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

조선의상징 법궁 경복궁

by @산들바람 2025. 1. 4.

조선의 법궁 경복궁

조선 5대 궁궐

2025.01.03일

 

유교적 질서를 중시한 조선은 한양 북악산아래 도읍을 정하고 그 중심에 조선을 상징하는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한 법궁인 경복궁을 세웠습니다. 경복궁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졌지만 고종대에 들어와 중건되었으나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많이 훼손되었던 것을 최근에도 발굴조사와 복원 중에 있습니다.

 

경복궁-썸네일

경복궁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 해치

 

조선의 법궁 경복궁은 "시경"의 왕조의 큰 복을 빈다.라는 의미를 따서 지었다고 합니다. 태조 3년인 1394년 12월 4일 시작된 경복궁 공사는 백악(白岳)과 삼각산(三角山)을 등지고 한성(漢城) 중심 좌우에 6조 관아(六曹官衙)가 있는 대로광장에 조영(造營)된 궁궐로서 중국의 고대 궁궐을 만드는 법식인 하늘의 별자리를 본뜬 오성좌 배치를 그대로 따랐다고 합니다..

 

북악산아래-청와대
국민품으로 돌아온 청와대

 

오늘은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청와대 앞 경복궁 북쪽에 있는 신무문에서 출발합니다.

 

경복궁-북쪽의문-신무문-01
경복궁-북쪽의문-신무문-02
경복궁 북쪽을 관장하는 문 신무문

 

신무문은 북쪽을 관장하는 "현무"에서 따온 이름으로, "신묘하게 뛰어난 무용"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광림문

신무문에서 경복궁내로 들어가는 문

 

고종의-서재-집옥재
집옥재 협길당 일원

 

창덕궁에 지어졌던 집옥재를 고종은 이곳으로 옮겨와 서재 겸 외국 사신 접견소로 활용하였습니다.

 

 

고종황제와-명성황후의-거처-01
고종황제와-명성황후의-거처-02
건청궁

 

건청궁은 1895년 을미사변이 있기까지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거처로 사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시절 파괴되어 총독부미술관으로 사용하던 것을 1998년 철거, 건청궁 원래대로 복원하여 2007년 10월 일반에게 개방하고 있습니다. 건청궁의 곤녕합에서 1895년 10월 8일 일본인 자객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되어 을미사변이 일어난 곳이기 한 가슴 아픈 역사가 숨 쉬는 곳 입이다.

 

경복궁의-아름다운-정자-향원정-01
건청궁앞 취향교
경복궁의-아름다운-정자-향원정-02
경복궁의-아름다운-정자-향원정-03
북악산아래 향원정과 취향교

고종과 명성황후가 건청궁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그 중앙에 지은 것으로, 건청궁과 향원정 사이에 다리를 놓아 취향교라 했는데, 이 다리는 6.25 전쟁 때 파괴되고 현재의 다리는 1953년 남쪽에 새로 놓은 것입니다.  

경복궁-장고
궁중의 맛을 간직한 장을 보관한 장고

 

함화당과-집경당-01
함화당과-집경당-02
함화당과 집경당

향원정 후원아래에 있는 후궁의 영역인 함화당과 집경당

 

장고-담벼락길
장고 담벼락

장고 담벼락 위 유형문(통제구역)을 지나면 북문 신무문이 나옵니다.

 

경복궁의-빈전인-태원전일원-01
경복궁의-빈전인-태원전일원-02
왕실의 빈전으로 사용한 태원전 일원

왕실의 가장 큰 슬픔이었던 흉례

 

경복궁의-빈전인-태원전일원-03
경복궁의-빈전인-태원전일원-04
경복궁의 빈전 태원전

 

태원전은 경복궁의 빈 전으로 문경전은 혼전으로 건립된 전각으로,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으나, 2006년 복원해 놓았습니다. 문경전은 현재 복원발굴조사 중에 있습니다.

 

문경전-영역
복원 발굴조사중인 문경전

왕실의 혼전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했던 전각

 

경회루-정자
하향정

경회루 연지 북쪽에 있는 정자

 

경복궁의-연회가열린-경회루일원-01
경복궁의-연회가열린-경회루일원-02
경북궁 경회루
경복궁의-연회가열린-경회루일원-03
경복궁의-연회가열린-경회루일원-04
경회루 국보 제24호

 

경회루는 외국 사신의 접대와 연회를 베풀던 곳으로 현재의 건물은 고종 4년인 1867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중건당시에 경회루 연못에 2마리 청동 용을 넣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실제로 1997년 준설공사 과정에서 발견되어, 경복궁 고궁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청동-용-한마리
고궁박물관 청동 용(龍)

경화루 연못에서 나온 청룡 한 마리

 

경회루와-대궐
경회루와 대귈 사잇길
교태전과-자경전사이-복원해놓은-공간
경복궁 교태전 원지문 밖
자경전-01
자경전-02
대비의 침전 자경전

고종의 양모인 신정왕후를 위해 지은 전각으로, 자경전 뒤뜰에는 십장생굴뚝이 있습니다.

 

경복궁-소주방
소주방 일원

소주방이란 음식을 만들기 위해 불을 쓰는 방이라는 뜻을 지닌 임금과 왕족의 식사를 만드는 주방입니다.

 

경복궁-생물방과-수라간
(좌)다과를 만들던 생과방 과 (우)음식을 만드는 수라간

 

아미산굴뚝
아마산정원 과 굴뚝

 

교태전 뒤편에 계단식 화단을 쌓아 아미산을 조성하여 꾸며놓은, 아미산정원은 뒷산인 북악의 정기를 침전까지 이어주며, 왕비의 후원답게 은밀하면서도 기품 있게 꾸며져, 아미산정원은 신선이 사는 자연의 세계가 아미산정원입니다. 아미산 굴뚝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으로, 1985년 1월 8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81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자경전의 십장생 굴뚝은 보물 제81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경복궁-교태전-01
경복궁-교태전-02
왕비의 공간 교태전

안채에 해당하는 교태전은 왕비가 거주하면서 궁안 생활을 총지휘하던 전각

 

경복궁-깅령전-01
경복궁-깅령전-02
궁궐의 사랑채영역 강령전

강녕전은 임금이 독서와 휴식, 신하들과의 면담을 하던 전각으로 사랑채영역

 

경복궁-향오문
강령전으로 들어가는 문 향오문
경복궁-사정전
사정전

임금이 고위직 신하들과 정사를 나누던 정전

 

사정전으로-들어가는문-01
사정전으로-들어가는문-02
사정문

경복궁의 정전 뒤로 사정 전으로 들어가는 문

 

 

경복궁-근정전-01
경복궁-근정전-02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
경복궁-근정전-03
경복궁-근정전-04
경복궁의 정전 근정전앞 근정문

 

경복궁-근정문
정전으로 들어가는 근정문
경복궁-흥례문-01
경복궁-흥례문-02
경복궁 흥례문
광화문앞-해치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과 해치

 

새해 첫 주말 겨울날씨답지 않게 여행하기 좋은 날씨를 보이고 있습니다. 내국인과 외국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조선의 5대 궁궐(경복궁, 창경궁, 창덕궁, 덕수궁, 경희궁) 여행을 추천해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