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숲 봄꽃산책
홍릉 국립산림과학원 임업시험림
2025.04.12일
변화무쌍한 날씨입니다. 무엇이 아쉬운지 동장군이 다시 찾아온 것 같습니다. 제법 쌀쌀한 날씨 가랑비 내리는 주말 주말에만 일반인에게 자유탐방 개방하는 홍릉숲을 산책해 봅니다.


홍릉 국립산림과학원
![]() | ![]() |
황매화(黃梅花)
황매화는 노란색의 꽃과 가을의 노란 단풍, 겨울의 푸른 줄기가 보기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관목입니다.

![]() | ![]() |
우산(雨傘) 나물
반그늘진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며, 잎의 모양이 우산을 펼친 모양 같기도 하고 삿갓모양 같기도 해서 우산나물, 또는 삿갓나물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 | |
![]() | ![]() |

활짝 만개해 비바람에 꽃비가 내리는 왕벚나무
![]() | |
![]() | ![]() |
흰 진달래
잔달래의 변이중으로, 희귀해 무분별한 채취로 1997년 희귀 및 멸종위기로 지정되었으나 자생지가 복원되어 현재는 해제되었습니다.

![]() | ![]() |
우리나라 특산식물 히어리
히어리는 세계적으로 약 30여 종이 있으며, 일본과 히말리아 지역에 몇 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한종만 자라고 있으며, 지리산 일대에서 처음 발견되어, 학명에 "coreana"란 종(種) 명을 붙인 특산식물입니다, 개체수가 적어 멸종 위기에 처해 1998년 환경부 야생동식물 2급 보호종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으며, 히어리의 원산지인 순천지역 방언에 따라 "히어리"라 바꿔 학계에 발표하면서 이름이 히어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 | ![]() |
일행물나무
히어리와 구분하기 힘든 꽃나무로, 좀히어리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도사물나무
히어리, 일행물나무, 도사물나무 모두 꽃모양새가 비슷해 구분하기 힘들며, 모두 조록나무과(科)에 속해 있는 식물입니다.
![]() | |
![]() | ![]() |
산당화(山棠花), 명자나무
장미과에 속해있는 식물로,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떨기나무입니다.


분꽃나무
우리나라 전영 야산지에서 재생하는 꽃나무로, 라일락과 같이 꽃의 향기가 강해서 아주 멀리까지 퍼지는 식물입니다.

천장산 8부 능선까지 데크계단으로 조성해 일반에게 개방한 숲길로 주간에만 개방하고 있습니다.

귀룽나무
10m~15m 정도까지 자라는 키 큰 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든지 계곡가에 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귀룽이라는 이름은 줄기껍질이 거북이(귀 : 龜) 등처럼 생겼고 줄기와 나뭇가지가 용을 닮았다고 하여 귀룽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 뜰에서 자라고 있는 능소화(凌霄花)
중국이 원산지로 능소화((凌霄花))란 "하늘을 업신여기고, 하늘을 능가하는 꽃"이란 의미가 담겨있는 아름다운 낙엽 활엽 덩식물입니다.


통제하고 있는 홍릉숲
![]() | ![]() |
철쭉과 5월이면 향기 흩날리는 미스김 라일락숲
![]() | ![]() |
잎이 나기 전에 분홍색의 겹꽃이 나무줄기에 가득 피는 원산지가 한국인 폴또기


이번 내리는 봄비로 다음 주쯤이면 약용식물원에도 꽃이 활짝 필 것 같습니다.
수도권 산불경계령이 내려져 강화고려산 진달래축제는 취소되었다고 합니다. 오늘도 봄비는 내리고는 있으나 가랑비 수준이어서 아쉽기만 합니다.
'여행&둘레길 > 산&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튤립 허브정원 서울숲길 (18) | 2025.04.23 |
---|---|
월계역에서 화랑대역 경춘선숲길 (23) | 2025.04.17 |
오솔길따라 용산가족공원 숲길산책 (14) | 2025.04.11 |
봉선사 광릉숲 4.0km 데크로드 숲길 (22) | 2025.03.23 |
서울미래유산 힐링숲 홍릉숲 (3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