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생태계 자연환경384 생태교란식물 서양등골나물 국화과에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로, 북아메리카 원산인 귀화식물. 1978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새하얀 꽃은 아름다운 꽃이기는하나, 번식력이강해 생태계를 자생식물을 위협하는 환경위해종으로 분류됐다. 아름다운 새하얀 꽃송이 1999년 환경부 생태교란식물로지정된 유해외래종(귀화식물) 8∼10월에 새하얀 꽃을 피운다 서울을 중심으로 중부지방에 널리퍼져 있다. 그늘진곳 에서도 잘자라는 식물 2018. 9. 28. 고약한냄새를 풍기는 누리장나무 마편초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잎 뒤에있는 희미한 선점(腺點)들 때문에 고약한냄새가 나는데, 고약한냄새때문에 취오동(臭梧桐)이라고도 부르기도하며, 냄새 성분은 휘발성이 강하여 금방 날아가 버린다. 7월~8월에피는 누리장나무꽃 잎에서 고약한냄새를 풍기는누리장나무 7~8월의 활짝핀 누리장나무꽃 9~10월 익어가는 누리장나무 열매 고약한 냄새를 풍기기는해도 아름답기만한 열매 계곡을 뒤덮은 누리장나무 2018. 9. 25. 산형과식물 구릿대 산형과에속한 두해살이또는 3년초로, 뿌리를 백지(白芷)라 하며, 진통제·지혈제로 이용한다. 구린내 나는 대나무비슷한 식물이라하여 구릿대라고 한다. 꽃대 끝에서 다시 부챗살 모양으로 갈라져(복산형화서) 꽃이핀다. 2018. 9. 17. 소금처럼 짠맛을내는 붉나무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가을에 잎이 붉은빛으로 물드는데서 불나무, 뿔나무, 오배자나무등으로도 불린다. 열매애 소금처럼 짠맛이나는가루가 생겨 염부목(鹽膚木)이라고 한다. 익어가는 붉나무 열매 잎에 울퉁불퉁하게생긴 벌레주머니가생겨 그속에 벌레가들어있는데 이것을 오배자(五倍子),염부자(鹽膚子)라하여 염료나 약용한다. 옛날에는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산속에살던 사람들은 붉나무열매를 물에넣어 주물러 그물을 소금대신쓰거나, 간수대신 두부를 만드는데 쓰기도하였다. 붉나무는 옛부터 경사스러운 일에는 쓰지 않는것으로 알려져있는데, 그 이유는 복숭아나무처럼 귀신을내쫓는 효험이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2018. 9. 16. 물봉선 유독식물 한해살이풀로 관화식물로, 유독식물이며, 습지에서 잘자란다. 봉선화(鳳仙花)라는 꽃은 머리와날개 그리고, 꼬리와발이 우뚝서있는 봉황새의 형상과 닮아 유래된것이며, 물봉선화는 생육특성상 습지, 물가에서 잘자라기 때문에 불봉선화라 부른다. 2018. 9. 15. 특산식물 금강초롱꽃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며, 가을초입 1,000고지이상 높은산능선, 산행길에 암석틈에서 청보라색 꽃들이 고개를 숙인채 환한웃음을 선사하고있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꽃모양이 청사초롱처럼 생겨 붙여진이름 으로, 2010년 서울에서 열렸던 G20정상회의의 로고로쓰였던 꽃.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고산식물로 전세계 2종이있는데 모두 한국에서만 자생한다. 경기도및 강원도지역에 30여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풍부하다. 지역에따라 색 변이가 심하다고 한다. 금강초롱은 다른나라에는 없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꽃이 매우 아름다우며, 귀한식물. 청사초롱 닮은 금강초롱꽃 2018. 9. 13. 감나무 枾樹 감나무 2018.09.12일 감나무과에속한 낙엽 활엽 교목으로, 경기 이남에서,과수용으로 많이 심하며, 가을에 감이 주렁주렁 달려 빨갛게 익은모습은 옛시절 향수를 느끼게한다. 성장속도는 보통이며 접목묘는 4-6년생일때부터 수확할수있다. 감을 한자어 로 시수(枾樹)라 한다. 감나무재배의 역사는 고려시대인 1138년에 ‘고욤’에대한 기록이있으며, 1470년에도 건시· 수정시(水正枾)에 대한 기록이있다. 조선시대 초기의 진상물에 감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에 재배된것으로 보인다. 2018. 9. 12. 산딸나무 열매 산딸나무 [꽃말: 견고] 2018.09.11일 층층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열매는 둥글고붉은 산딸기모양을 하고있어 산의 딸기나무, 산딸나무라 불리게 되었으며, 날것으로 먹을수있다. 나무껍질에는 키니네성분이 있어 방부제, 해열제, 강장제로 쓰인다. 산딸나무 열매 산딸나무꽃차는 싱그러운 향이나, 5월에 채취하여 끓는물에 꽃송이 3∼4개를 넣고 1분정도우려내 차로마신다. 2018. 9. 11. 아열대성 귀화식물 둥근잎유홍초 메꽃과속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유홍초(留紅草)와 비슷하지만 잎이 갈라지지 않기때문에 둥근잎유홍초라 부르며, 아열대성 귀화식물이다. 유홍초는 엽액에서 긴 화경이나와 그끝에 1개의 꽃이 달리나, 둥근잎유홍초는 3-5개의꽃이 달린다. 아열대성 귀화식물인 둥근잎유홍초 2018. 9. 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