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7/1057

마니산 참성단소사나무 마니산참성단(塹星壇) 소사나무 2013.02.10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문산리 산 55 [참성단 내] 마니산(摩尼山) 강화도에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고려산, 혈구산, 진강산, 마니산 등 4개 산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솟아 있는데 그중 제일 높은 산이 마니산이다〈고려사〉〈세종실록지리지〈태종실록〉 등 문헌에는 머리산, 우두머리산이란 뜻의 마리산(摩利山) 또는 두악(頭嶽)으로 쓰여있다. 지금도 마리산으로도 불리며, 마리란 머리를 뜻하는 고어로, 강화도뿐 아니라 전 민족의 머리로 상징되어 민족의 영산으로 숭앙되고 있다. "마니산'"개미허리'에서 98개의 계단길을 올라가면 사적 제136호인 '참성단'(塹星壇)이 있는데, 이곳에서 매년 개천절과 전국체전 때마다 성화가 채화된다. 참성단은 단군왕.. 2017. 10. 20.
용문사은행나무 동양최대의 용문사 은행나무 경기도양평군 신점리 6 동양최대의 용문사 은행나무에 얽힌 이야기는 많다,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927~935 제위)의 세자마의태자((麻衣太子가 나라 잃은 설움을 안고 금강산으로 가다가 심었다고도 하고,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625~702))가짚고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이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성장할것라고도 한다. 이나무는 오랜세월 전란 속에서도 불타지 않고 살아남은 나무라 하여 천왕목(天王木)이라고도 불렀으며, 조선 세종 때에는 정 3품 이상에 해당하는 벼슬인 당상직첩을 하사 받기도 하였다. 정미년 의병이 일어났을 때 일본군이 절을 불태웠으나 이 나무만은 화를 면했으며, 옛날에 어떤 사람이 이나무를 자르려고 톱을 대는 순간 피가 쏟아지고 하늘에서는 천둥이 쳤다고 .. 2017. 10. 20.
비둘기낭 폭포 비둘기낭 폭포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대회산리 비둘기낭 정보화마을 2012.07.28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는 한탄강 용암대지가 개석(開析), 골짜기가 침식을 받아 새로운 형태의 지형으로 변화되면서, 형성된 폭포와 그 주변의 크고 작은 하식동(河蝕洞)과, 주상절리 판상절리 주변은 용암분출에 따른 침식기 주면의 변동과 수계발달 간의 상호작용과 용암대지 내의 폭포 발달과정을 알 수 있는 독특한 폭포지형으로 되어있다 비둘기낭폭포 비둘기낭폭포 협곡 비둘기낭폭포 비둘기낭폭포 주상절리 협곡 비둘기낭폭포 계단 비둘기낭폭포 한탄강의 비경 중 하나, 약 27만 년 전 용암유출에 의해 형성된 현무암 주상절리 협곡에서 형성된 판상절리가 존재해 철원연천지역의 지형지질학적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 2017. 10. 20.
이른봄 야생화 3월의 이른봄에핀 야생화 2017.03.13일 음지에는 아직도 눈과 얼음이 녹지않은 따스한 이른봄들레길 여기저기 봄향기 그윽한 야생화 가 곱게 꽃망울 을 터트리기 시작하고 있다 큰괭이밥 [큰괭이밥풀] 괭이밥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고양이가 소화가 안 될 때 이 꽃잎을 먹는다는 속설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꽃잎 안쪽으로 붉은 줄무늬가 나있는데 그 모습은 마치 혈관처럼 보인다. 꽃줄기 끝에 흰색 꽃 한 송이가 옆을 보며 피고, 해가 지면>꽃잎이 오므라드는 특징이있는, 우리나라 야생화. 앉은부채 그냥 내버려 두세요라는 꽃말을가진 식물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유독성이 강한 식물. 애기앉은부채는 앉은부채와 비슷하지만, 잎이좁고 긴타원형으로 잎이나온뒤에 꽃이피는점이 앉은부채와 다.. 2017. 10. 20.
복수초 복수초(福壽草) 꽃말: 동양 영원한 행복 서양:슬픈 추억 복수(福壽)는중국에서 행복과장수를 뜻하므로, 이 꽃은 부와 영광 그리고 행복을 상징하는 황금색 인 데서 유래된 이름의 야생화 겨울철에도 얼음을뚧고 피는 꽃이라 하여 nbsp;얼음새꽃, 눈 속에서도 피는 연꽃이라 하여 설연(雪蓮)이라고도 불리는 꽃. 이른 봄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여름까지 꽃을 피우는 복수초 각처의 숲 속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숙근성 다년생초(관화식물)>일본에서는 새해에 행복과장수를 기원하는 선물로 원일초{元日草)라고도 부른다 이명: [가지복수초][가지복소초]눈색이속][복풀] 학명: Adonis amurensis Regel Radde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형태: 숙근성 다년생초(관화식물) 원.. 2017. 10. 20.
그시절 전차 전차 381호 No.381 電車381號 지정번호: 등록문화재 제467호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이 전차는 1930년경부터 1968년 11월까지 약 38년간 서울 시내를 운행하였다. 서울에서 전차운행이 처음 시작된 날은 대한제국 광무 3년뒤인1899년 5월 17일이었으며, 운행구간은 서대문에서 청량리까지였다. 이후 전차는 1960년대 초반까지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이후 버스와 자동차 운행에 오히려 방해가 되자 서울시에서는 1968년 11월 전차운행을 일제히 중단하였다. 이 전차는 서울에 마지막 남은 2대의 전차 가운데 하나이다. 2007년 12월에 서울 역사박물관으로 옮겨온 후 1년간의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전시하고 있다. 2017. 10. 17.
조선시대 5대궁궐 조선 5대 궁궐 사적 제117호 경복궁(景福宮) 조선의 정궁으로 정연한 배치체계를 갖춘 궁궐로 북궐이라고도 한다. 이성계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면서 세운궁궐로, 시경`의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의미를 따 이름을 지었다. 1394년(태조 3) 12월 4일 시작된 이 공사는 이듬해 9월 중요한 전각이 대부분 완공되었다. 백악(白岳)과 삼각산(三角山)을 등지고 한성(漢城) 중심 좌우에 6조 관아(六曹官衙)가 있는 대로광장에 조영(造營)된 궁궐로서 중국의 고대궁궐을 만드는 법식인 하늘의 별자리를 본뜬 오성좌배치를 그대로 따랐다.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이 1405년 창건한 제2궁궐로, 수도한양의 서쪽에는 경복궁, 동쪽에는 창덕궁이 위치하여 균형 잡힌 도시공간을 구성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린 경복궁을 재.. 2017. 10. 17.
민속박물관 오촌댁 국립민속박물관오촌댁 마을 오촌댁(梧村宅) 이집은 경북 영덕 원구1리에 있던것을 기증받아 옮겨지은 집으로 오촌댁(梧村宅)은 해체과정에서 상랑문이 나왔는데 1848년 지어진집으로 확인되었다. 부엌(아궁이) 뒷 장독대 닭,토끼장 뒷간(변소) 디딜방앗간 물레방아 연자방아 평평한 원형의 돌위에 다시 둥근돌을 얹어 이것을 소나말로 돌려 곡식을 찧는 저정기구로 `연자매` `돌방아` `돌방애` 라고도 부른다. 연자방아를 만들려면 비용때문에 마을 공동으로 장만해 함께 사용하였다. 마을공동체신앙물 전통마을에는 뒷산에 수호신을모신 산신당(山神堂),또는 성황당(城隍堂)이 있고, 마을입구에는 장승, 솟대, 돌탑,신목(神木)등,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한다. 2017. 10. 13.
구절초 九節草 구절초(九節草) [서흥구절초] [넓은잎구절초] [낙동구절초] [선모초] [큰구절초] [구일초] 꽃말: 어머니의 사랑, 고상함, 밝음, 순수, 우아한 자태 아홉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풀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국화과에속한 숙근성 다년초 (관화식물) 구절초(九節草) 구절초(九節草) 구절초(九節草) 구절초(九節草) 잎 구절초(九節草) 학명: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분류: 국화과(Compositae) 형태: 숙근성 다년초 (관화식물) 원산지 : 한국 분포: 중국 북부, 몽고, 일본(규슈)에 분포 서식: 전국의 산야 유사종 바위구절초 Dendranthema sichotense Tzvelev 산구절초 Dendranthema z.. 2017.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