으로 통하는 관문이다. 암문은 일반성문과달리 은밀한곳에 만들어져 전쟁때에는 비밀통로로 사용하였다.암문은 그모양이 홍예가아닌 방향이라는것이 특징이며,상부에문루도 만들지않는다.그러나 용암문은 동암문.. 2017. 11. 12. 북한산 의상능선 [북한산국립공원] 의상능선 2013.12.21일 서울특별시 강북구,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경계에 있는산 의상봉에서~증취봉~용혈봉~용출봉~나월봉~나한봉~문수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용혈봉(龍穴峯)에서본 용출봉(龍出峯) 진관동 삼천사입구출발 날씨는 심한미세먼지로인해 시계제로!! 진관계곡에서본 증취봉(甑炊峯) 부왕동암문(扶旺洞暗門) 산성길 부왕동암문에서 의상봉방향으로 산행 원형그대로 잘보존된 부왕동여장(扶旺洞女墻) 성곽 여장(女墻)이란 성벽위에설치한 낮은 담장으로,적을 관측하고 공격하면서도 자신을 방어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었다. 여자도 넘을수잇다고하여 여장이란 이름 을 붙혔다는 견해가있다. 대개 여장에는 총안3개를 뚫었다.비스듬하게 뚫어 성벽가까이 접금한적을공격할수있도록한 총안을 근총.. 2017. 11. 12. 북한산 원효봉505m [북한산국립공원] 원효봉(元曉峯) 505m 2013.12.07일 서울시 강북구(江北區)와 경기도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산. 명칭은 원효봉아래에있는 원효암에서 유래된것으로, 원효암은 신라시대 원효(元曉)대사가 수도하였다는 토굴이있다.신라 때 원효(元曉)가 좌선하면서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으나, 조선 숙종 때 승병장 성능(聖能)이 원효를 기리기 위하여 창건하고 원효암이라고 하였다는것을 정설로 보고 있다. 그 뒤 북한산성을 지키는 승병이 머무르는 사찰로 전승되었으며, 1734년(영조 10) 2월에 실화(失火)로 불타버린 뒤 곧바로 중건에 착수하였고, 1938년에 주지 영운(泳雲)과 그의 제자들이 법당을 중건하였다. 원효봉(元曉峯) 능선 효자동 효자농원 등산로로 산행 서암문(西暗門) 서암문(西暗門)은 북한산성 원.. 2017. 11. 12. 북한산 능선과 봉우리 북한산(北漢山)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구은평구성북구종로구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경계에 있는 높이 837m의 산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초기에는 부아산이라 불렀고 고려 시대 이후 개성에서 보았을 때, 인수봉(810.5m), 중봉(백운대 835.6m), 국망봉(만경대 800.6m) 세 봉우리가 모여 있어 삼각(三角)처럼 보여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려 왔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고려시대에 측정한 중흥산성을 보수축하여 북한산성을 축성(1711년)한 이후 한성의 북쪽이라는 의미에서 북한산(北漢山)이란 산명을 별칭으로 사용해 오다가 일제강점기 이후로 점차 북한산(北漢山)이란 산명을 정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킬바위봉에서 보면 북한산성 성벽애서부삼각산너머도봉산까지 멋지게 조망권에 들어온다. 북한산과 북한산성의 능선통일신.. 2017. 11. 8. 2017 진관사국행수륙재 2017 진관사 국행수륙재 칠재 (津寬寺 國行水陸齋 七齋) 2013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126호로 지정 생명이 있는 존재와 생명 없는 존재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 이승과 저승을 떠도는 영혼과 아귀를 위해 법식(法食)을 베푸는 가장 큰 규모의 불교의식이자, 부처님 가르침의 연회가 베풀어지는 환희로운 법연(法筵)의 장이기도 한 수륙재. 진관사 수륙재는 조선을 세운 태조임금이 나라의 안녕과 국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진관사에 4번 거둥 하여, 59칸에 이르는 장대한 규모의 수륙사(水陸社)를 세우고 국행수륙재를 봉행하였으며, 이후 600여 년 동안 수륙재 설행의 중심사찰로 불교의례의 전통을 계승해오고 있다. 2017. 10. 14(토) 1부 - 낮재 돌아가신 소중한 분들을 한분, 한분 .. 2017. 11. 3. 북한산 진관사 진관사 (津寬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내동 신라 진덕왕 때 원효가 삼천사(三川寺)와 함께 창건하여 신혈사(神穴寺)라 했다. 고려 현종이 어릴 적에 자신을 왕태후의 암살 기도(企圖)로부터 구해준 신혈사의 승(僧) 진관의 은혜에 보답하고자 신혈사자리에 대가람을 세우고 진관사라 했다. 진관사(津寬寺) 대웅전(大雄殿) 佛身充滿於法界(불신충만어법계) 부처님 몸 온 우주 법계에 가득 하사 普現一切衆生前(보현일체중생전) 일체 모든 중생 앞에 두루두루 나투시고 隨緣赴感靡不周(수연부감미부주) 인연 따라 감응함에 두루 하지 않음 없네 而恒處此菩提座(이항처차보리좌) 하나 여기 보리좌에 항상 앉아 계신다네 廣大願雲恒不盡(광대원운항 부진) 넓고 크신 자비원력 항상 하여 다함없고 汪洋覺海渺難窮(왕양각해묘난궁.. 2017. 10. 28. 북한산 삼천사 삼천사(三千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 은평구 진관동 산 25-2 북한산(北漢山) 용출봉(龍出峯) 아래 자리한 천년고찰로 A.D.661년(신라 문무왕 1년) 원효(元曉) 대사가 개산(開山)한 사찰로, 1954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에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했던 사찰 △삼천사(三千寺) 1481년(조선 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北漢誌)에 따르면 3,000여 명이 수도 할 정도로 번창하였다고 하며. 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임란 중에 소실되었으나 뒷날 이 절의 임자가 있던 마애여래 길상터에 진영화상이 삼천사라 이름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사찰에서 2km 위쪽에 위치한 옛 삼천사 터 에는 대형 석조(石槽)와 동.. 2017. 10. 27. 북한산 승가사 북한산 승가사(僧伽寺) [북한산 국립공원] 서울 종로구 구기동 산 2-1번지 북한산(北漢山) 승가봉(僧伽峰) 아래에 자리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신라시대의 천년고찰 △승가사(僧伽寺) 예부터 북에는 승가사, 서에는 진관사, 남에는 삼막사, 동에는 불암사라 하여 한양 근교의 명승사찰을 꼽았는데 그중에서도 신라의 고찰로서 참선수도 도량으로 이름 높은 사찰로, 승가사의 창건은 756년(경덕왕 15)에 수태(秀台) 스님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한다. 수태스님은 중국 당나라 고종 때 장안 천복사(薦福寺)에서 생불(生佛) 소리를 들었던 서역 출신의 승가대사(僧伽大師)의 거룩한 행적을 듣고 그를 경모 하는 뜻에서 절의 이름을 승가사(僧伽寺)라 하였다고 한다. △승가사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15호/시.. 2017. 10. 27.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