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 공예관 금속공예 전시실
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2025.01.16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동 3F 금속공예관은 삼국시대~ 조선시대까지 제작된 한국의 금속공예작품을 감상하고, 금속공예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은 공간입니다. 금속공예전시실에서 전시 중인 일부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금속공예-썸네일](https://blog.kakaocdn.net/dn/blnYSP/btsLSKXMnWa/JOrkqxGuJ82ExgqVRKPH6K/img.jpg)
![국가유산-금속공예작품-전시실-01](https://blog.kakaocdn.net/dn/ecJn9L/btsLScU5Zs1/fweS8sv2VSTlMwHGzbQXK0/img.jpg)
금속 공예전시실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제작된 공예품을 금, 은, 청동, 철 등 금속 재료로 구분해 시대별로 비교해 볼 수 있게 전시하고 있습니다. 금속으로 제작된 다양한 불교공예품과 대표적 금속공예 장식 기법인 입사(入絲) 기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조선-이성계발원-사리장엄구](https://blog.kakaocdn.net/dn/b1uRPF/btsLSP5VXWl/nKC3kqGMBfHPVKSsu90Qg1/img.jpg)
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
태주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에 부인 강 씨, 승려 월암 등과 함께 발원해 금강산 비로봉에 봉안한 사리엄장으로, 백자 발 4점과 백자 향로, 청동 발, 은제 도금 사리기 2점과 유리제 사리기, 은제 귀이개로 구성된 사리엄장구입니다.
![청동으로-제작한-거울](https://blog.kakaocdn.net/dn/WWtD4/btsLSPx4LpK/55pAKzhX9rSwxq63feKHlK/img.jpg)
銅鏡(청동거울)
청동거울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제작한 금속공예물로, 청동기 시대부터 거울은 정치 종교적 상징이었습니다.
![삼국시대에-제작한-청동거울](https://blog.kakaocdn.net/dn/GrMaQ/btsLSeyFPJV/biHGKxickHPi1nOxYul0k0/img.jpg)
삼국시대 제작한 사신격자무늬 청동거울과, 고려국조가 새겨진 청동거울
![청동으로-만든-금속공예](https://blog.kakaocdn.net/dn/nPDqO/btsLTISzJfY/CkzWIHNlFSXgZekpZnEnm1/img.jpg)
![은으로-민든-소꿉놀이-도구](https://blog.kakaocdn.net/dn/bWkqS2/btsLSLoPvPi/HLJp6K2SbjXOWMZBVfAYBK/img.jpg)
銀製 玩具
대한제국의 은으로 만든 소꿉도구로 제기를 비롯해 식기와 경대, 뒤주, 화병, 수막새 등을 정교하게 축소하여 만들었습니다. 소꿉 도구에는 음각으로 자두 꽃을 새겼으며, 밑면에는 이왕직미술제작소에서 만든 것을 알 수 있는 美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원빈묘에서-출토된-그릇](https://blog.kakaocdn.net/dn/bFdMqK/btsLSx5ukEw/uDTPNY87JGntUsbPoPWsJ0/img.jpg)
정조의 후궁인 홍국영의 여동생 원빈묘에서 출토된 화장품을 담는 그릇
![은제도금-탁잔](https://blog.kakaocdn.net/dn/caoSLO/btsLTu7ZVrC/oJwKsGdm5wI1ntar761Hv0/img.jpg)
은제도금 탁잔(託盞)
고려 12세기
보물 제1899호
술이나 차를 마시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잔을 놓는 받침인 탁(托)과 액체를 담는 잔(盞)으로 구성되는데, 이 탁잔은 6개의 꽃잎무늬를 새김과 돋을새김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고려시대-가장오래된-종](https://blog.kakaocdn.net/dn/duMGX0/btsLSPY9jH6/FmsdOCltVAyRHMCWkknDEK/img.jpg)
聖居山 天興寺銘銅鍾
고려 1010년
국보 제260호
통일신라 동종을 계승한 가장 오래된 고려 시대 종으로, 정면을 응시하고 보주를 물고 있는 용과 제작 연대를 새긴 위패 모양의 틀은 고려 시대에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이며, 위패 모양의 틀에는 요나라 통화(統和) 28년(1010년) 성거산 천흥사에서 만들었다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동으로-제작한-고배](https://blog.kakaocdn.net/dn/mriEW/btsLT4HQW2b/FpXAkfJDVwWwroEDLF4pI1/img.jpg)
동제 고배(銅製 高杯)
남북국 시대(통일신라)
경주 황복사 터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금빛이 나는 금도금 잔 2점, 은빛 나는 은도금 잔 2점
![신라시대-유리로만든-구슬-유리옥](https://blog.kakaocdn.net/dn/DpM5w/btsLSgW88Ds/83KWXJ9lkkunKbkKifoK0k/img.jpg)
유리옥(瑜璃玉)
남북국 시대(통일신라)
경주 황복사 터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표주박-모형-병](https://blog.kakaocdn.net/dn/cmTbz9/btsLS4Pctrv/f0xXjofJXggHm6GRdht6O1/img.jpg)
표주박 모양 병
銀製鍍金打出표形瓢形甁
표주박 모양의 병은 오대 이후 11세기에 중국 북방 지역에서 유행했으며 고려에서도 제작되었으며, 고려 시대의 표주박 모양 병 가운데 문양과 형태가 가장 아름다운 이 병은 돋을새김 위에 선각으로 세부를 표현하고 무늬 주변의 여백을 어자문(漁子纹)으로 다시 눌러주어 매우 입체적인 작품입니다.
![봉황무늬-향을담는-그릇](https://blog.kakaocdn.net/dn/bAVR5F/btsLTR9HCX5/xVAvgdZMk0PacFAa9FgyL1/img.jpg)
봉황무늬 향그릇
은제도금타출연당초문표형병
銀製鍍金打出蓮唐草文瓢形甁
고려 12-13세기
![삼국시대-금제-주발](https://blog.kakaocdn.net/dn/k03r4/btsLRN16cqe/isE1znoFbNb0bIAHAla15K/img.jpg)
금 제 완(주발)
金 製 盌
삼국시대(신라) 6세기
경남 황남대총에서 출토.
![신라시대-금가공-유물-01](https://blog.kakaocdn.net/dn/oOI4p/btsLSplZbK9/EKJF8ne5nMtGBQuayrmq50/img.jpg)
![신라시대-금가공-유물-02](https://blog.kakaocdn.net/dn/cfuh43/btsLRKECD5k/WFPRlVBO2AbEsKX36h4vpK/img.jpg)
금귀걸이(金製太環耳飾)
국보 제90호
경북 경주 보문동에서 출토
![신라시대-금가공-유물-03](https://blog.kakaocdn.net/dn/dNnztM/btsLSplZbP0/fn4lWZFbIOXnM8Vq07fXkK/img.jpg)
삼국시대 황금의 나라 신라 금제품, 금덩어리, 금박, 금실, 금반지
![철제-은입사-촉대](https://blog.kakaocdn.net/dn/tXXJD/btsLSjGmVyp/ZQWbiXQLLkHsVS8MsVnnck/img.jpg)
철제 은입사 촉대
鐵製銀入絲雙燭臺
조선후기
![금으로-제작한-팔찌](https://blog.kakaocdn.net/dn/NeqGt/btsLS3iwSkj/96cdLlOB6Ky48213YS73b1/img.jpg)
![국가유산-금속공예작품-전시실-02](https://blog.kakaocdn.net/dn/bWgDom/btsLT1EmhWd/xO9btZUQ2UPg9RrTv1eyr1/img.jpg)
![사리탑-역할을-한-공양탑](https://blog.kakaocdn.net/dn/ehMbMS/btsLS5HmPLo/uoRW1NeQPZ3QZgovcs5kzk/img.jpg)
금동다층소탑
金銅多層小塔
고려 전기
불전 안에 두는 사리탑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74.5cm의 금동 공양탑
![통일신라시대-동으로-제작한-사리구](https://blog.kakaocdn.net/dn/bBaoa1/btsLTPYl9Rh/UpqtwhM96afm4aCbkUvjxK/img.jpg)
感恩寺址 東三層石塔 舍利具
남북국시대(통일신라) 682년 경
보물 제1359호
1966년 감은사 동쪽 삼층석탑 해체 수리 과정에서 출토된 사리함으로, 사천왕이 배치된 최초의 사리구
![청곡사-향피우는-완](https://blog.kakaocdn.net/dn/VTZbk/btsLSn3acdh/lg9QlmcknTtFVSPsRonqu0/img.jpg)
靑谷寺 靑銅銀入絲香垸
조선 1379년 진주 청곡사
향을 사르는 향로 중 높은 굽과 넓은 전이 달리 향로를 향완이라 부릅니다. 이 향완이 제작된 진주 청곡사는 태조이성게의 비 신덕왕후의 원찰로, 돌아가신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한 향완입니다.
![청동으로-제작한-정병](https://blog.kakaocdn.net/dn/o03gK/btsLShPmV8W/a4Igh2b2RCvStvVCgLltQ0/img.jpg)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고려 12세기
국보 제92호
0.6mm 굵기의 은실로 버드나무와 갈대, 오리 등 물가풍경을 회화학적으로 표현한 고려시대 대표적인 정병입니다, 정병은 맑은 물을 담아두는 병으로, 불교의식을 할 때 쇄수게(灑水偈)를 행하면서 의식을 인도하는 승려가 솔가지로 감로수를 뿌림으로써 모든 마귀와 번뇌를 물리치도록 할 때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고려시대-청동벙](https://blog.kakaocdn.net/dn/b9JhUm/btsLS7yxFx5/2vZqKURSDhBUuwbcBIHAk0/img.jpg)
靑銅 銀入絲 甁
고려시대
![조선시대-철로-제작한-향로](https://blog.kakaocdn.net/dn/v7Yke/btsLRiuHOYS/Jk1Ki2U2r0rsjJgEv8ZaK0/img.jpg)
향로
鐵製銀入絲香爐
조선 19세기
![조선시대-철로-제작한-화로](https://blog.kakaocdn.net/dn/Gpj4U/btsLRkeXem0/UTCivIL7X0inMfrwBQyAek/img.jpg)
화로
鐵製銀入絲香爐
조선 19세기
![국가유산-금속공예작품-전시실-03](https://blog.kakaocdn.net/dn/cg9hgO/btsLRShXyWJ/ynPAEGslICP4RU8Wy1Opi0/img.jpg)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동 3F 조각. 공예관은 3차원의 조형물을 빚어내는 입체미를 감상할 수 있게 조성해 놓은 공간으로, 불교조각작품, 금속공예품, 도자공예로 나뉘어 700여 점의 국가문화재 명품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으로, 일정기간 전시 후 작품교체 전시하고 있습니다.
'여행&둘레길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을 대표하는 분청사기 백자 (26) | 2025.01.24 |
---|---|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특별전 (39) | 2025.01.23 |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 금동불상 (24) | 2025.01.17 |
리움 M1상설전시 고미술 (22) | 2025.01.14 |
남산전망 좋은 이태원 부군당 역사공원 (26)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