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1810 법화신앙 중심사찰 낙산묘각사 낙산 묘각사 落山妙覺寺서울 종로 숭인동 낙산(落山) 자락 관음종 사찰 서울 종로 숭인동 낙산아래 밀집해 있는 주택가 언덕 위에 자리한, 대한불교 관음종(大韓佛敎觀音宗)의 총본산으로, 『법화경(法華經)』을 중심으로 수행과 대중 불교운동을 지향한 법화신앙(法華信仰)의 중심사찰인 낙산 묘각사를 찾았습니다. 낙산(落山)은 풍수설에서 따르면, 서울의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으로 이곳에 절을 지으면 한양시민이 편안하다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이곳에 일제강점기 때 태허 홍선스님이 묘각사를 창건하였다고 합니다. 묘각사는 템플스테이가 처음 시작된 2002년 월드컵 대회 때부터 템플스테이 사찰로 지정되어, 오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사찰로, 30여 개국이 넘는 많은 나라에서 1박 2일 템플스테이를 체험해오고 있는 도심 속 전통사.. 2025. 3. 8. 강화여행 외포항 함상공원 외포항 함상공원과 젓갈시장강화여행 강화 외포항은 가을새우젓축제가 열리는 수산물젓갈시장과 함상공원이 있습니다. 강화함상공원은 1985년 취역 이래 34년간 우리 바다를 지켜 오다 2019년 퇴역한 "마산함"을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보존,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운 군함에서 해군 생활과 각종 전투장비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함상체험공간입니다. 2019년 퇴역한 마산함이 정착하고 있는 강화 외포항 함상공원 마산함 선수에 있는 76mm 함포에 사용되는 함포탄약고 마산함 함장실마산함의 경우 초창기에는 함장계급은 대령이었으나 현재는 중령이 함장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0mm 함포 상비탄약고 마산함 전투정보실은 함장이 전투를 지휘를 장소로 마산함의 핵심 정보실입니다. 함정의 운항 지휘 및 배.. 2025. 3. 7. 비운의 단종비 정순왕후 유적지 단종비 정순왕후의 흔적숭인동 정순왕후의 유적지 비운의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는 15세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책봉 3년 만에 폐비가 되어 궁궐밖으로 쫓겨나, 동대문밖 숭인동 정업원에서 지내면서 평생 단종을 그리워하면서 쓸쓸하게 지내다 82세(중종 16년) 나이로 승하하셨습니다. 비운의 왕비 정순왕후의 삶을 기리기 위해 숭인동 근린공원 내에 기념공간을 조성해 놓았습니다. 동대문 밖 숭인동 근린공원에 조성된 비의 왕비 정순왕후 유적지 조감도 지하철 4호선 창신역 ④번출구로 나와 철계단으로 올라가면 숭인동 동망봉 근린공원길입니다. 종로구 숭인동 산 3번지유형문화재 제5호 정업원 터(淨業院 址)시대 영조 47년(1771년) 단종비 정순왕후는 궁에서 물러난 후 동대문밖 이곳 정원업(淨業院)에서 매일 동망봉에 영.. 2025. 3. 5. 사찰여행 북악산길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불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보살좌상서울 성북구 북악산길 개운산자락 안암동 개운사는 성북구 개운산자락에 자리한 사찰로, 조선초 승려 무학 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원래 이름은 영도사였으나, 조선 후기에 현재 이름인 개운사(開運寺)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개운사(開運寺)는 직할 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며, 개운사 일주문에서 우측담장길 따라 300여 m 올라가면, 대원암(大圓庵)과 고려시대로 추정 돠는 마애불(普陀寺磨崖佛)이 있습니다. 선한 인연을 만들어가는 공간 개운사(開運寺) 개운사 사찰 선방에 걸려있는 편액 1922년 이정만(李正萬)이 쓴 '대각루(大覺樓)와, 1925년 이집천의 사해백련(四海白蓮) 개운사(開運寺)태조 5년(1396)에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동대문 밖 5리 정도 되는 .. 2025. 3. 4. 2025 서대문형무소 1919 그날의 함성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서대문형무소역사관 3.1절 기념행사2025.03.01일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근대식 감옥으로, 1987년 폐쇄될 때까지 80년간 감옥으로 사용했던 건물로, 옥사는 붉은 벽돌로 지었으며, 수감자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원형 감옥형태인 패놉티콘 구조로 만들어졌습니다. 03월 01일 10:00부터 서대문형무소 사형장 옆 추모공간에서 추모비 분향 후, 12 옥사 앞 태극기광장에서 군악대연주, 그날의 함성 독립운동 재현 퍼포먼스, 역사 어린이합창, 독립유공자후손의 독립선언문 낭독 후 독립공원 독립문 앞까지 독립만세 행진하는 순으로 3.1절 기념행사가 열렸습니다.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03.01일~ 03.02일 무료관람 많은 방문객으.. 2025. 3. 2. 주말 교외선 열차타고 추억여행 교외선 열차 주말 주간운행교외선 무궁화호 열차2025.02.28일 경기북부 고양 양주, 의정부를 잇는 교통수단 중 하나였던 교외선은, 2004년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옛 철로가 잘 보전되고 있어, 교외선 재개사업비로 549억 원을 투입해 교외선을 복원, 지난 2025.01.11(토)부터 운행을 재개했으나 아침 일찍과 오후 늦게 하루 4차례 운행하였으나, 2월 초부터 주말에 한해 낮에도 운행을 시작해 교외선을 타고 추억여행을 해 보았습니다. 의정부역 2층 대합실 5-6 게이트 교외선 열차 타는 곳 (※의정부역 지하에서 지하철역으로 가면 안 됩니다) 열차표는 코레일안터넷 구입 또는 현장구매하며, 열차표 매진 시에는 표 없이 열차를 타고 열차 내에서 입석표 구입하면 됩니다. 열차표 없어도 기차를 탈 수 있습니.. 2025. 3. 1. 인천여행 월미도 문화의거리 월미도 문화의 거리인천 월미도 관광특구②2025.2.23 월미도 월미바다열차 박물관역에서 지난해 12월 개관한 국립해양박물관을 둘러본 후 월미도등대에서 월미도 문화거리를 산책해 보았습니다. 월미바다열차월미바다역에서 월미도의 월미공원과 문화의 거리를 운행하는 국내 최장 도심형 관광모노레일 바다열차는, 총 운행거리 6.1km, 평균시속 9km의 속도로 월미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은 약 42분 소요된다고 합니다. 월미도의 아찔한 높이 115m의 초대형 대관람차와 놀이체험 테마파크 국립 인천 해양박물관은, 인천항 갑문매립지 2만 6천500여㎡ 부지에 지상 4층, 연면적 1만 7천300㎡ 규모로 건립하여, 2025년 12월 초 개관하여, 무료로 관람하는 해양박물관은, 선사 시대부터 삼국시대 고려.. 2025. 2. 28. 인천여행 산과바다를 품은 월미전망대 인천 월미도여행 월미공원인천 월미도 관광특구①2025.02.23일 제법 쌀쌀한 날씨지만 미세먼지 없는 맑은 날인 지난 주말에 인천 월미도 여행을 하고 왔습니다. 월미도 관광특구 월미바다열차역인 박물관역 해양박물관 주차장에서 월미도의 해발 108m의 작은 산 월미산 월미공원 전망대에 올라보았습니다. 인천 월미도 해양박물관역 바다열차와 월미도 테마파크 박물관역 길 건너 월미산 월미공원 월미공원 월미산 산책로 박물관역에서 산책로 따라 조금 올라가면 적의 침투를 막기 위해 설치해 놓은 방어물인 돈대와 포대가 있던 터에서 내려다보면 월미도 앞바다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월미공원 무장애 나눔길(물범카 운행로)무장애 나눔길 연리지(連理枝) 소나무연리지는 서로 다른 뿌리에서 나온 두 나무의 가지가 자라나면서 서로 .. 2025. 2. 26. 추천 힐링 봄여행 은평 한옥마을 3월 가볼 만한 한옥마을 여행은평 뉴타운 한옥마을 여행하기 좋은 계절 꽃망울 터트리는 3월이 오고 있습니다. 나들이하기 좋은 봄날 북한산 계곡의 사찰과 함께 볼거리, 즐길거리 많은, 은평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북쪽 지방과 한양으로 가려면 꼭 거쳐야 하는 역사적 요충지 지역이었던, 이곳에 조성된 은평 뉴타운을 소개해 봅니다. 은평 한옥마을 은평의 명찰 북한산 진관사(進寬寺) 진관사 백초월길 은평 한옥마을 입구에서 약 1.0km 정도 북한산방향으로 올라가면 북한산 응봉능선아래 자리한 고려전기 제8대 현종이 승려 진관대사를 위해 창건한 진관사사찰이 있습니다, 진관사에서는 해마다 가을이면 국행수륙제와 독립운동가 백초월스님을 기리가 위해 피 묻은 태극기가 발견된 진관사 칠성각까지 걷는 백초월길과 진관사계곡이 있습.. 2025. 2. 25. 이전 1 2 3 4 5 6 ··· 20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