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1818

조선을 대표하는 분청사기 백자 분청사기 백자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아박물관 분청사기. 백자 전시실을 소개해 봅니다, 분청사기 백자실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전시한 공간으로, 분청사기는 "분장회 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는 학술 명칭의 줄임말이며,. 분청사기는 고려 말 상감청자에서 유래해 16세기 중엽까지 만들어졌으며, 꾸밈없는, 다양한 기법 구사와 함께, 자유롭고 대담한 무늬가 특징입니다. 분청사기(粉靑沙器)와 백자(白磁)는 조선을 대표하는 도자기입니다. 분청사기는 회청색 흙으로 만든 그릇에 벡토를 입힌 뒤 여러 기법으로 장식한 도자기로, 분청사기와는 달리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그릇을 만든 후 유약을 발라 1,3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도자기입니다.   상감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에서 발전한 도자기로, 도자기의.. 2025. 1. 24.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특별전 고려상형청자 특별전시글자료출처/국립중앙박물관2025.01.21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Ⅱ실에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아름답고 찬란한 푸른빛 고려상형청자, 사자모양 향로, 청자 어룡모양 주자 등 300여 건의 상형청자를 만나봅니다. 고려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해 보는 전시로, 천여 년 전, 고려청자는 고려인이 이루어낸 수준 높은 최첨단 기술과 독자적 미감의 산물로, 동. 식물, 인물 등의 특정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는 고려청자의 수준 높은 기술과 미감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靑磁 魚龍形 注子고려 12세기 작품 국보 제91호 상상 속의 동물인 용(龍)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푸른빛 청자에 담은 작품으로, 용(龍), 어룡(漁龍). 귀룡.. 2025. 1. 23.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금속공예 조각 공예관 금속공예 전시실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01.16일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동 3F 금속공예관은 삼국시대~ 조선시대까지 제작된 한국의 금속공예작품을 감상하고, 금속공예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 놓은 공간입니다. 금속공예전시실에서 전시 중인 일부 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금속 공예전시실에서는 여러 시대에 걸쳐 제작된 공예품을 금, 은, 청동, 철 등 금속 재료로 구분해 시대별로 비교해 볼 수 있게 전시하고 있습니다. 금속으로 제작된 다양한 불교공예품과 대표적 금속공예 장식 기법인 입사(入絲) 기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을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태주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에 부인 강 씨, 승려 월암 등과 함께 발원해 금강산 비로봉에 봉안한 사리엄장으로,.. 2025. 1. 21.
사찰여행 수락산 천년고찰 흥국사 수락산 덕절 흥국사興國寺삼국시대 신라 원광법사가 창건한 천년고찰2025.01.17일 삼국시대 신라 599년(진평왕 21)에 원광법사가 수락사(水落寺)라는 절을 창건 후, 1568년(선조 1년)에 선조는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한 사찰로, 원당(願堂)때문에 덕절로 불리었으며, 1626년(인조 4년)에 흥국사(興國寺)로 개명 현재에 이르고 있는 천년고찰입니다. 지하철 4호선 불암산(옛 당고개역) 역에서 10-5번 버스카고 5분 거리에 있는 덕릉마을입구 남양주 덕릉마을 입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 언덕 위에 자리한 흥국사일주문   興國寺大房경기문화재자료 제56호 흥국사 대방에 걸려있는 흥국사(興國寺) 편액은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 2025. 1. 20.
겨울추천여행 서울식물원 온실 도심 속 생태원 온실서울식물원 온실2025.01.15일 겨울여행지로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있는 서울식물원을 소개해봅니다. 서울식물원은 축구장의 약 70배 크기인, 50만 4000㎡에 달하는 도심 속 생태원으로, 연중 산책하기 좋은 열린 숲과, 야외정원 인 주제정원과 온실로 나뉘어 있습니다. 서울식물원의 열린 숲, 호수원, 습지원은 무료이나, 주제원(주제정원과 온실)은 유료공간입니다. 서울식물원 온실은 지중해와 열대기후 환경을 바탕으로 독특한 식물문화를 발전시킨 세계 12개 도시 정원의 사계(四季) 식물을 전시하고 있는 공간으로, 온실내부 공간은 아파트 8층 높이인 최고 28m로, 세계 유일의 접시형 구조로 되어있는 온실입니다. 서울식물원 열대관에서는 베트남 하노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남아메리카 브라.. 2025. 1. 18.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 불교조각 금동불상 불교조각 금동불상 작품글자료/국립중앙박물관2025.01.16일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습니다. 상설전시동 3F불교조각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의 작은 금동불상작품을 소개해 봅니다.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불교조각의 흐름 고구려시대 소수림왕 2년(372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중국의 전진으로부터 경전과 함께 불상이 전해지기 시작했습니다. 正德十年 銘 石造 地藏菩薩 坐像조선 1515년보물 제1327호 지장보살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위하여 깨달음을 미룬 보살로, 다른 보살상과 달리 민머리거나 두건을 쓴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바위 모양 대좌 뒤 명문을 통해 정덕 10년(1515년) 3월 김손순 부부 등의 시주로 절학을 비롯한 승려가 조각했음을 알 수 있는 작품입니다.   金銅 藥.. 2025. 1. 17.
열대 난초 전시 서울식물원 온실 향기 그윽한 오늘 난蘭 전시서울식물원 열대관2025.01.15일 강서 마곡 서울식물원 열대관에서 지난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오늘 난(蘭)이라는 주제로, 열대 난초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태국의 희귀난초 반다, 카틀레야, 온시디움, 덴드로비움, 팔레놉시스, 파피오페딜룸 등 다양한  "전 세계 다양한 난초 60여 종과 희귀란(蘭)을 만나볼 수가 있습니다. 서울식물원 온실 열대관에서 만나볼 수 있는 난초 중에는, 지구상에서 가장 아름다우며 화려하다는 "반다(Vanda)"는 국내에서는 만나보기 힘든 난초로, 이번 특별전시 기간 중 반다(Vanda) 28 품종(種)과, 희귀 난초 16 품종 600여 개체를 도입하여  전시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다양한 색상의 호접란   아름답고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는 Van.. 2025. 1. 16.
리움 M1상설전시 고미술 Leeum M1 고미술이태원 삼성 리움미술관글자료/리움미술관 M1.2025.01.10일 이태원 삼성미술관의 M1. 전시관을 찾았습니다. 리움 M1. 고미술전시는 엘리베이터 타고 4층으로 올라가 4층부터 관람을 시작하는데, 4층 전시실에서는 『푸른빛 문양 한 점』을, 3층 전시실에서는 『흰빛의 여정』을, 2층전시실에서는 『감상과 취향』을, 1층전시실에서 는『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라는 주제로 고미술 120여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삼성미술관 리움 주제: 푸른빛 문양 한점M1.전시실 4층청자의 은은하고 신비로운 푸른빛을 감상해봅니다. 靑磁 象嵌雲鶴牡丹菊花文 梅甁보물 제558호고려 13세기 작품 靑磁有蓋注子고려 12세기 靑磁象嵌發願文銘骨壺고려 12세기점토(粘土) 죽은 사람의 뼈를 담던 뼈항.. 2025. 1. 14.
2025 인사동 궁중무용 춘앵전 공연 孝의 궁중무용 춘앵전 프로젝트인사동 남인사마당 상설 온누리 공연2024.01.11일 종로 인사동 남인사마당에서 2025` 궁중무용 상설공연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번 공연은 "2025년 궁중무용 상설공연 '孝'의 궁중무용 춘앵전(春鶯囀 ) 프로젝트"로 지난주에 이어 매주 토요일 계획되어 있는 공연행사입니다. "孝"의 궁중무용 춘앵전(春鶯囀)은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순조 때 세자대리 익종(翼宗)이 어느 화창한 봄날 아침 버드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며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에 감동, 이를 무용화한 것으로 지금까지도 전승되어 오는 궁중무용 춤입니다  2025.01/11일(토)남인사마당 상설 온누리 공연순서1.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학무2. 궁중정재의 꽃 춘앵전3. 국가 무형문화재 제.. 2025.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