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여행(축제)

봉선사 행복바라미 2024 연꽃축제

by @산들바람 2024. 7. 27.

연꽃축제_썸네일

 

광릉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내에 있는 천년고찰 봉선사에서 7월 26일(금)부터 3일간 연꽃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운악산-봉선사-일주문_01
운악산-봉선사-일주문_02
광릉 수목원 내에 자리한 운악산 봉선사

 

 

봉선사 연지(蓮池) 연꽃축제

 

연꽃밭에서-열리는-음악회_01
연꽃밭에서-열리는-음악회_02

지난주에 열릴 계획이었으나 장맛비로 일주일 연기하여 운악산 봉선사 연지밭에서 오늘(27일) 오후 6시부터 연꽃축제 음악회 열립니다.

 

봉선사-연지_01
봉선사-연지_02
봉선사-연지_03
봉선사-연지_04
봉선사-연지_05

연꽃축제가 열리는 봉선사 연지(蓮池)

 

축제행사_01
축제행시_02

봉선사 연지밭 행사장

 

봉선사-연지_06
봉선사-연지_07
봉선사-연지_08
봉선사-연지_09
봉선사-연지_10
봉선사-연지_11

봉선사 연지(蓮池)

 

숲속카페-파드마

봉선사 연꽃밭에 있는 숲 속의 카페 PADMA 

 

봉선사-연지_12
봉선사-연지_13
봉선사-연지_14

봉선사 연지(蓮池)

▲봉선사 연지(蓮池) 연꽃축제

 

운악산 봉선사

 

남양주와 포천시 경계에 있는 유네스코 생물권지역 광릉수목원에 지라한 봉선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입니다. 봉선사는 원래 969년에 고려 전기 승려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한 "운악사"라는 사찰이었으나, 1469년에는 조선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세조의 능침을 광릉에 모시고, 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선사"라는 이름을 지은 천년고찰입니다.

 

경내-연못_01
경내-연못_02
경내-연못_03

봉선사 경내 연못

 

서예전시_01
서예전시_02
서예전시_03

연못 인근에서 전시하고 있는 봉선사 서예반 회원의 작품을 감상해 보세요

 

미륵대불_01
미륵대불_02

봉선사 미륵대불

 

공양간
미륵대불 옆 봉선사 공양간

 

노거수-느티나무
550년생 느티나무

봉선사 경내 느티나무

수고 21m

둘레 5.0m

수령 550년

 조선시대 세조 비 정희왕후는 선왕의 위업을 기리고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기존에 있던 사찰 "운악사"를 중창하고 사찰 이름을 "봉선사"로 하면서 느티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6.25등을 거치면서도 무탈하게 우뚝 서있는 봉선사와 함께한 노거수입니다.

 

전통찻집
봉선사 경내 전통찻집

경내에 있는 전망 좋은 전통찻집 "봉향당"에서는 불교용품과 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봉선사-경내입구

봉선사 경내

 

보물-동종

​보물 제397호 봉선사 동종(奉先寺 銅鍾)

 

봉선사 청풍루 현판이 걸려있는 법당 설법전

 

 

봉선사-전각_01
봉선사-전각_02

봉선사-정중탑

큰 법당 앞 정중탑(庭中塔)

정중탑은 경복궁에 있는 갈항사탑(葛項寺塔)을 모방한 탑으로, 1972년에 세웠으며,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奉安) 하고 있습니다.

 

큰법당
봉선사 큰법당

봉선사 대웅전(奉先寺 大雄殿)인 큰 법당은 초장, 중창, 재창을 거쳐, 1970년 운허 스님이 삼창(三創)을 하면서 스님의 뜻에 따라 대웅전이라 하지 않고 큰 법당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삼성각과-조사전
대웅전 위로 삼성각과 조사전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연꿏축제-포스터
2024 봉선사 연꽃축제

장맛비로 일주일 연기하여 07.19일(금)~부터 봉선사 초입 연지(蓮池)에서 연꽃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교통

의정부역에서 경복대행 21번 버스

지하철 4호선 오남역에서 봉선사행 2번 버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