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코스 둘레길 순례길
북한산 국립공원
3월 들어 북한산 국립공원 둘레길 2코스 호국 영령들이 잠들어 계신 애국선열 순레 길에서 4.19 민주묘지까지 둘레길을 걸어본다.
우이신설 경전철 솔밭 근린공원 ①번 출구에서 약 300여 m 가면 나오는 솔밭 근린공원에서 둘레길 산행을 시작.
솔밭 근린공원은 울창한 노송 숲으로 이루어진 근린공원.
솔받근린공원에서 보광사 오름길로 약 600m 정도 올라가면 나오는 북한산 2코스 순례길 구간
능선에 오르면 평탄한 숲길 따라~~!!
북한산 둘레길 국립 4.19 민주묘지 전망대
4.19 국립민주묘지
날씨는 제법 쌀쌀하지만 산행하기 좋은 봄날
미세먼지가 없어 오봉에서 능선 따라 삼각산 주봉까지 육안에 들어온다.
보광사에 오르면 보광사 통제소에서부터는 내리막길이 이어진다.
보광사를 지나 내리막길에 있는 강재 신숙 선생은 당시 한국군 참모장으로 무장투쟁을 한 독립투사
북한산 백련사 방향 길에 있는 독립투사 묘소
백련사 탐방길에서 무장애 탐방로 따라 섶다리를 지나 올라간다.
북한산 무장애 탐방로
애국지사 초대길로 올라간다.
애국지사 초대길
육형재 가족은 전재산을 정리 40만 원 가지고 (현재가치 2조 원) 모두 중국 유하현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였다. 육형주 중 다섯 형제는 중국에서 옥사, 병사하셨으며, 육 형 가족 중 다섯째인 이시영 선생만 홀로 김구 선생과 함께 귀국하여, 해방 후 초대 부통령을 지냈다. 위대한 육 형제 가족 그들은 진정한 우리나라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위대한 독립운동가이다.
이시영 선생 옆에 잠들어 있는 중국 만주에서 무장투쟁을 한 독립군 17위가 모셔져 있는 애국선열 독립군 합동묘소
무장애 탐방로에서 북한산 대동문 가는 산행길로 올라간다.
약 200여 m 대동문 방향으로 올라가면, 산행로에 있는 초대 대법원장을 지낸 애국선열 가인 김병로 선생의 묘소
김병로 선생 묘소 위로 진달래 능선 올라가는 길목에 초대길 계곡 다리를 건너간다.
자랑스러운 헤이그 밀사 이준 열사의 묘역
고종황제의 마지막 희망이었던 이준 열사
이준 열사 묘소 가는 길
이준 열사 묘소 입구가 2코스 순례길의 끝자락 코스 완주 인증 포인트기 있다. 애국선열 묘역 중 유일하게 이준 열사 묘역 초입에는 예를 갖추라는 의미의 홍살문이 있다.
2코스 순례길에는 14분의 애국지사와 함께, 2, 3코스 주변에는 많은 분들의 애국선열의 묘소가 있다.
순례길 구간 입구에서 길 건너 통일부 교육원 옆으로 3코스 흰구름길이 시작되며, 이정표 위로는 북한산 아카데미 탐방길 이 나온다.
2~3코스 탐방길에는 근현대사 기념관이 있다. 오늘은 시간이 없어 패스
현 근대사 기념관에서 백련사 탐방 지킴 둘레길 따라 민주 성역 4.19 묘지 가는 길 따라 내려간다.
국립 4.19 묘지
성역화사업으로 1995년 4.19 묘지를 국립묘지로 승격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서 깊은 민주묘지
4.19 혁명 때 희생된 290명의 영령이 잠들어 있는 4.19 민주묘지
1963에 건립된 4.19 민주묘지 정의의 불꽃
우이 신선 경전철 솔밭 근린공원 ①번 출구에서~ 술 밭 근린공원 숲길~ 북한산 둘레길 2코스 순례길~ 민주묘지 전망대~ 보광사~ 애국선열 묘역 길 따라~ 이준 열사 묘소까지의 순례길은 약 3.5km 정도로 왕초보도 가능한 굴곡이 거의 없는 순탄한 둘레길 산행~ 2코스 순례길 입구에서~ 북한산 벽련사 지킴터를 지나~ 4.19 민주 묘소 입구까지는 약 2.0km, 총 5.5km의 가벼운 둘레길 코스
'여행&둘레길 > 북한산 국립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둘레길 7구간길 탕춘대성 암문 (56) | 2023.03.01 |
---|---|
삼각산 천년고찰 삼천사 (44) | 2023.02.25 |
우이동계곡 단풍숲길따라 도선사 (59) | 2021.11.09 |
북한산 둘레길 12구간 충의길 (56) | 2021.08.22 |
북한산 둘레길 11구간 효자길 (4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