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

조선 마지막 임금이자 황제의 릉

by @산들바람 2025. 1. 26.

사적 제207호 남양주 홍유릉 ①

세계유산 조선 마지막 임금. 황제의 릉(陵)
2025.01.24일

 
조선의 마지막 26대,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초대, 2대 황제의 릉(陵)인 홍유릉을 찾았습니다. 홍유릉은 조선의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황제인 고종과 명성황후의 함장능인 홍릉(洪陵)과, 조선 마지막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2대 황제인 순종과 순명효황후 민 씨와, 순정효황후 윤 씨의 릉(陵)인, 유릉(裕陵)을 소개해봅니다.
 

남양주-홍유릉-썸네일
조선의 마지막임금이자 황제의 능인 홍유름
남양주-홍릉과-유릉-01
남양주-홍릉과-유릉-02

남양주 금곡 홍. 유릉

 

홍유릉-안내도
홍유릉 경내
유릉-재실-01
재실보수중 재실내 출입금지
유릉-재실-02

유릉(裕陵) 재실

 

 

능지기-공간
능을 지키는 사람의 공간인 수복방
순종황제의-비각
대한제국 2대황제 순종황제 비각
정자각(침전)-01
유릉 정자각을 대신한 짐전과 석물
정자각(침전)-02
유릉의 정자각을 대신한 침전

 
능(陵) 아래에는 정자각을 대신하여 침전을 세웠습니다. 기존 조선왕릉은 제향을 지내는 공간인 정자각을 갖추고 있으나,. 대한제국 황제릉은 정자각을 대신해 일자형 침전(寢殿)으로 바꾸고 그 아래 석물을 세웠습니다.
 

유릉의-석물
정자각 양옆 문무인석과 석물

 
기존 왕릉과 달리 유릉은 대한제국 황제의 능이라 정자각(丁字閣)을 대신하여 일자형(一字形)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寢殿)을 세우고, 그 아래 좌우로 문무석인, 상상의 동물인 기린, 코끼리, 사자상 등 석물을 배치하였습니다.
 

유릉-능침
유릉(裕陵)

순종(純宗)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 제27대 마지막 국왕으로, 한국사의 마지막 군주입니다. 조선왕조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純宗)과 순명효황후 민 씨(純明孝皇后閔氏), 순정효황후 윤 씨(純貞孝皇后尹氏)의 능으로, 조선왕릉 중 한 봉우리에 3개의 방을 만든 동봉삼실릉(同封三室陵)은 유릉뿐입니다. 순종은 1926년 4월 25일 대조전(大造殿)에서 53세로 승하해 같은 해 6월 11일 이곳에 안장했습니다.
 

유릉-소나무숲길-01
유릉-소나무숲길-02

유릉 소나무 숲길

 

노거수-벚나무
유릉의 아름다운 능수벚나무
가문비나무
독일 가문비나무
연꽃정원-연지
연지(蓮池)

홍릉과 유릉 사이에 있는 연꽃정원 연지

 

홍릉-제를-준비하는-재실
홍릉 재실
홍살문
홍릉 홍살문
홍릉-침전과-석물-01
홍릉-침전과-석물-02
홍릉의 석물
정자각을-대신한-침전
정자각(丁字閣)을 대신한 일자형(一字形)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寢殿)

 
고종임금은 대한제국을 광무 원년(1897)에 선포함으로, 홍릉은 지금까지의 왕릉과는 달리 명나라 태조 효릉의 왕릉과 조선왕릉의 결합한 12면의 병풍석을 세웠습니다. 능침 아래에는 정자각을 대신하여, 앞면 5칸 옆면 4칸의 침방이 있는, 침전(寢殿)을 세웠으며, 침전아래 문 무석인과 상상의 동물인 기린과, 코끼리, 사자, 낙타 등의 수석을 세워 놓았으며, 문, 무석인은 크고 전통적인 기법으로 조각되었습니다.
 

침전아래서워진-석상-01
홍릉 침전아래 문.무인석과 석물
침전아래서워진-석상-02
침전아래서워진-석상-03

기존 왕릉의 정자각을 대신한 침전아래 세운 문. 무인석과 상상의 동물등 석상

 

배수시설-지당
침전옆 석물뒤편 지당(池塘)

홍릉을 조성할 때 배수를 위해 침전 앞에 지당을 만들어, 강우 시에 빗물이 지당에 고여 연지로 흘러가게 해 놓았습니다.
 

능침옆-홍릉-재실
재실(齋室)
홍릉-합장능-01
홍릉-합장능-02
고종임금과 명성황후 합장능

조선 26대 임금이면서 대한제국의 제1대 황제인 고종과 비운의 황후 명성황후의 묘역으로, 고종은 재위기간 중에 외세의 침략에 대처하지 못하고, 내부에서의 정치적 변화로 인해 임오군란, 갑신정변, 을미사변 등을 겪었습니다. 명성황후는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무참히 살해당한 비운의 황후, 명성황후는 처음에는 청량리 홍릉에 가매장 후 고종승하후 이곳 금곡 홍릉에 합장하였습니다.
 
고종황제는 광무 원년(1897) 대한제국 선포로, 홍릉은 지금까지의 왕릉과는 다르게 명나라 태조 효릉의 능과. 조선왕릉을 결합하여,. 12면의 병풍석을 세우고, 면석에 꽃무늬를 새겼으며, 난간 밖으로 둘레돌과 양석을 세우지 않았습니다. 왕릉 아래에는 정자각 대신에 앞면 5칸 옆면 4칸의 침방이 있는 침전(寢殿)을 세워, 문, 무석인과 살상의 동물 기린, 코끼리, 사자, 낙타 등의 수석을 놓았습니다.
 

 

 

침전-석물옆-밖으로-나가는길
홍릉에서 활실가족묘로 가는길
황실가족묘로-나가는-문-01
황실가족묘로-나가는-문-02
황실 양묘장과 황실가족묘 나가는 작은문

▲홍유름 황실가족묘역

 

홍유릉 담장너머에는 의민 황태자 이은(懿愍 皇太子 李垠)의 묘 영원(英園)과, 황태손 이구(懷慇 皇太孫 李玖)의 묘 회인원 (懷仁園), 고종황제의 외동딸 덕혜옹주묘(德惠翁主墓), 의친왕묘(義親王墓)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과 왕비 의친왕비 김 씨의 묘, 그리고 황실 후궁의 묘역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