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사찰(寺刹)

사찰여행 북악산길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불

@산들바람 2025. 3. 4. 06:09

개운사와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서울 성북구 북악산길 개운산자락 안암동

 
개운사는 성북구 개운산자락에 자리한 사찰로, 조선초 승려 무학 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원래 이름은 영도사였으나, 조선 후기에 현재 이름인 개운사(開運寺)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개운사(開運寺)는 직할 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며, 개운사 일주문에서 우측담장길 따라 300여 m 올라가면, 대원암(大圓庵)과 고려시대로 추정 돠는 마애불(普陀寺磨崖佛)이 있습니다.
 

안암-개운사-썸네일
성북구 안암동 개운사와 보타사
안암산-개운사-일주문
개운사 일주문(開運寺柱門)
선한인연-개운사-01
선한인연-개운사-02

선한 인연을 만들어가는 공간 개운사(開運寺)

 

개운산자락-개운사-01
개운산자락-개운사-02
개운사-선방
개운사 선방 편액

개운사 사찰 선방에 걸려있는 편액 1922년 이정만(李正萬)이 쓴 '대각루(大覺樓)와, 1925년 이집천의 사해백련(四海白蓮)
 

 

개운사-선방아래-3층석탑
개운사 3층석탑
개운사-범종루

개운사(開運寺)

태조 5년(1396)에 왕사(王師)인 무학대사가 동대문 밖 5리 정도 되는 안암산 기슭인, 현재 고려대 이공대학 부근에 절을 짓고 영도사(永導寺)라고 하였습니다.
 

개운사-선방

개운사 선방(禪房)

 

시왕전으로-불리기도-하는-명부전
개운사 명부전(冥府殿)

명부전은 유명계의 심판관인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있어, 시왕전(十王殿) 또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불(主佛)로 봉안하고 있으므로 지장전(地藏殿)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개운사 관음전(館音殿)
미타전의-목조아미타여래좌상
목조아미타여래좌상(阿彌陀佛坐像)

개운사 미타전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649호), 복장의 전적 (보물 제1650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웅전

개운사 대웅전(大雄殿)

 

대웅전과-삼성각
삼성각
개운사 삼성각

개운사 삼성각에는 산령각, 금륜전, 천태각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삼성각에는 산신과 칠성불, 나반존자상이 있고 그 뒤로 산신탱과 칠성탱, 독성탱 등 불화가 모셔져 있습니다.
 

대웅전-부처님-01
대웅전-부처님-02
대웅전-부처님-03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좌(左)로부터 보현보살, 약사여래불.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보타사(普陀寺)와 대원암(大圓庵)
 

개운사에서-보타사기는길
보타사와 대원암길

개운사 일주문에서 개운사 담장길 따라 300여 m 올라가면 대원암과 마애불이 있는 보타사가 있습니다.
 

보타사입구-01
보타사입구-01

대원암과 보타사

 

보타사-대원암-01
보타사-대원암-02
보타사-대원암-03

개운사의 암자 대원암(大圓庵)

 

개운사-보타사
보타사(普陀寺)

보타사는 규모가 작은 절이지만 국가유산 문화재 금동보살좌상과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마애여래불등 2점의 보물이 있습니다.
 

보타사-구층석탑-01
보타사-구층석탑-02
보타사-구층석탑-03

보타사 담장너머 고려대 부지에 있는 보타사 9층석탑

 

보타사-전각
종무소

보타사 종무소

 

삼성각

보타사 삼성각

 

 

관음전

보타사 관음전(館音殿)

보타사-금동불

보타사 금동보살좌상(普陀寺 金銅菩薩坐像)
보물 제1818호
 

보타사-마애불-01
보타사-마애불-02

관음전 옆의 암벽에 새겨져 있는 5m 크기의 마애석불(磨崖石佛)

 
보타사 마애보살 좌상(普陀寺 磨崖菩薩 坐像)
고려후기 조성 추정 보물 제1828호
 
 

▲개운사(開運寺)~ 보타사(普陀寺)

 
교통
지하철 6호선 고려대 안암역②번출구에서 약 300여 m 올라가면 개운사 일주문이 나옵니다. 일주문에서 우측담장길 따라 300여 m 올라가면 대원암과 보타시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