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빛의 여정 조선 분청사기 백자
삼성미술관 M1 고미술 상설관 3F
2023.08.23일
리움미술관 M1 고미술 송자품전시 4F 『푸른빛 문양 한 점』고려청자를 관람하고 3F 『흰빛의 여정』 조선 백자를 만나봅니다.
M1 전시실은 4충으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4F 고려청자 전시품을 관람 후 4F에서~원형계단 따라~3층, 2층, 1층전시실로 내려가게 되는데 4층으로 된 M1전시관도 예술이네요. 맨 아래가 1층 출구입니다. 4F고려청자를 관람 후 계단 따라 3F조선백자 전시실로 내려가 조선백자를 만나봅니다. 전시동 M1은 스위스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가 디자인한 작품입니다.
분청사기는 15-16세기 우리나라에서만 제작한 독특한 자기로, 한국미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고려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바탕으로 조선초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은 절제된 형태와 순백의 유색, 정결한 장식이 더해진 격조 높은 백자문화도 발전시겨 나갔습니다.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형태를 빗어 정갈하게 다듬고 그 위에 빛깔이 있는 안료로 그림을 장식한 후 표면에 맑고 투명한 유약을 입혀 가마에서 구워낸 것입니다. 백자는 전국에서 생산되었지만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왕실용으로 제작한 백자를 최고로 치고 있습니다.
분청사기인화 군위인명 승렴문 접시
粉靑沙器印花軍威仁銘繩簾文楪匙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인화 의성장흥고명 승렴문 대접
粉靑沙器印花義城長興庫銘繩簾文大楪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상감 용문 매병
粉靑沙器象嵌 龍紋梅甁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인화 승렴문 합
粉靑沙器印花繩簾文盒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인화 유국문 발
粉靑沙器印花柳菊文鉢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인화 승렴문 병
粉靑沙器印花繩簾文甁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철화 초화문 장군
粉靑沙器鐵畵草花文獐本
조선, 16세기
분청사기철화 초문 병
粉靑沙器鐵畵草文甁
조선, 16세기
분청사기철화 당초문 병
粉靑沙器鐵畫唐草文甁
조선, 15~16세기
분청사기조화 모란문 편병
粉靑沙器彫花牡丹文扁甁
조선, 15세기
분청사기 박지 모란문 병
粉靑沙器剝地牡丹文甁
조선, 15 새기
분청사기조화 모란문 병
粉靑沙器彫花牡丹文甁
조선, 15세기
분청사기조화 모란문 호
粉靑砂器彫花牡丹紋壺
조선, 15세기
분청사기 박지 모란문 호
粉靑沙器剝地牡丹文壺
조선, 15 새기
분청사기 귀얄문 병
粉靑沙器 귀얄 文壺
조선, 16세기
백자상감 연화당초문 병
白磁象嵌蓮花唐草文甁
보물 제1230호 조선, 15세기
조선 시대의 백자. 연질 백자로 흑상감으로 무늬를 넣었으며, 백자 상감 모란문 병, 백자 상감 초화문 편병과 형태 및 문양이 비슷하여, 조선백자의 계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는 백자(白磁)
백자 유개호
白磁有蓋壺
조선, 16세기
백자 달항아리
白磁滿月壺
조선, 16세기
백자청화 부귀다남자수복 강녕명 호
白磁靑華富貴壽福康寧銘壺
조선, 19세기
백자청화 화조문 호
白磁靑華花鳥文壺
조선, 19세기
백자청화동 채 윤룡문 호
白磁靑華銅彩雲龍文壺
조선, 19세기
백자청화 모란문 주자
白磁靑華牡丹文注子
조선, 19세기
백자철재투각 포도문 화분대
白磁鐵彩透刻葡萄文花盆臺
조선, 19세기
백자철화 초화어문 병
白磁鐵畵草花魚文甁
조선, 17세기
백자 대호
白磁大壺
조선, 18세기
백자청화 송학녹문 필통
白磁靑華松鶴鹿文筆筒
조선, 19세기
①백자음각 거북이형 계영배 받침
白磁陰刻龜形戒盈杯托
②백자양각 매죽문 반닫이향 연적
白磁陽刻梅竹文櫃形硯滴
③백자투각 구룡문 연적
白磁透刻龜龍文硯滴
④백자청화 낙서국화문 연적
白磁靑華洛書菊花文硯滴 조선, 19세기
백자청화 운룡문호
白瓷靑華 雲龍文壺
조선 19세기
백자 연적
白磁硯滴
조선,19세기
푸른빛 문양 한 점 고려청자
푸른빛 영롱한 고려청자 삼성 리움미술관 M1 고미술 상설관 4F 2023.08.23일 한남동 삼성 리움미술관을 찾았습니다. 리움미술관 M1상설관 4층에서 『푸른빛 문양 한 점』이라는 주제로 전시 중인 신
balgil.tistory.com
▲4F 『푸른빛 문양 한 점』 고려청자
4F 『푸른빛 문양 한 점』 고려정차를 만나보고, 3F 『흰빛의 여정』 분청사기와 순백의 조선백자를 감상해 보았습니다. 다음으로 2F 『감상과 취향』 1F 『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여행&둘레길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험미술 선구자 김구림작가 개인전 (87) | 2023.08.30 |
---|---|
조선의 대표화가 작품과 금속공예품 (74) | 2023.08.26 |
푸른빛 문양 한 점 고려청자 (79) | 2023.08.24 |
한강 물의정원 선유도이야기 (74) | 2023.08.23 |
명의 허준과 동의보감 (54)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