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꽃 충매화와 풍매화
대부분의 여름에 피는 꽃은 충매화(蟲媒花)입니다. 여름꽃 중 아름다운 덩굴나무 능소화(凌霄花)를 소개해봅니다. 능소화 수술 끝에 달리는 꽃가루의 끝이 갈고리처럼 생겨서 눈에 들어가면 심한 통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는 하나,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될 수도 있다는 속설은 능소화가 풍매화(風媒花)로 잘못 알려져 생긴 오해인 것 같습니다. 실제 능소화의 꽃가루로 인해 피해를 본 사레는 아직 까지 없다고 합니다.
※풍매화(風媒花)는 꽃가루가 바람에 날려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데, 능소화가 풍매화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는 충매화(蟲媒花)입니다.
풍매화(風媒花)
풍매화는 바람에 의해서 꽃가루가 운반되어 수분이 이루어지는 꽃을 풍매화라고 하는데, 풍매화는 대부분 꽃이 작고 꽃잎이 없으며 꽃가루가 바람에 잘 날리도록 발달되어 있으며 꽃가루의 양도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풍매화(風媒花)는 바람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지는 꽃이기에, 바람만 불면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기 나 화려한 꽃을 피울 필요가 없습니다.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벼, 보리등이 대표적인 풍매화(風媒花)입니다.
대표적인 풍매화(風媒花) 소나무 꽃가루 송화(松花)
충매화(蟲媒花)
충매화(蟲媒花)는 벌레, 주로 곤충을 매개로 하여 수분(꽃가루받이)이 이루어지는 꽃을 말합니다 충매화인 꽃들은 대부분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과 모양이 아름답고 향기가 있으며, 꽃 속에는 꿀을 많아 곤충들은 꽃가루를 옮겨주는 대가로 꽃으로부터 식량을 얻게 되는 공생관계입니다. 여름꽃은 대부분 충매화로, 능소화, 개나리, 무궁화, 장미, 백합, 채송화, 봉숭아, 호박, 등이 대표적인 충매화입니다.
여름에 피는 대표적인 충매화(蟲媒花)인 능소화, 백합(나리꽃), 무궁화, 장미, 야생화, 물봉선, 참나리를 소개해 봅니다.
1. 능소화(凌霄花)
능소화는 능소화과에 속한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능소화((凌霄花)란 이름이 붙여진 것은 "하늘을 업신여기고 능가하는 꽃"이란 의미가 담겨있는데, 능소화의 능(凌)은 업신여길 능 凌, 능가할 능(凌)이고, 소(霄)는 하늘소(霄)로, 덩굴이 나무에 달라붙어 하늘을 향해 높게 오르는 특성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합니다.
능소화의 나팔모양 꽃은 색상이 화려하며, 줄기는 큰 키나무나 벽을 감고 올라가는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낙엽활엽 만경(덩굴줄기)
학명: Campsis grandiflora
오래전에 중국에서 들여온 덩굴성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양반들이 이 나무를 아주 좋아해 "양반꽃"이라고도 불렸으며, 평민들은 이 나무를 함부로 심지 못하게 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고택이나 사찰에서 많이 불 수 있는 덩굴나무입니다.
2, 백합 (나리꽃)
백합은 관사용으로 공원, 화단, 온실 등에 많이 심는 여러해살이 풀로,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자생하는 아름다운 꽃과 강력한 향기를 지닌 원예식물입니다. 우리나라의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참나리, 말나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울릉도에만 자라는 섬말나리와 응달나리가 있습니다.
향기가 짙은 백합(나리꽃)의 색상에 따라 꽃말도 다양합니다.
하얀 백합: 순결, 순수한 사랑
분홍 백합: 피핑크빛 사랑
노랑 백합: 유쾌
주황 백합: 명랑한 사랑
보랏빛 백합: 저주, 사랑
백합과 관속식물
학명: Lilium longiflorum Thunb.
3. 무궁화
무궁화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국화(國花)로 아담한 관목의 꽃나무로 정원수로 널리 심고 있으며 울타리로도 이용되고 있는데, 예전의 무궁화는 진딧물이 많이 발생해 기피하는 식물로 인식되기도 했었는데, 이는 무궁화의 상징적 가치를 훼손하기 위해 진딧물이 많이 끼는 품종을 일본인들이 전국에 퍼트렸으나, 현재는 진딧물이 끼는 무궁화 품종은 없습니다.
무궁화는 "영원히 피고 또 피어 지지 않는 꽃", ;"영원무궁토록 빛나 겨레의 환한 등불이 될 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 국화(國花)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궁화"라는 명칭은 "목근(木槿)"이라는 한자음이 변한 순수 우리말로, 무궁화의 최초 한글표기는 한글 창제 이후인 1517년, 최세진이라는 학자가 저술한 "사서 통해"라는 문헌에 처음 나오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꽃 무궁화는 이른 봄부터 서리가 내리는 12월까지 피는 꽃으로, 국내에는 100여 종의 품종이 있다고 합니다. 무국화의 유시종으로 유사종으로, 애기무궁화 (Hibiscus syriacus var. micranthus Y.N.Lee & K.B.Yim)와, 하와이무궁화(Hibiscus)가 습니다.
분류: 아욱과(科) 낙엽활엽소교목
학명: Hibiscus Syriacus Linneaus, Hibiscus
무궁화 학명의 Hibiscus는 고대 이집트의 아름다운 여신 "Hibis"와 유사하다는 뜻의 그리스어 "isco'의 합성어로 '아름다운 여신을 닮았다"는 뜻. 을 지니고 있으며, 영어로 "Rose of Sharon"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Sharon"은 성경에 나오는 "성스럽고 선택받은 곳"을 뜻하며, "Rose"'라는 표현은 "아름다운 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즉 무궁화는 "성스럽고 선택받은 곳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 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4. 장미(Rose)
장미는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 지방에 분포하는 식물로, 장미는 야생종 사이의 잡종이거나 그 개량종으로, 주로 향신료나, 약용으로 재배되어 오다가 10세기 전후로 관상용으로 품종개발하여 재배하게 된 원예 종(種)으로, 현재 국산 품종도 많이 개발되어 역수출하고 있는 효자상품이기도 합니다.
장미는 그 색상과 종류에 따라 다양한 꽃말을 가지고 있는데, 붉은 장미는 사랑과 열정, 흰 장미는 순결과 순수함, 핑크색 장미는 우아함과 행복, 노랑 장미는 친구와 화목함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장미는 그 아름다움과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꽃 중 하나입니다
분류: 장미과(과)
학명: Rosa ;hybrida
장미의 분류
크고 아름다운 꽃이 한 송이씩 피는 Hybrid Tea Roses, (HT), 한 줄기에 작은 여러 송이가 뭉쳐 피는 Floribunda Roses, F(L), 꽃이 화려하며 작고 많은 송이가 흐드러지게 피는 덤불형 Landscape Roses. (LA), 고전적인 장미를 현대적 감각으로 개량한 Antique Touch Roses. (AT), 국화 소국처럼 깜찍하게 작은 꽃이 수십 송이씩 모여서 피는 키 작은 왜성종 Miniature Roses, (Min), 높은 담장이나 아치에 장식하는 덩굴 Climbing Roses. (CL):등이 있습니다.
5. 야생화 물봉선
봉선화(鳳仙花)라는 이름의 야생화는 머리와 날개 꼬리와 발이 우뚝 서있는 봉황새를 닮아 유래된 이름으로, 물봉선화는 생육특성상 습지나, 물가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불봉선화라고 부릅니다.
물봉선의 꽃말은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물봉선은 유독식물이기에 나를 건드리지 말라는 꽃말이 붙여졌나 봅니다. 불봉선의 잎은 길이 6~15cm, 폭은 3~7cm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습니다.
분류: 봉선화과(鳳仙花科) Balsaminaceae
학명: Impatiens textori var.
원산지: 한국이며, 일 년생 초본으로 관화식물.
6. 참나리(tiger lily)
백합과(科)의 숙근성 다년생초로, 꽃의 색과 무늬가 호랑이무늬와 비슷해 영어로 "tiger lily"라고 부릅니다. 주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많이 보이는 야생화입니다.
참나리의 꽃말: 순결, 깨끗한 마음
여름철 들가 숲 속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야생화로 꽃에 예뻐 공원, 전원 등지에 많이 심고 있습니다.
분류: 백합과(百合科) Liliaceae
학명: Lilium ;lancifolium Thunb.
원산지: 한국이며, 숙근성;다년생초
'여행&둘레길 > 생태계 자연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주머니란 속 희귀식물 (28) | 2024.05.12 |
---|---|
광릉요강꽃이 활짝피고 있습니다 (51) | 2024.04.27 |
디엠지 접경지역에 핀 야생화 (51) | 2024.04.16 |
천마산계곡의 야생화 점현호색 (40) | 2024.04.04 |
홍릉숲 봄꽃소식 (39)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