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함 典.函 깨달음을 담다 특별전
글자료/ 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 M1전시실
2024.01.08일
불교신앙의 예술적 걸작품이라 할 수 있는 금니사경과 나전경함은 고려시대 최고위층이 발원한 금니사경 묘법연화경 전권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1-7)과 경전을 보관했던 고려 나전경함(螺鈿菊唐草文經函經函)등, 두유물이 깨달음을 향한 염원을 담아 선보이는 특별전을 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 M1-2층 전시실에서 만나봅니다.
![리운미술관-전.함-특전전-썸네일](https://blog.kakaocdn.net/dn/76qzi/btsLIcmJW7A/Vqf7KPEKI49JkiKzlhW1h0/img.jpg)
전. 함(典.函) 깨달음을 담다. 전(展)은 고려시대 불교 경전을 붓으로 직접 필사(筆寫)한 사경(寫經)과 경전(經典)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상자인 경함(經函)중에서 현존하는 최고의 걸작인 두 작품을 집중 조면하는 특별전시입니다.
![깨달음을-담다-특별전-소개](https://blog.kakaocdn.net/dn/craL5H/btsLHmQ9P5d/q5qwTkll2b35ZXz7eJiCtK/img.jpg)
![불교경전-7권](https://blog.kakaocdn.net/dn/myLeK/btsLHnJdYgB/ESd3fky9zs3xE6tXtBYbh1/img.jpg)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 1-7권
(紺紙金泥妙法蓮華經 卷1-7)
고려, 1345년. 감지금니, 각 323 × 11.5cm
이 시경은 1345년에 진한국대부인 김 씨(辰韓國大夫人 金氏)가 충혜왕(忠惠王)의 영가천도를 기원하는 동시에 충목왕(忠穆王)과 그의 모후이자 원 황실 출신인 덕녕공주(德寧公主)를 축원하고자 조성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고려후기 최고위층 여성 재가신도가 분명한 동기와 공덕으로 발원한 사경이란 점에서 중요하며, 막대한 재원과 당대 최고 사경 제작 장인들이 투입되어 완성한 고려 사경의 최고 걸작이라고 합니다.
![경전-제7권-01](https://blog.kakaocdn.net/dn/bg5UPp/btsLIjMFgf8/4ny2vJmv8Obd0GKxnp2XXK/img.jpg)
![경전-제7권-02](https://blog.kakaocdn.net/dn/bF1E68/btsLIAm4Q8G/WitkAVt0XhUn6DkK3F7FYK/img.jpg)
펼쳐놓은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7권
![펼쳐놓은-경전-01](https://blog.kakaocdn.net/dn/d8IzBx/btsLIyCNorv/aFZTbpIcl1BoiKWcxLJzv1/img.jpg)
![펼쳐놓은-경전-02](https://blog.kakaocdn.net/dn/qIpNZ/btsLG5uR1sU/7P7rGELj6LtKZvKML1Cjq1/img.jpg)
![펼쳐놓은-경전-03](https://blog.kakaocdn.net/dn/bi32aN/btsLGlkFTNH/h4Pg3SrKiGcqKglmQm51P0/img.jpg)
펼쳐놓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는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경전-제6권-01](https://blog.kakaocdn.net/dn/Sa4PV/btsLILBUEwQ/fTxkQxi7kAcw45fc2wiU3k/img.jpg)
![경전-제6권-02](https://blog.kakaocdn.net/dn/vHrEk/btsLG5VXK7y/WaAXCkDE6A0fI7hQ0wXxhK/img.jpg)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6권
![](https://blog.kakaocdn.net/dn/bhxQxV/btsLIa3ifAX/yobTg0trANT4cyDLZHIlx0/img.jpg)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5권
![경전-제4권-01](https://blog.kakaocdn.net/dn/bbbILD/btsLHyRjxRF/F4zxkIDA995Yj4ZpLW30JK/img.jpg)
![경전-제4권-02](https://blog.kakaocdn.net/dn/KdVYE/btsLGhvPNgk/wdmkrcFJyKuGT2hAreGop0/img.jpg)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4권
![경전-제1권-01](https://blog.kakaocdn.net/dn/pKwTm/btsLINT1fr4/GhYCFvJ1kCrmAguZEEZcrK/img.jpg)
![경전-제1권-02](https://blog.kakaocdn.net/dn/cOEFmT/btsLHwTky3y/nRDKROakg4NXrL94CuEmg1/img.jpg)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1권
![경전-제2권](https://blog.kakaocdn.net/dn/nFLNS/btsLIBffQES/Iq0yYIupR2O82inHTKsmC1/img.jpg)
경전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제2권
![금니-경전-제-3권-01](https://blog.kakaocdn.net/dn/dcv79w/btsLHCMWNlY/by7YoT2nKewZPXkT89Dl30/img.jpg)
![금니-경전-제-3권-02](https://blog.kakaocdn.net/dn/bOHvcM/btsLHTgDOts/k5M1j7mE1P6yBHMCiFsv50/img.jpg)
경전 묘법연화경 제3권
![경함-01](https://blog.kakaocdn.net/dn/bd3ltk/btsLIyivmcq/w3Y3dbADQPPUkBwelauQhK/img.jpg)
![경함-02](https://blog.kakaocdn.net/dn/YQB9C/btsLHrdrO1U/shbLDiMAJ9k4aOKFzvghg1/img.jpg)
나전국당초문 경함
(螺鈿菊唐草文經函)
고려, 13세기, 나무에 나전, 황동
높이 25.6cm, 너비 47.3cm, 깊이 25.0cm,
개인소장
작품의 규모와 완성도를 통해 1272년 고려 조정에서 원나라 황후의 요구로 대장경 보관용 함을 만들기 위해 설치한 특별 관청인 전함조성도감(鈿函造成都監)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함으로, 수만 개가 넘는 나전 조각을 세밀하게 이어 붙인 후 수없이 반복되는 옻칠을 통해 요철이 없는 표면의 매끈함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함으로, 세밀함의 극치로 잘 알려진 고려시대 공예미의 진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고려나전의 대표작이라고 합니다.
고려시대 불교 경전을 붓으로 직접 필사(筆寫)한 사경(寫經)과 전 7권 경전(經典)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상자인 경함(經函)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이태원 삼성리움미술관
교통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 ①번출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여행&둘레길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움 M1상설전시 고미술 (22) | 2025.01.14 |
---|---|
남산전망 좋은 이태원 부군당 역사공원 (26) | 2025.01.11 |
호국의길 장충단공원 장충단터 (23) | 2025.01.09 |
일곱후궁의 사당 칠궁 (26) | 2025.01.06 |
조선의상징 법궁 경복궁 (3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