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희귀 약재 독성약재
자료/서울약령시 한의학박물관
서울 제기동 약령시 한의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약재 중 희귀 약재와 독성약재를 소개해 봅니다.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약재는 서울약령시에서 거래되는 약재 약 380종이 전시되어 있는 공간으로 전통한의약에서 활용되는 식물, 동물, 광물성 약재들과 특화약재, 희귀 약재, 독성약재 등을 전시 및 약재의 효능과 함께 알아보는 한의학 박물관입니다.
전통한의학 약재 관련 자료전시실
사향노루 수컷의 향선낭(香腺囊)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꺼내어 말린 것을 가루사향이라 하고, 주머니 모양의 사낭(麝囊)을 그대로 잘라내어 말린 것을 주머니사향(麝香)이라 부르는데 아주 귀한 한약재입니다.
백화사(白花蛇)는 살모사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로, 검은 바탕에 흰 무늬가 있는데, 이 무늬는 마름모꼴의 흰 꽃 모양을 하고 있으며, 풍(風)을 치료하는 것이 여느 뱀보다 빠르다고 합니다. 건비사(褰鼻蛇)라고도 하며, 깊은 산골짜기에서 사는 뱀입니다.
코뿔소의 뿔로 서각(犀角)이라 하며, 성질이 매우 차서 해열제나 해독제, 지혈제로 쓰이며,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의 재료이기도 합니다.
사슴의 뿔에서 추출한 고가의 약재입니다.
인공적으로 만든 적색 황화수은(HgS) 광물성약재
몸속에 있는 수분을 배설시키고 음식으로 인한 나쁜 기를 배출시키는 사수축음(瀉水逐飮) 효능이 있는 대극(大戟)
침향은 침향나무에서 나온 수지 덩어리로,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혈당 조절, 신경 안정, 뇌혈관 질환 예방,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준다고 하며, 침향나무가 Phialopora Parasitica균에 감염되면 침향 수지를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반묘(斑猫)는 띠띤 가뢰 (Mylabris cichorii Linn), 남방대반모(Mylabris phalerata Pallas) 또는 줄먹가뢰(Epicauta gorhami Marseul , 가뢰 과(科) Meloidae)의 몸체로 만든 동의보감 약재입니다.
미국자리공의 뿌리로 독성이 강한 한약재
몸속에 있는 수분을 배설시키고 음식으로 인한 나쁜 기를 배출시키는 사수축음(瀉水逐飮) 효능이 있는 대극(大戟)의 뿌리
해독살균효능이 있는 유황가루
뇌졸중 개선에 도움을 주는 한약재
부자(附子)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오두(烏頭, Aconitum kusnezoffii)의 자근(子根)을 가공한 한약재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에 속한 상록 교목인 파두(巴豆, Croton tiglium Linn )의 종자. 가을에 완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거각(祛殼)하고 종자만 채취하여 쇄건(曬乾)하고 종피(種皮)를 벗겨 약용합니다.
독성은 강하나 아황산 비소(AS2S3) 웅황은 해독 살충효과 있는 약재
나팔꽃의 씨앗 견우자
독성이 있으나 변비, 부종, 기침, 천명 치료에 쓰이는 약재
독성이 강한 투구꽃 초오는 해독제로 쓰이는 한약재
은행나무 열매
감수(甘遂)는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Euphorbia kansui Liou ex Wang의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로, 약맹독성 약재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특화약재
동충하초는 겨울 冬, 벌레 蟲, 여름 夏, 풀 草, 플이 하면 겨울에는 벌레였다가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신비의 버섯으로, 거미, 매미, 나비, 벌 등의 곤충의 사체에 기생하여 자실체(子實體)를 낸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약재로, 면역력 강화, 피로 해소 등 여러 가지 효능이 있으며, 동충하초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코디세핀은 천연 항생물질 및 면역 증강 물질로 고가의 약재입니다.
서울 제기동 서울 약령시에 있는 한의학 박물관은 한의약과 관련된 역사적인 근현대 유물과 350여 종의 다양한 약재 전시를 통하여 전통 한의약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 계승 발전시키고자 설립된 한방복합문화공간입니다.
'여행&둘레길 > 여행(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동맹 71주년 기념 미 해군 군악대 연주회 (25) | 2024.07.21 |
---|---|
수락산 청정계곡 청학밸리 (30) | 2024.07.14 |
수락산 힐링숲길 베이커리 카페 (33) | 2024.07.07 |
오사카 시립 주택박물관 기모노체험 (20) | 2024.07.01 |
2024 군악대 의장대 상반기 마지막공연 (22)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