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둘레길/문화유산

특별한 만남 창령사 터 오백나한

by @산들바람 2023. 8. 31.

창령사터 오백나한 나에게로 가는 길

춘천박물관 브랜드실

2023.08.26일

 

브랜드실-전시포스터
창령사 터 오백나한 나에게로 가는 길

"2001년 영월 창령사 터(蒼嶺寺址)에서 발굴한 오백나한(五百羅漢)을 소재로 구성한 「창령사 터 오백나한 나에게로 가는 길」은 기쁨과, 슬픔, 희망, 그리고 분노 등 우리들 일상의 마음을 담고 있는 다양한 표정 그리고 미소를 띠고 있는 오백나한(五百羅漢)과 나에게로 떠나는 여정을 시작하는 휴식과 치유의 공간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오백나한-브랜드전시실
브랜드 전시실 오백나한의 미소
나한의-미소_01

미소 띤 나한(1)

나한의-미소_02

미소 띤 나한(2)

나한의-미소_03

미소 띤 나한(3)

 

 

선율이-흐르는-오백나한-전시실

창령사터 오백나한 은 "한-호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호주 파워하우스뮤지엄에서 국외전시회('21.12.2~'22.5.15.)도 열렸던 전시입니다.
.

선정에-들어간-나한_01

선정(禪定)에 든 나한(1)

선정에-들어간-나한_02

선정(禪定)에 든 나한(2)

선정에-들어간-나한_03

선정(禪定)에 든 나한(3)

선정에-들어간-나한_04

선정(禪定)에 든 나한(4)

머리에-두건을-쓴-나한(01)

두건(頭巾)을 쓴 나한(1)

법의-가사를-두른-나한(01)

가사(袈裟)를 두른 나한(01)

법의-가사를-두른-나한(02)

가사(袈裟)를 두른 나한(02)

미소띤-오백나한의-여러모습
다향한 모습의 오백나한

오백나한이 가진 다양한 표정과 미소는 나 자신, 혹은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올리게 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백나한과 함께 명상과 휴식의 시간을 가져보는 소중한 공간인 것 같습니다.
 

정담을-나누고있는-나한(01)

이야기하는-나한(1)

정담을-나누고있는-나한(02)

이야기하는-나한(2)

정담을-나누고있는-나한(03)

이야기하는-나한(3))

법의-가사를-두른-나한(03)

가사(袈裟)를 두른 나한(03)

법의-가사를-두른-나한(04)

가사(袈裟)를 두른 나한(04)

선정에-들어간-나한_05

선정(禪定)에 든 나한(5)

선정에-들어간-나한_06

선정(禪定)에 든 나한(6)

수행에-들어간-나한_01
수행하는 나한(01)
수행에-들어간-나한_02

수행하는 나한(02)

수행에-들어간-나한_03

수행하는 나한(03)

수행에-들어간-나한_04

수행하는 나한(04)

나한의-미소_04

미소 띤 나한(4)

 

 

나한의-미소_05

미소 띤 나한(5)

나한의-미소_06

미소 띤 나한(6)

나한의-미소_07

미소 띤 나한(7)

창령사지-오백나한-전시실
창령사터 오백나한 나에게로 가는길 전시실

 

오백나한(五百羅漢)은 석가모니의 제자들로, 석가모니와 함께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대중들에게 불교적 진리의 진리를 전파하는데 힘을 쏟은 제자들입니다. 대자연을 배경으로 석가모니와 오백제자가 함께 묘사된 일본 지온인(知恩院) 소장 고려불화 "오백나한도(五百羅漢圖)"는 그 광경을 회화학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합니다.

 

박물관 브랜드실 창령사터(蒼嶺寺址) 오백나한 전시실 내에는, 오백나한의 뒤로 비가 내리고 연꽃잎이 바람에 흩날리며 함박눈이 탐스럽게 내리는 모습의 영상은 사계절의 변화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아름다운 영상이 선율과 함께 오백나한 주변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가사를 온몸에 두르고 자연과 가까이 어우러졌던 오백나한들의 진면목을 영상과 함께 감상해 보는 공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