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월 여름 야생화
08월 03일
7~8월 들가 야 산지에서 만난 야생화를 소개해 봅니다.
비누풀
꽃말: 베푸세요
유럽 원산인 여러해살이풀로, 여름에 흰색, 연분홍색의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핍니다.
비누풀
학명: Saponaria officinalis L.
분류: 석죽과 (Caryophyllaceae)
형태: 여러해살이풀
물싸리
꽃말: 생각이 나요
백두산 등지의 고산지대 암석 위에 자라는 식물로, 북반구의 유럽에서 북미대륙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습니다.
학명: Dasiphora fruticosa (L.) Rydb.
분류: 장미과 (Rosaceae)
형태: 낙엽 활엽 관목
냉초(冷草)
꽃말: 순결
냉증을 다스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산기슭의 습한 곳에 자생하며, 해열작용이 있어 감기, 풍습성 요통, 관절염, 근육통, 방광염, 폐결핵, 외상출혈 등에 사용하는 약용식물입니다.
학 명: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분 류: 현삼과(Scrophulariaceae)
형 태: 숙근성 다년초
원추리
꽃말: 지성
원추리는 야 산지 가장 흔하게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품종이 개발되고 있는 야생화입니다. 이른 봄 봄나물로 식용하며, 특이한 것은 고구마처럼 굵어지는 덩이줄기가 뿌리 끝에 달리는데, 가을에 덩이뿌리를 캐서 말린 것을 훤초(萱草)라고 하여 한방에서 황달이나 이뇨제의 치료제로 쓰이는 약용식물입니다.
학 명: Hemerocallis fulva L
분 류: 백합과(Liliaceae)
형 태: 숙근성 다년초 관엽, 관화 식물
잔대
꽃말: 감상, 은혜
뿌리가 굵으며 사삼(沙蔘)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뿌리를 사삼이라고 하여, 경기, 해독, 거담에 사용하는 약용식물입니다.
학 명: Adenophora triphylla var.japonica (Regel) H.Hara
분 류: 초롱꽃과(Campanulaceae)
형 태: 다년생초
짚신나물
꽃말: 감사
야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야생화로, 광아, 과향초(瓜香草), 노우근(老牛筋), 자모초(子母草), 지동풍(地洞風), 지선초(地仙草), 황우 미(黃牛尾) 등의 많은 이름을 가진 식물로, 한의학에서는 용아초(龍芽草) 혹은 선학초(仙鶴草)라 하여 약용하는 식물입니다..
학 명: Agrimonia pilosa Ledeb.
분 류: 장미과(薔薇科 Rosaceae)
형 태: 다년생초
치커리
꽃말: 절약
쌈채소, 샐러드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는 식물로, 맛과 형태가 다양한 외래 식물입니다.
학명: Cichorium intybus L.
분류: 국화과 (Asteraceae)
형태: 여러헤살이 풀
파리풀
꽃말: 친절
파리 풀이라는 이름은 파리를 잡는 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졌으며, 여름이나 가을에 식물 전체를 캐서 끓인 물로 옴, 종기를 치료하며, 승 독초(蠅毒草)라고 하는 뿌리의 즙을 종이에 발라 파리를 잡는 데 사용하기도 합니다.
학명: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Hara
분류: 파리풀과(―科 Phrymaceae)
형태: 다년생초
활량 나물
요정의 장화
작은 장화 모양의 꽃망울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모습이 이색적이며, 활량 나물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한량(閑良)에서 유래되었다고는 하는데~~ 설만 있을 뿐 정확한 유래는 없네요, 이른 봄 줄기와 잎을 식용하는데 특이한 향과 단맛을 낸다고 합니다.
학 명: Lathyrus davidii Hance
분 류: 콩과(Fabaceae)
형 태: 다년생초
나도사프란
즐거움, 지나간 행복
멕시코 원산으로, 수선화과에 속해있는데. 붓꽃과에 속하는 사프란과 비슷해 나도사프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학명: Zephyranthes carinata Herb.
분류: 수선화과 (Amaryllidaceae)
형태: 여러 헤살이 풀
구와꼬리풀
꽃말: 달성
구와꼬리풀은 잎 모양이 국화를 닮았으며, 환경 변화로 멸종위기에 놓였지만 평가할 만한 자료가 부족한 식물이라고 합니다.
학명: Pseudolysimachion dauricum (Steven) Holub
분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형태: 여러해살이풀
큰 산 꼬리풀
꽃말: 기다림
꼬리풀의 종류는 참 많습니다. 그중 큰 산 꼬리풀은 7~8월에 개화하며 총상 꽃차례에 피는 꽃은 하늘색이며, "산꼬리풀"과 달리 잎이 좁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입니다.
학명: Pseudolysimachion kiusianum (Furumi) Holub var. glabrifolium (Kitag.) T.Yamaz.
분류: 현삼과 (Scrophulariaceae)
형태: 여러해살이풀
'여행&둘레길 > 생태계 자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억새풀에 붙어 살아가는 기생식물 야고 (50) | 2022.10.25 |
---|---|
버섯의 계절 가을 독버섯 조심하세요 (41) | 2022.08.28 |
연꽃과 어리연꽃, 수련의 차이 (58) | 2022.08.01 |
구분하기 힘든꽃과 이름만 같은 꽃 (51) | 2022.05.19 |
라일락 꽃향기 풍기는 5월 (58)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