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둘레길/북한산 국립공원

북한산 국립공원 적멸보궁 삼천사

@산들바람 2025. 2. 20. 08:39

 

삼각산 천년고찰 삼천사 三千寺

북한산 국립공원 전통사찰

2025.02.13일

 

북한산 삼천사는 서기 661년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1482년 편찬한 북한지(北漢誌) 애 따르면 3,000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던 사찰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천사라는 이름은 숫자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삼천사-썸네일
천년고찰 삼각산 삼천사
은평-한옥마을-01

은평-한옥마을-02
은평-한옥마을-03

진관동 은평 한옥마을

은평 진관동에는 한옥마을과 천년세월을 지나온 전통사찰 진관사와 삼천사 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북한산 용출봉아래 자리한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를 찾았습니다.

 

삼천사-가는길

진관동 삼천사 입구

 

삼천탐방
북한산 삼천탐방 지원센터

 

북한산 국립공원 삼천탐방에서는 삼천사를 지나 북한산성 문수봉 대남문과, 북한산 비봉, 사모바위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있습니다.

 

 

삼천사-계곡
삼천탐방 계곡길
삼각산-삼천사-길
용출봉계곡-마타교

삼천사 가는 길목 미타교

 

삼천사옆-삼천탐방-계곡

북한산 삼천사 계곡

 

삼천사-경내로-가는길

북한산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

 

북한산-용출봉아래-오층석탑
삼천사 오층석탑

 

삼천사 5층석탑은 무진년 4월, 평산 성운 화상이 미얀마를 성지순례할 때 마하시사사나 사원에서 아판디타 대승정(大僧正)으로부터 전수받은 나한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석탑입니다.

 

스님의-처소-01

스님의-처소-02
십이지신상

스님의 공간과 십이지

 

진신사리-구층석탑
세존 진신사리 불탑

 

삼각산 삼천사 청정도량에 부처님의 진신인 탑에 오색 영롱한 진신사리 7과 와 손수 한 글자 한 글자 사경한 금강경 법신사리 600 과를 봉안하여 세존진신사리 9층 불탑을 세운, 삼천사는 삼계(三界)의 사표(師表)가 되었으며, 법계(法界) 가운데 영부로 만중생의 귀의처가 되었습니다.

 

일주문과-등산로-01
일주문과-등산로-02

삼천사 일주문과 그 옆으로 북한산 등산로가 있습니다.

 

삼천사-일주문-01
삼천사-일주문-02

삼천사경내 법당으로 들어가는 일주문

 

삼천사-경내-01
삼천사-경내-02

삼천사 경내 조형물(??)

 

삼천사-공양간

삼천사경내 공양방

 

삼천사의-대웅전-경내

삼천사 경내

 

대웅전-01
대웅전-02
삼천사 대웅보전

 

대웅보전은 사찰 가람의 중심이 되는 전각으로, 도력(道力)과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산신각-길

산신각으로 올라가는 계단

 

종-모양을-한-사리탑
삼천사 종형사리탑

 

종형사리탑은 가로 3.1m, 세로 3.1m의 4 각대석 위에 놓여 있습니다. 무진년 4월, 평산 성운 화상이 미얀마를 성지순례할 때 마하시사사나사원에서 아판디타 대승정(大僧正)으로부터 전수받은 부처님 사리 3 과를 88 올림픽의 성공 기원을 담아 종 모양의 돌탑[石鐘塔] 속에 봉안하였습니다.

 

 

마애여래입상-01
마애여래입상-02
고려초기 추정 마애불

삼천사지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

보물 제657호

 

커다란 바위에 암각 한 높이 2.6m이 달하는 마애여래입상은 삼천사 경내 대웅보전 위 30여 m지점 계곡의 병풍바위에 각인되어 있는 마애불로, 불상의 어깨 좌우에 큰 사각형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애불 앞에 목조가구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마애불은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여래입상은 고려시대 불상 중 대표작으로 평가되어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마애여래입상-안내
보물로 지정된 마애여래입상

 

 

마애불과-산령각
1층은-나한전-2층은-산령각
삼천사 산령각과 나한전

 

삼천사의 산령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웅장한 삼각산의 산신을 모시고 있습니다. 영험한 곳으로 소문이 나 많은 기도객이 찾는 사찰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절은 대개 깊은 산속에 있어 우리 민족의 조상신으로 간주되어 온 산신(山神)은 불교에 융해되어 자연스레 불교의 울타리 안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는 중국이나 일본의 불교와는 차이가 나는 우리 불교만의 특징입니다. 2층은 산령각 1층은 나한전입니다.

 

나한상
나한전 나한
나반존자와-나한을-봉안한-천태각
삼천사 천태각 인등

 

천태각은 중앙에 나반존자를 모셨고, 협시불로 좌우에 16 나한을 봉안하였으며, 108개의 인등이 모셔져 있는 전각입니다. 인등에는 기름을 담고 심지를 넣어 24시간 365일 꺼지지 않게 정성껏 불을 켜고 등 하나하나마다 간절한 소원을 담아 불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북한산-용출봉-중턱의-삼천사
북한산 용출봉아래 천년고찰 삼천사(三千寺)

 

▲북한산 국립공원 삼각산 적멸보궁 삼천사

 

삼천사 교통

지하철 3호선 연신내역 ③번출구로 나와, 701, 709, 7211번 버스 타고 진관사 한옥마을에서 하차.

 

반응형