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둘레길 2구간
순례길 구간길
2020.03.03일
3월 들어 첫 주말 혼잡한 도심을 벗어나 북한산의 둘레길중 독립유공자의 "순례길 구간"길을 걸어보았다. 2 구간 길은 2.3km 정도이나, 독립유공자의 묘역을 두루 돌아보면 약 5.0km 정도 소요된다. 오늘은 독립유공자의 묘역 길을 걸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우이동 솔밭 근린공원 에서 출발해 본다.
울창한 노송숲을 걷는 숲길
울창한 송림속을 산책하는 솔밭공원길
북한산 둘레길 순례길 구간길 입구
4.19 민주묘지 전망대 해설사의 집
민주화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잠들어 있는 4.19 민주묘지
북한산 4.19 민주묘지 전망대
독립투사 묘역 둘레길
애국선열 강재(剛齊) 신 숙(申 肅) 선생의 묘역
1885~1967
건국훈장 독립장(1963)
호는 강재(剛齊) 경기 가평출신으로 독립운동가. 1930년 만주에서 한국독립당을 결성, 독립군 참모장으로 무장투쟁을 하셨다.
꽤 가파른 길을 10여분 올라간다.
애국선열 재무장관 상산(常山) 김도연(金度演) 선생의 묘역
1894~1967
건국훈장 애국장(1991)
호는 상(常山) 경기 김포 출신으로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본 동경에서 거행된 2.8 독립선언서 11명의 대표 중 한 분으로, 초대 재무장관을 지냈으며, 3.4.5대 민의원과 6대 국회의원을 지내셨다.
둘레길따라 10여분~~!!
애국선열 동암(東菴) 서상일(徐相一) 선생
1887~1962
건국훈장 애족장(1990)
호는 동암(東菴) 경북 대구 출신으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동청년단, 조선 국권회복단을 조직 독립운동을 전개, 광복 후 재헌 국회 헌법 기초위원으로 활약하셨다.
애국선열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 선생
1879~1962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62)
호는 심산(心山) 경북 성주 출신으로,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을사5적 처형 요구및 성균관대 창립, 초대학장을 역임하셨다.
애국선열 현곡(玄谷) 양일동선생
1912~1980
건국훈장 애족장(1990)
호는 현곡(玄谷) 점북 옥구 출신으로 정치가로, 중국에서 남화한인청녕동맹에서 활동. 3.4.5대 민의원, 8.10대 국회의원및 1977년 통일당 총재를 지내셨다.
애국선열 묘역 갈림길로, 북한산 대동문 오름길
쉼터!! 저멀리~~ 미세먼지가 장난 아니네!!
북한산 대동문 가는길로~~!!
북한산 계곡
애국선열 단주(旦州) 유림(柳林)
1898~1961
건국훈장 독립장(1962)
호는 단주(旦州) 경북 안동출신으로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아나키즘 진영을 대표로 임정국무위원과 의정원 의원을 역임, 해방호 독립노동당을 창당하여 당수로 활동
옛 다리 임시다리인 섶다리
초대길 갈림길
우리나라 광복군의 17위의 합동묘소
애국선열 초대부통령 성재(省齋) 이시영(李始榮)선생
1969~1953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49)
호는 성재(省齋) 서울 출신으로 정치가, 독립운동가, 신흥강습소를 설립 독립군을 양성하고, 임정 법무,재무총장을 역임. 초대 부통령에 당선 되었으나 이승만대통령 통치에 반대 사직.
대동문 가는길로~~!!
애국선열 초대 대법원장 가인(街人) 김병로(金病魯)
1887~1964
건국훈장 독립장(1963)
호는 가인(街人) 전북 순창 출신으로 법조인, 정치가, 일본에 유학중 학지광_學之光 편집장으로 계몽활동,1930년 신간회의 중앙집행위원장을, 광복후에는 한민당 창설에 참여및 초대, 2대 대법원장을 지내셨다.
이준열사 묘역가는길
애국선열 일성(一醒) 이준(李懏)열사
1895~1907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962)
네덜란드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제국 고종의 특파 위원으로, 종2품 전 의정부 참찬 이상설, 전 평리원 검사 이준(李懏), 전 주아공사관 참서관 이위종 을 특사로 파견, 을사조약 무효와 함께 대한민국의 독립을, 열강의 지원을 요청하다 순국
아카데미 탐방 솔밭길 구간
북한산의 2구간 순례길은 자유, 민주, 정의가 살이 숨쉬는길로,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되어 있는 구간길로, 조국을위해 묵숭을바친 독립유공자 묘역과, 민주화를 위해 희생된분이 잠들어계신 4.19 민주묘지와 함꼐 역사와 자연이 어우려져있는 숲길
'여행&둘레길 > 북한산 국립공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국립공원 우이령 탐방 (57) | 2020.05.06 |
---|---|
북한산 21구간 우이령 길 (15) | 2020.03.07 |
북한산성 노적사 露積寺 (24) | 2020.01.17 |
도봉산 우이암 牛耳岩 (16) | 2019.12.11 |
북한산 둘레길 3~4구간 길 (11)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