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백자
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아박물관 분청사기. 백자 전시실을 소개해 봅니다, 분청사기 백자실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전시한 공간으로, 분청사기는 "분장회 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는 학술 명칭의 줄임말이며,. 분청사기는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해 16세기 중엽까지 만들어졌으며, 꾸밈없는, 다양한 기법 구사와 함께, 자유롭고 대담한 무늬가 특징입니다.
분청사기(粉靑沙器)와 백자(白磁)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자기입니다. 분청사기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벡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분청사기와는 달리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유약을 발라 1,3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도자기입니다.
상감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발전한 도자기로, 도자기의 표면에 무늬를 새기고 흰색 또는 적갈색의 흙을 넣어 흑백의 선과 면으로 표현하는 상감기법을 활용하여 만든 자기로, 조선 초기에 제작된 상감분청사기에는 형태와 장식아 상감청자와 비슷하고 고려 관청의 이름도 새겨져 있습니다.
고려청자에서 계승한 분청사기. 백자는 그릇의 무늬와 기법이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분청사기가 제작되면서, 고려의 상감청자와 확연히 구분되는 특정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분청사기 상감 인화 용무늬 항아리
粉靑沙器象嵌印花雲龍文壺,
분청사기 상감 인화 운룡문 호
조선 15세기, 국보 제259호
이 분청사기 백자는 조선시대 분청사기가 제작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당당한 부피감과 풍만함이 돋보이는 대형 항아리로, 어깨에는 여의주무늬, 중간에는 용무늬, 아래에는 연꽃잎무늬를 상감하고 인화무늬를 적절히 사용한 수작입니다.
분청사기; 상감 물고기 매병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
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
조선 15세기 전반, 보물 제347호
S자로 날렵하게 빠진 병의 중앙에 물고기를 새긴 매병으로, 물고기 말고도 도자기 전체에 촘촘하게 무늬를 넣었습니다. 매병의 모양은 고려 말의 상감 청자에 가깝지만 무늬 표현에서는 분청사기의 중요한 특징인 흰 흙으로 꾸미는 비중이 점점 늘어 가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는 작품입니다.
조선. 백자항아리
조선 15-16세기
이 백자항아리는 경기도 관요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최고급 백자로, 왕실행사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백자 병
白磁 甁
조선 15-16세기, 보물 제1054
경기 광주 왕실 관요에서 제작한 백자 병으로, 나팔꽃처럼 벌어진 입에서부터 부드럽게 곡선을 이루며 몸통 부분이 불룩하고 안정감 있게 벌어진 술병으로,. "옥호춘(玉壺春"’이라고도 부릅니다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
白磁 象嵌蓮花唐草文大楪
조선 15세기. 국보 제175호
1981년 이홍근 기증품
조선시대 가장 뛰어난 예술품으로 손꼽히는 작품으로, 섬세한 상감기법과 유벡색의 부드러운 질감은 고려 연질백자의 전통은 이은 작품입니다.
용무늬가 있는 분청사기
분청사기 상감 운룡문 항아리
분청사기 상감 인화 구름 용무늬 항아리
粉靑沙器象嵌印花雲龍文壺
조선 15세기, 국보 제259호
조선시대 분청사기가 제작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당당한 부피감과 풍만함이 돋보이는 대형 항아리로, 무늬, 구도, 제작 기법 등에 중국 원나라와 명나라 청화백자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자유분방하고 대담성을 지닌 조선 도자기만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粉靑沙器剝地鐵彩牡丹文扁甁
조선 15세기, 국보 제260호
둥글넓적한 몸체에 목을 쑥 내민 모습이 자라 같다고 하여 자라병이라는 이름이 붙은 병으로, 참신한 무늬와 신선한 색감에서 조선 왕조 초기의 활력과 생동감이 느껴집니다. 병목에 끈을 묶어 가지고 다니면서 술병이나 물병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병입니다.
白磁 靑畵梅鳥竹文 有蓋壺
백자 청화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
조선 15~16세기 작품국보 제170호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매화, 대나무, 새를 그린 청화백자로, 청화백자는 중국청나라의 영향이 컸지만, 점차 조선의 정서와 미감이 담긴 청화백자로 발전해 나갔습니다
백자 철화 포도. 원숭이무늬 항아리
白磁 鐵畵葡萄猿文壺
조선 18세기, 국보 제93호
조선 후기 철화백자 가운데 단연 돋보이는 걸작품으로, 탐스럽게 열린 포도와 포도넝쿨을 잡고 노니는 원숭이를 생동감 있게 표현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철화백자입니다.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무늬 항아리
白磁 鐵畵 梅竹文 壺
국보 제166호
당당한 형태의 몸체에 도화서 화원의 능숙한 필치로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장식한 철화백자 항아리로, 매화는 청화백자의 가장 주요한 장식 소재로서, 대나무와 함께 구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품격 있는 장중한 형태와 뛰어난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16세기의 대표적인 철화 백자입니다
백자 항아리
조선 17세기 후반, 보물 제1437호
지름과 높이가 1:1의 가까운 둥근 항아리로, 좌우 대칭이 살짝 일그러진, 자연스럽고 편안한 미감을 주는 주선 후기 백자의 조형성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백자 항아리는 그 모습이 둥근 보름달을 닮았다고 하여 달항아리라고 부릅니다. 흰색 흙에 맑고 반짝이는 유약을 씌워 구운 도자기로, 자연스럽고 편안한 미감으로 조선 후기 백자 특유의 넉넉한 조형성을 대표하는 백자입니다.
백자 철화 끈무늬 병
白磁 鐵畵垂紐文甁
조선 16세기, 보물 제1060호
1966 서재식 기증
조선 전기 백자 병 특유의 풍만한 양감과 곡선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풍만한 양감과 유려한 곡선이 만들어 낸 조형미가 조선 전기에 제작된 백자 병 특유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병의 잘록한 목을 휘감고 내려오는 끈 한 가닥의 거침없는 모습이 풍류와 멋스러움을 자아내는 작품입니다.
중앙박물관 분청사기 백자실은 조선 도자기 500여 년의 역사적 흐름을 보여주고 분청사기와 백자의 아름다움을 다양한 전시 기법으로 연출해, 현대인에게 예술적 영감의 원천과 휴식의 동반자가 되도록 조성해 놓은 공간입니다.
'여행&둘레길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제국 황실가족 묘역길 (22) | 2025.01.27 |
---|---|
조선 마지막 임금이자 황제의 릉 (23) | 2025.01.26 |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특별전 (39) | 2025.01.23 |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금속공예 (23) | 2025.01.21 |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 금동불상 (24)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