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5 찰피나무 찰피나무 [염주보리수][설악보리수][금강피나무] 2018.06.23일 피나무과에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열매는 염주를 만드는데 쓰인다. 찰피나무 찰피나무 찰피나무 영 문: Manchurian Linden 이 명: [염주보리수][설악보리수][금강피나무] 학 명: Tilia manshurica Rupr. & Maxim. 분 류: 피나무과 (Tiliaceae) 형 태: 낙엽활엽관목 원산지: 한국 분 포: 중국,러시아 서 식: 전국산지 개화기: 5~7월에 담황색으로 7~20여개의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크 기: 10m 활 용: 목재는 가구재로 쓰이고,나무껍질은 섬유자원이며, 꽃은 꿀벌에게 꿀을제공한다. 유사종: 염주나무[Tilia manshurica Nakai] 2018. 6. 25. 쇠채아재비 쇠채아재비 [꽃말: 영원한 행복] 2016.06.09일 유럽 등지에 귀화되었다. 쇠채아재비 쇠채아재비 학 명: Tragopogon dubius Scop. 분 류: 국화과 (Compositae) 형 태: 두해살이풀이다. 원산지: 북아메리카,아프리카,서아시아,남아메리카 분 포: 아메리카, 아프리카, 서아시아 개화기: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핀다 크 기: 높이 30-100㎝이 유사종: 쇠채 Scorzonera albicaulis Bunge 멱쇠채 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Rupr.) Lipsch. &Krasch. ex Lipsch. 2018. 6. 16. 분홍색겹꽃 풀또기 풀또기 2018.04.08일 장미과(薔薇科)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풀또기 풀또기 풀또기 풀또기 학 명: Prunus triloba var. truncata kom 분 류: 장미과(薔薇科 Rosaceae) 형 태: 낙엽 활엽 관목 원산지: 한국 분 포: 중국에도 분포 서 식: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개화기: 4~5월에 잎이 나기 전에 분홍색의 겹꽃이 나무 가득 핀다. 크 기: 높이 1∼3m 열 매: 핵과(核果)로 8월에 빨간색으로 익는다. 유사종: 만첩풀또기 [Prunus triloba var.petzoldii] 2018. 6. 11. 홍매 紅梅 홍매[紅梅] [홍옥매] 2018.04.08일 장미과(Rosaceae)에 속한 낙엽활엽교목으로 적색꽃이 겹으로피는 매화 홍매[紅梅] 홍매[紅梅] 홍매[紅梅] 이 명: [홍옥매] 학 명: Prunus glandulossa f. sinsnsis (Pers) Koehne 분 류: 장미과(Rosaceae) 형 태: 낙엽활엽교목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 서 식: 원예품종으로 개량된 식물 개화기: 4~5월에 양성꽃으로 잎과같이피며 적색으로 만첩이고 꽃자루길이 1cm정도로 잔털이있다. 크 기: 수고 1.5m 정도 유사종: 만첩홍매실[Prunus mume f. aiphandi (Carr) Rehder 옥매[for.aiphandi] 2018. 6. 11. 미선나무 미선나무 [꽃말:선녀] 2018.04.01일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보호,희귀식물] 양지바른곳에 활짝핀 미선나무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충북 괴산군 송덕리, 진천군 용정리의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 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전북지역 변산반도에서도 자란다. 꽃부리가 4갈래로 갈라지고 생김새는 개나리와 비슷하며 향기나는 흰꽃이 피어 영어로는 'White Forsythia' 둥그런 열매가 마치 부채처럼 생겼다고해서 미선(美扇 또는 尾扇)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영 문: White Forsythia, Miseonnamu 학 명: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분 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형 태: 낙엽활엽관목 원산지: 한국 분 포: 한반도 고유종으로, 충북, 전북지.. 2018. 6. 10. 히어리 히어리 [조선납판화][송광납판화] [꽃말: 봄의 노래] 세계적으로 약 30여종이 있으며, 일본과 히말리아에 몇종이있고, 우리나라에는 한종 만 자라고있다. 지리산일대에서 처음발견되어, 학명에 ‘coreana’란 종명을 붙인 특산식물로, 개체수가 적어 멸종 위기에 처해 1998년 환경부 야생동식물 2급 보호종으로 지정 관리하고있다. 히어리라는 이름은 순수 우리말로, 발견당시 이 지역에서는 귀한나무가 아니라 십오리마다 흔하게 볼수있다는데서 사투리로 히어리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1924년 일본학자 우에키 호미키 박사가 송광사 근처에서 처음 발견하여, 꽃잎이 벌집의 밀랍처럼 생겼다 해 '송광납판화(松廣蠟瓣花)'로 불렸으나 1996년 이창복 박사가 원산지인 순천지역 방언에 따라 '히어리'라 바꿔 학계에 발표하면서.. 2018. 6. 10. 흰진달래 흰진달래 [흰진달내] 2018.04.01일 흰진달래는 진달래과에속하는 낙엽활엽성관목으로, 진달래의 변이종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 1997년 지정관리하고있다. 희귀및 멸종위기 식물 흰진달래 영 문: White-flower Korean rhododendron 이 명: {흰진달내] 학 명: Rhododendron mucronulatum f. albiflorum (Nakai) Okuyama 분 류: 진달래과 (Ericaceae) 형 태: 낙엽활엽성관목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중국 개화기: 4-5월에 가지끝에서 백색꽃이 잎보다 먼저핀다. 크 기: 2~3m 유사종: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반들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 2018. 6. 10. 매자나뭇과 뿔남천 뿔남천 [개남천][천독자(天燭子][남죽자(南竹子][홍구자(紅枸子] 2018.04.08일 매자나뭇과에 속한 상록활엽관목 뿔남천 뿔남천 뿔남천 뿔남천 이 명: [개남천][천독자(天燭子][남죽자(南竹子][홍구자(紅枸子] 학 명: Mahonia japonica(Thunb)DC. 분 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형 태: 상록활엽관목 원산지: 중국과 타이완 개화기: 3~4월에 붉은색의 꽃이 총상(總狀) 꽃차례로 달린다. 크 기: 높이 1∼3m 수 피: 나무껍질은 코르크질 활 용: 잎은 십대공로엽(十大功勞葉), 근(根)은 자황련(姿黃蓮),줄기는 공로목(功勞木) 과실은 공로자(功勞子)라하며 약용한다. 생약명: 남천실(南天實) 유사종: 중국남천 [Mahonia fortunei] 2018. 6. 8. 대표적 봄철나물 두릅 두릅나무 [꽃말 : 애절, 희생] [드릅나무] [둥근잎두릅] [둥근잎두릅나무] 2018.04.10일 두릅나무과에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두릅이란 두릅나무의 새 순을 일컫는말로 목말채, 모두채라고도 하며, 식욕을 북돋우는 대표적인 봄철 나물, 특유의 향취와 아삭거림으로 애호가들을, 학수고대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봄나물 두릅 올해는 이상기온으로해서인가 예년같으면 새순이 제법 많이올라 채취를 할수있었는데 올해는 아직도 채취하려면 멀은것 같네요 이제막 피어오르는 두릅 새순 채취 하려면 아직 멀은듯 두릅 순 채취하기 아직도이른 두릅 두릅나무 영 문: Japanese Angelica 이 명:[드릅나무] [둥근잎두릅] [둥근잎두릅나무] 학 명: Aralia elata (Miq.) Seem. 분 류: 두릅나무과 Aral.. 2018. 6. 8.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